[전체] “통선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
사전(15)
- 통선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문신 정5품 하계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 가 제정될 때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으로 정하여져『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정5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검상(檢詳)‧정랑...
- 정오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9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 (文散階)와 무산계(武散階)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5품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으로, 무산계 상계는 충의교위(忠毅校尉), 하...
- 종오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단행될 때 종5품은 정5품과 함께 5품으로 단일화되고, 품계도 통선랑(通善郎)으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5품의 주사에게는 35원의 월봉이 지급되었다. 『태조실록(太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 병직랑(秉直郞)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병직랑 병직랑 秉直郞 종친(宗親), 통선랑(通善郞), 통직랑(通直郞)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안정윤 [정의] 종친계(宗親階) 정5품의 하계(下階). [내용] 144...관련어종친(宗親), 통선랑(通善郞), 통직랑(通直郞)
- 창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외화리 창효마을에 있는 조선 중기의 사우. [내용] 오준(吳浚)을 배향하고 있다. 그는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해서 통선랑군자감직장(通善郎軍資監直長)이라는 벼슬을 받았는데, 이 사우는 1494년(성종...
고서·고문서(42)
- 權寏을 通善郞 行 禮曹佐郞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973 1699_01 權寏을 通善郞 行 禮曹佐郞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LK109.JPG 權寏을 通善郞 行 禮曹佐郞으로 임명하는 교첩 교첩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權寏을 通善郞 行 成均館典籍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985 1711_01 權寏을 通善郞 行 成均館典籍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LK121.JPG 權寏을 通善郞 行 成均館典籍으로 임명하는 교첩 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萬曆三十年 七月 十六日 奉直郞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通善郞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43 1212_01 萬曆三十年 七月 十六日 奉直郞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通善郞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KJ010.JPG 萬曆三...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萬曆三十年 七月 十六日 奉直郞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通善郞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44 1212_02 萬曆三十年 七月 十六日 奉直郞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通善郞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KJ010.hwp 吏曹...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萬曆三十一年 六月 二十二日 通善郞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通德郞 行廣興倉 副奉事로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45 1213_01 萬曆三十一年 六月 二十二日 通善郞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通德郞 行廣興倉 副奉事로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KJ011.JPG 萬...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4)
-
통선랑 / 通善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5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 가 제정될 때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으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
정오품 / 正五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9등급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5품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으로, 무산계 상계는 충의교위, 하계는 현의교위로 정하였다.그런데 ≪경국대전≫에는 무산계 상계의 충의교
-
김언신관련고문서 / 金言愼關聯古文書 [언론·출판/출판]
도(從仕郞迎日訓導, 1541년), 현풍훈도(玄風訓導, 1544년), 승훈랑 청송교수(承訓郞靑松敎授, 1546년), 봉직랑 청송교수(奉直郞靑松敎授, 1547년), 통선랑 밀양교수(通善郞密陽敎授, 1553년)에 제수된 것이며, 김우청 관련 고문서는 무과 급제(1595년)
-
통덕랑 / 通德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5품 상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5품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으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정5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검상·정랑·지평·사의·헌납·시독관·교리·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