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통리내무아문”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商事務衙門)으로 하고, 을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으로 개칭하였다. →통리군국사무아문 『고종실록』 『서울육백년사』3(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0) 『한국사-최근세편-』(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1)
  • 독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의 관직. [내용] 개항 후 국내외정세가 급격히 변화하자 대외통상의 새로운 과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1880년 12월에 만들어진 통리기무아문이 1882년 11월에 통리아문과 으로 분화되고, 1...
  • 부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었는바, 외교사무 일체를 변리(辨理)하는 통리아문(統理衙門)과 편민(便民)‧이국(利國)에 관한 일체의 사무를 변리하는 ()이 그것이다. 그런데 다음달인 12월 전자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으로, 후자는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으로 각...
  • 참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통리아문(統理衙門)‧()‧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의 관직. [내용] 1882년(고종 19) 정부기구 개편으로 참의사무(參議事務)‧참의군국사무아문의 관직이 신설되었으며, 홍영식...
  • 내무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5년(고종 22) 궁내사무(宮內事務) 등을 관장하던 관청. [내용] 1881년 1월에 설치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1882년 통리아문과 으로 분리시켰고, 다시 1883년 통리아문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주제어사전(9)

  • / [역사/근대사]

    1882년 편민이국(便民利國)에 관한사무를 관장하던 중앙관청. 백성의 편익을 도모하는 편민, 나라를 이롭게 하는 이국에 관한 사무를 맡은 통리내부아문은 청의 총리각국사무아문을 모방한 제도였다. 이 기구는 1882년 6월 임오군란으로 잠시 폐지되었으나, 7월 기무처라는

  • 독판 / 督辦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통리기무아문의 관직. 1880년 12월에 만들어진 통리기무아문이 1882년 11월에 통리아문과 으로 분화되고, 12월에 다시 통리아문이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으로, 이 통리군국사무아문으로 개칭되었는데, 이 두 아문의 우두머리를 말한다. 특

  • 참의 / 參議 [역사/근대사]

    구한말 통리아문, , 통리군국사무아문의 관직. 1882년 정부기구 개편으로 참의사무, 참의군국사무아문의 관직이 신설되었으며, 홍영식, 어윤중, 신기선이 참의군국사무아문에 임용되었다. 4품에서 6품의 관등이 이에 임용되어 차관급인 협판 아래의 직급

  • 통리아문 / 統理衙門 [역사/근대사]

    1882년 외교통상문제를 관장하던 관청. 외무아문이라고 하며, 외교일체의 사무를 판리하기 위하여 1882년 11월에 설치되었다. 관원은 판리사무에 조영하, 협판사무에 김홍집, 참의사무에 독일사람 묄렌도르프 등이었다. 이 관청과 함께 다음날에는 을 설치하였는

  • 군무사 / 軍務司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중앙과 지방의 군대를 통솔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청. 1880년 설치 당시에는 통리기무아문에 소속된 12사의 하나였으며, 군무당상에는 민겸호와 윤자덕이 임명되었다. 1882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이 통리아문과 으로 분화되고, 그 해 12월에 통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