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통례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7)
사전(271)
- 통례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국가의 의식(儀式)을 맡아 보았던 관청. 정3품 아문(正三品衙門)으로 조회(朝會)의 의례를 관장하였다. 원래 합문(閤門)이라 하던 것을 통례문으로 부르다가, 세조 때 통례원으로 바뀌면서 직제도 개편되어 좌통례(정3품)1명, 우통례(정3품) 1명, 상례(종3...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통례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門)으로 개칭되고, 1414년(태종 14)에는 인진사가 첨지사, 인진부사가 판관, 통찬사인이 통찬으로 각각 바뀌었다. 그 뒤 1466년(세조 12)에 통례원으로 개칭됨과 동시에 직제도 개편되어 좌통례(정3품) 1인, 우통례(정3품) 1인, 상례(종3품) 1인,...
- 통례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국가의 의례(儀禮)를 관장하였던 관서.정의조선시대 국가의 의례(儀禮)를 관장하였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Tongnyewon | MR표기T’ongnye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통례원(通禮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통례원 통례원 通禮院 봉례(奉禮), 상례(相禮), 우통례(右通禮), 익례(翊禮), 좌통례(左通禮), 홍려(鴻臚) 갑오개혁(甲午改革), 내사(內事), 예식원(禮式院), 외사(外事), 장례원(掌禮院) 정치행정/관직·관품 집단 기구...하위어봉례(奉禮), 상례(相禮), 우통례(右通禮), 익례(翊禮), 좌통례(左通禮), 홍려(鴻臚) | 관련어갑오개혁(甲午改革), 내사(內事), 예식원(禮式院), 외사(外事), 장례원(掌禮院)
- 우통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통례원(通禮院)의 정3품 당하관직. [내용] 통례원의 차관으로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경국대전』의 편찬과 관련된 관제의 전반적인 보완‧개정과 함께 고려시대부터 조선이 개국된 이래로 운영된 통례문(通禮門)을 통례...
고서·고문서(145)
- 通禮院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40_0030 通禮院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通禮院引儀契軸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通禮院引儀契軸 39_121_119.jpg 通禮院引儀契軸 多才僧命達, 一藝獻淸朝。 導仗開金殿, 傳臚響紫霄。 王庭贊周禮, 令節祝唐、堯。 暇日聊修契, 襟期矢後凋。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771년 부(父) 통례원(通禮院) 인의(引儀) 권(權)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주촌 진성이씨 경류정
- 權寏을 通訓大夫 行 通禮院奉禮로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979 1705_01 權寏을 通訓大夫 行 通禮院奉禮로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LK115.JPG 權寏을 通訓大夫 行 通禮院奉禮로 임명하는 교지 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靖을 通訓大夫 行通禮院 相禮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65 1223_01 趙靖을 通訓大夫 行通禮院 相禮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21.JPG 趙靖을 通訓大夫 行通禮院 相禮에 임명하는 敎旨 敎...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1)
- 즁츄원을 동소학교로 이셜지라 학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츄원을 동소학교로 이셜지라 학도들이 거졉곳이 업셔 학부에등소고로 쳐소 아직 교동 범학교로 권부엿다가 동에 이젼 통례원직방을슈리고 이터이라더라게재일1900년 12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21)
-
통례원 / 通禮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세조 12)에 통례원으로 개칭됨과 동시에 직제도 개편되어 좌통례 1인, 우통례 1인, 상례 1인, 봉례 1인, 찬의 1인, 인의 8인을 두었다.
-
우통례 / 右通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례원의 정3품 당하관직. 통례원의 차관으로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의 편찬과 관련된 관제의 전반적인 보완·개정과 함께 고려시대부터 조선이 개국된 이래로 운영된 통례문을 통례원으로 개칭하고, 통례문 때의 겸판통례문사를 녹관의 우
-
좌통례 / 左通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례원의 정3품 당하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의 편찬과 관련하여 관제가 전반적으로 보완, 개정되면서 종래의 통례문이 통례원으로 개칭되고, 통례문의 판통례문사 이하의 직제를 좌통례 이하의 직제로 고치면서 성립되었다. 이후 ≪
-
익례 / 翊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례원의 종3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국가의 의식을 관장하였다. ≪경국대전≫ 직제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았으나, 그뒤 증치된 것이다.
-
봉례 / 奉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례원의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통례원은 조회(朝會)·의례(儀禮)를 관장하던 관청이었으므로 예관(禮官)에 들어 있었다. 1466년(세조 12) 1월 통례문을 통례원으로 승격하고 관제를 ≪경국대전≫과 같이 고치면서 부지사를 봉례로 개칭하였다. 그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