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통례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2)
사전(130)
- 통례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조회와 의례(儀禮)를 관장하던 관청. [내용] 국초에 각문(閣門)을 두어 목종 때 관원으로 각문사(閣門使)‧부사(副使)‧지후(祗候)가 있었다. 그리고 문종 때 판사(判事)를 두고 그 아래 지사(知事‧兼官), 사(使), 인진...
- 상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통례원(通禮院)의 종3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통례원은 조회(朝會)‧의례(儀禮)를 관장하던 관청이었으므로 예관(禮官)에 들어 있었다. 통례원은 고려 때 합문(閤門) 또는 통례문(通禮門)이라 일컫다가, 조선시대...
- 인진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합문(閤門 : 朝會의 의례를 맡았던 관아)의 종5품 관직. [내용] 고려초에는 남반관직(南班官職)으로 설치되었으며, 문종 때에 문반관직으로 바뀌면서 합문에 소속되었다. 1275년(충렬왕 1) 합문이 통례문(通...
- 중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충선왕 때 조회와 의례를 담당한 관서. [내용] 목종 때 각문(閣門)이라 불렀는데 1275년 충렬왕이 즉위하여 원나라의 관부칭과 직제의 참람함을 피하여 개정을 하게 되어 통례문(通禮門)으로 낮추었다. 그 뒤 1298년(충렬왕...
- 통례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사(종3품, 겸직) 2인, 인진사(정4품) 2인, 겸인진사(정4품) 2인, 인진부사(정5품) 2인, 통찬사인(종6품) 2인, 봉례랑(종6품) 10인, 겸봉례랑(종6품) 10인의 관원을 두고, 이속(吏屬)으로 영사 2인을 두었다. 합문은 얼마 뒤 통례문(通禮...
고서·고문서(12)
- 강화군(江華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賓令又明年秋察訪于慶尙道明年少尹于內盈兼知通礼門事遷朝顯大夫三司摠郞已而出爲忠州牧副使十一年入爲朝顯大夫版啚摠郞知通禮門事賜紫金魚袋遷典理摠郞又遷朝奉大夫三司右尹又知通禮門事遷中列大夫判通禮門事又使別監于選軍⁄明年除通憲大夫檢校選部典書行都津令俄遷檢校僉議評理行尙州牧使兼上洛星山道田民計點使明年改爲...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송사_宋史487 列傳246 外國3 高麗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408 중국 정사 송사 열전 125 선종(宣宗) 2 1085 宋史487 列傳246 外國3 高麗 哲宗立 遣使林暨致賀 請市刑法之書太平御覽開寶通禮文苑英華 詔惟賜文苑英華一書 以名馬錦綺金帛報其禮 사신왕래, 5대ㆍ송, 상∙장∙제례, 저술...국가중국 | 서명송사 | 왕대선종(宣宗) 2
- 고초도(孤草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又遣僉知通禮門事李繼賢于慶尙道, 若有倭人孤草島釣魚還來者, 則悉皆拘留, 擧義開諭曰: “近者賊倭殺擄本國人物, 汝等豈不知之乎?” 反復詰問。 又責問知世浦留居倭人曰: “汝輩請於孤草島釣魚, 以資生業, 國家旣許其請, 汝等背恩忘德, 來寇我境, 殺虜人民, 頑惡莫甚。 汝輩亦豈不知耶?” 窮...출처전거世宗實錄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敎, 歷通禮門奉禮郞、司憲監察、吏曹佐郞。 天順癸未授世子文學, 遷吏曹禮曹正郞。 成化乙酉陞宗簿寺少尹, 丙戌中重試。 世祖嘗問《周易》、《圓覺經》優劣, 蘭宗對曰: “《易》者, 三聖人之經, 豈與此比乎?” 尋擢爲承政院同副承旨。 中拔英試, 轉左副承旨, 陞嘉善禮曹參判。 又中登俊試, 移刑...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서집성_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498 類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072 중국 유서 고금도서집성 077 선종(宣宗) 2 1085 8 10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498 類書部紀事 高麗國傳 哲宗立 遣使林暨致賀 請市刑法之書 太平御覽開寶通禮文苑英華 詔惟賜文苑英華一書 元祐七年 遣黃宗懿請市書甚衆...국가중국 | 서명고금도서집성 | 왕대선종(宣宗) 2
주제어사전(13)
-
통례문 / 通禮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조회와 의례를 관장하던 관청. 국초에 각문을 두어 목종 때 관원으로 각문사·부사·지후가 있었다. 그리고 문종 때 판사를 두고 그 아래 지사, 사, 인진사 2인, 인진부사·각문부사, 통사사인 4인, 지후 4인, 권지지후 6인을 두었다. 이속으로는 승지 4인,
-
상례 / 相禮 [정치·법제/법제·행정]
1466년(세조 12) 1월 통례문을 통례원으로 승격하고 관제를 ≪경국대전≫과 같이 고치면서 지사를 상례로 개칭하였다.
-
우통례 / 右通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례원의 정3품 당하관직. 통례원의 차관으로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의 편찬과 관련된 관제의 전반적인 보완·개정과 함께 고려시대부터 조선이 개국된 이래로 운영된 통례문을 통례원으로 개칭하고, 통례문 때의 겸판통례문사를 녹관의 우
-
좌통례 / 左通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례원의 정3품 당하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의 편찬과 관련하여 관제가 전반적으로 보완, 개정되면서 종래의 통례문이 통례원으로 개칭되고, 통례문의 판통례문사 이하의 직제를 좌통례 이하의 직제로 고치면서 성립되었다. 이후 ≪
-
인진부사 / 引進副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합문(조회의 의례를 맡았던 관아)의 종5품 관직. 1372년에 역시 통례문으로 개편되면서 판관으로 개칭, 폐지되었다. 조선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에 제정된 관제에서는 합문의 정5품, 정원 2인의 관직으로 부활되었으나, 1409년(태종 9) 통례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