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통덕랑” 에 대한 검색결과 2,1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44)

사전(20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문신 정5품 상계(上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5품 상계는 , 하계는 통선랑으로 정하여져『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정5품에 해당하는 관직으...
  • 정오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9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 (文散階)와 무산계(武散階)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5품 상계는 , 하계는 통선랑으로, 무산계 상계는 충의교위(忠毅校尉), 하...
  • 낭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5품 () 이하의 당하관(堂下官)을 통칭하는 말. →당하관 經國大典 譯註經國大典-註釋篇-(한우근 外,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6)
  • 이만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휘정과 정당부인의 다섯째 아들로, 공이다. 약관에 이르러 옥산 사람인 장씨부인과 성례를 한다. 슬하에 4녀를 두고 정유(1897)년 가을에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봉직랑(奉直郞)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로 수행한 사람에게는 종4품의 검교직을 내리고 조산대부(朝散大夫)에 제수하게 하였다. 또한 봉직랑에 제수된 지 4년 미만이라도 60세에 이른 사람은 정5품 상계인 ()으로 승급하게 하였다. [용례] 定文武百官之制 (중략) 正五品通善郞 從五品奉直...
    관련어문관(文官), 봉훈랑(奉訓郞)

고서·고문서(1,940)

  • 崔公墓誌銘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十別集 潘南朴趾源美齋著 [補遺] 崔公墓誌銘 [崔公墓誌銘 幷序] 近世有妙年志道, 實心嚮學, 將大有成立之望, 而不幸短命死, 爲師友所痛惜者, 曰: “崔公應星字景仲.” 其先密直副使封陽川伯, 諱遠顯於高麗. 五傳而有諱淑精, 我成...
    대표표제어通德郞崔公墓誌銘 | 목차[補遺]
  • 1722년 부(父) () 허여문기(許與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731년 () 임재대(任載大) 홍패(紅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72년 () 임수창(任壽昌) 홍패(紅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705년 () 임욱(任勗) 홍패(紅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타자료(1)

  • 성남-장호원 도로개설(제2공구) 구간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은 최근에 새로 제작되었다. 좌측 봉분 앞에 세워진 묘표(높이 89㎝)의 앞면에는 ‘□□□郞朴文幹之墓’라 쓰여 있고 좌측에 ‘成化丙年(1486년, 성종17년)三月□일’이라 하였으나 나머지 내용은 마모가 심하여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우측 봉분 앞의 묘표(높...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한양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3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5품 상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5품 상계는 , 하계는 통선랑으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정5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검상·정랑·지평·사의·헌납·시독관·교리·직장·

  • 통선랑 / 通善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5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 가 제정될 때 상계는 , 하계는 통선랑으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 권목 / 權穆 [종교·철학/유학]

    1614년(광해군 6)∼1663년(현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가산군수 권경남, 아버지는 권종길, 어머니는 양주목사 정약의 딸이다. 1649년 빙고별검이 되었다. 그 뒤 호조좌랑, 함흥판관, 호조정랑을 역임하였다.

  • 이유신 / 李裕身 [종교·철학/유학]

    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초기 증손, 할아버지는 지성, 아버지는 준상, 어머니는 김이오의 딸이다. 1725년(영조 1) 으로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대사간, 여주목사,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잡록 / 雜錄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소설·가사·제문 등 여러 종류의 글을 모아 수록한 책을 지칭하는 용어. 1책. 한글필사본. 작자와 연대는 미상이다. 앞 부분이 떨어져 나간 소설, 후지(後識), 「조화전가」, 후지, 「상심화전가」, 「신축년 제문」, 「 장와공 가장」, 후지 등으로 이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