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토정비결” 에 대한 검색결과 3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1)

사전(36)

  • 이지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17(중종 12)∼1578(선조 11). 조선 중기의 학자ㆍ기인(奇人), 『()』의 저자.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형백(馨伯) 또는 형중(馨仲)이며 호는 수산(水山) 또는 토정(土亭)이다. 색(穡)의 후손으...
    이칭별칭 형백(馨伯), 형중(馨仲)| 수산(水山), 토정(土亭)| 문강(文康)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의 학자 이지함(李之函, 1517-1578)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도참서(圖讖書).
    정의조선 중기의 학자 이지함(李之函, 1517-1578)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도참서(圖讖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Tojeong bigyeol | MR표기T’ojŏng pigy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신수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개 연말이나 연초에 무당이나 박수 또는 만신을 찾아가서 영매에 그해의 일년신수를 판단하는 것이 민속의 상례로 되어 있다. 근래에는 일년신수를 『()』로 대체하기도 하고 역술가를 찾아가서 육효점을 보기도 한다. 또한 임시로 일어나는 일을 판단하기...
  • 농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지함(李芝菡)이 ≪≫을 만들 때 그 원리와 적용법을 밝히기 위하여 편집‧저술한 책. [서지적 사항] 1권 1책. 필사본. 간행 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권두에 1624년(인조 2)에 쓴 이운하(李運夏)의 서문이
  • 이지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75(선조 8).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형백(馨佰), 호는 성암(省菴)ㆍ사정(思亭)ㆍ구옹(龜翁). 아버지는 판관 치(穉)이고, 『』로 유명한 지함(之菡)의 형이며, 선조 때 영의정 산해(山...
    이칭별칭 형백(馨佰)| 성암(省菴), 사정(思亭), 구옹(龜翁)

고서·고문서(332)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전라북도 익산시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도리구(道里区) 군력조선소학교 2 2 ...
    대표표제어토정비결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권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동릉구(东陵区) 고가자 조선촌대대 1 1 , 국어사전, 부송, 감사,...
    대표표제어토정비결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화림진(桦林镇) 화림조소 5 3 , 같이, 부쳐주셨으...
    대표표제어토정비결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윤 남자 길림성(吉林省) 동풍현(东丰县) 삼합공사(三合公社) 선명6대 2 2 , 백중역, 부치, 주시...
    대표표제어토정비결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책 정 여자 충청남도 공주시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관십향 팔가자촌 2 2 ...
    대표표제어토정비결책 | 성씨

구술자료(3)

  • 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번에는 오봉석 할아버지께 “유식한 얘기 하나 더 하세요□하며 조르자 웃으면서 들려 주었다. 몸을 앞뒤 좌우로 흔들면서 구연했다. *
    조사일시1984-03-26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주암면 | 제보자오봉석
  • 범 잡아 재난 막고 얻는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이야기가 끝나고 좌중에 술을 한 순배 돌렸다. 술을 한 잔씩 마신 후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
    조사일시1982-08-07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 제보자김연규
  • 30년만 유효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토정 전설은 없는지 물으니 아래의 내용을 구연하였다. 왜 그렇게 되었는지를 물으니 그 이유는 들은 바가 없다고 하였다.
    조사일시2011.04.24 | 조사장소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1구 동아하이츠 빌라 | 제보자이휘생

신문·잡지(9)

연구결과보고서(1)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도교]

    때까지도 정월에 을 보는 풍속이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은 대략 조선 말부터 보급된 것으로 추측된다.

  • 이지번 / 李之蕃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치,『』로 유명한 지함의 형, 산해의 아버지이다. 천문지리에 모두 정통하였다. 인종 때 문음으로 추천되어 장례원사평이 되었으나 당시 윤원형이 국권을 잡아 횡포하므로 벼슬을 버리고 단양의 구담에 집을 짓고 정

  • 이지함 / 李之函 [종교·철학/유학]

    <>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 농아집 / 聾啞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이지함이 『』을 만들 때 그 원리와 적용법을 밝히기 위하여 편찬한 도참서. 1권 1책. 필사본. 간행 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권두에 1624년(인조 2)에 쓴 이운하(李運夏)의 서문이 있다. 이 책은 책수기례(策數起例)·팔문정례(八門定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