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토월회” 에 대한 검색결과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35)

  • 복혜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1922년에는 극단 ()에 입단하였으며, 그 뒤에는 조선극우회ㆍ중앙무대로 옮겨 무대에 섰다. 만년에는 배우극장(俳優劇場)에 입단하여 연기생활을 계속하였다. 최초로 영화에 출연한 것은 이규설(李圭卨) 감독의 「농중조(龐中鳥)」(1926)이었으며, 그...
    이칭별칭마리(馬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3년에 조직되었던 극단. [개설] 평범한 가운데 현대미가 있는 회명(會名)을 짓기로 하여 처음 신월회(新月會)라 붙였으나, 현실[土]을 도외시하지 않고 이상[月]을 좇는다는 뜻으로 라 고쳤다고 한다. [연원 및 변천]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3년 2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이 조직한 신극운동(新劇運動) 단체.
    정의1923년 2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이 조직한 신극운동(新劇運動) 단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Towolhoe | MR표기T’owŏr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복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각 이외에 문학과 연극에도 관심을 나타내어, 1923년에 동경에서 김기진‧이서구(李瑞求) 등과 신극 운동(新劇運動)의 단체인 ‘()’를 만들었다. 그 해 서울 공연에서는 무대 장치를 맡았으며, 같은 시기에 따로 ‘토월미술회(土月美術會)’를 꾸미고 서...
    이칭별칭 정관(井觀)
  • 박승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鎭)‧김복진(金復鎭)‧이서구(李瑞求) 등과 함께 문학예술의 동호회인 ()를 조직하였다. 민중계몽을 위하여 연극을 하자고 주장하여 를 신극단체로 만들었는데, 그 뒤 의 실질적 지도자로서 자신의 막대한 유산까지 연극운동에 쏟아 넣었다. 그의 첫...
    이칭별칭 춘강(春崗)

고서·고문서(1)

  • 김복진 등 20명의 판결문( 金復鎭 等 20人 判決文(昭和5年刑控第00號) )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복진은 충청북도 청원군(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으로 배재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20년 일본 도쿄 우에노 미술학교 조각과에 입학했다. 1922년 5월 무렵 () 결성에 참여했다가 1923년 5월 귀국한 후 를 탈퇴하고 파스큘라(PASKULA)를 조직...
    제목 김복진 등 20명의 판결문( 金復鎭 等 20人 判決文(昭和5年刑控第00號) ) | 사건유형 치안유지법위반 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기초학문(2)

  • ? 연극의 근대성과 전근대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재석, 게재일 : 2011
    39716 김재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극예술학회 2011 ?? 연극의 근대성과 전근대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의 번역극 공연인식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재석, 게재일 : 2014
    62399 김재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2014 의 번역극 공연인식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3)

주제어사전(9)

  • / [예술·체육/연극]

    1923년 박승희, 김복진 등이 조직한 극단. 는 2회 공연 후, 동인제를 폐지하고 극본·연출 등 만능의 박승희를 회장으로 하여 시인 홍노작이 문예부 경리, 미술부 경리에 원우전, 경리부 경리에 정원택, 출연부 경리에 이백수가 앉음으로써 명실상부 새로운 체제를

  • 백조회 / 白鳥會 [예술·체육/연극]

    1926년 의 간부였던 김을한, 윤심덕 등이 의 지도부에 반발하여 만든 극단. 지도부가 돈에만 신경을 쓰고 신극운동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반발하여 이백수, 김기진, 김복진 등이 발족시켰다. 이상적인 신극운동을 해보겠다고 조직된 백조회는 1926년 2월 24

  • 조선극우회 / 朝鮮劇友會 [예술·체육/연극]

    민중극단이 해산되자 1926년 10월에 변기종이 그 단원들을 규합하여, 신파극계와 출신들을 합류하여 조직한 극단. 변기종을 주축으로 김파영, 이석구, 손용모 등이 참여했다. <생명의 관>, <신 칼멘>, <사의 광휘>, <기갈>, <파혼>, <새벽 종소리> 등

  • 아리랑 고개 / 아리랑 고개 [예술·체육/연극]

    일본의 착취로 농토와 가산을 잃고 북간도로 이주해야만 했던 일제하의 암담한 민족의 현실을 그린 춘강 박승희의 대표적인 단막희곡. 1929년 가을 의 재기 공연 때 조선극장 무대에서 상연되어 만중을 울린 작품이다. 시대성과 사회성을 감상적으로 잘 표사했으나 피상적

  • 종합예술협회 / 綜合藝術協會 [예술·체육/연극]

    1927년 7월 중순에 세서 활동한 바 있는 연학년이 이준열과 더불어 조직한 극단. 사무소를 서울 동숭동에 둔 이 단체는 8월 22일 목적이 동일하고 처지가 같은 백양회와 합동성명서를 발표하고 11월 5일 안드레예프의 <뺨맞은 그 자식>과 안톤 체흡의 >결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