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토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1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941)
사전(1,605)
- 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식사를 할 때 밥상 위나 밑에 놓고 가시 등을 발라내던 그릇. [내용] 토구(吐具)라고도 한다. 민속악기인 장구를 모형으로 하여 모양이 재미있게 보이며, 가운데가 잘룩하여 구토물도 보이지 않는다. 이렇듯 그다지 상쾌한 느낌을 주지...
- 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점토를 반죽하여 50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하여 만든 용기. [개설] 지금으로부터 1만 2천년 전에 발명된 토기는 전 세계 각지에서 사용된 인류의 가장 보편적인 생활용기의 하나로서 인류 문화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빙하기가...
- 신라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대국가 신라 영역에서 생산하여 소비한 일체의 토기. [개설] 신라토기는 신라의 성립 시기부터 멸망할 때까지 신라영역에서 생산‧소비된 토기를 지칭하지만, 실제 신라의 성립 시기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시기를 안다고 해...
- 오리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낙동강유역에서 출토되는 삼국시대의 오리모양의 토기. [개설] ‘압형토기(鴨形土器)’라고도 하며, 주로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회청색 경질토기이다. 다리는 1단 또는 2단의 굽구멍이 뚫린 굽다리로 처리하였고, 몸통의 등에는 원통형의 주입구(注...이칭별칭압형토기(鴨形土器)
- 덧띠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아가리 바깥부분에 단면이 원형 내지 타원형 또는 삼각형의 덧띠를 말아 붙여서 아가리를 두껍게 만든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 [개설] 일명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라고도 한다. 아가리에 단면이 원형‧타원형‧삼각형인 덧띠를 말아 붙이고 있...이칭별칭점토대토기|돌대문토기
단행본(2)
- 토기와 도자기: 한국 도자기 문명사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김종일, 권오영, 장남원, 한혜선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428한국의 토기와 도자기문화의 발전 과정을 기존과는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성형기법, 산지 추정, 사회적 기능 및 역할과 고유의 미감을 포착하는 것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문명사적 관점에서 토기 및 도자기 제작기술이 여타 다른 분야의 제작에 끼친 영향에 대...
- 〈당악유사〉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1.12.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序文 《棠岳遺事》解題 學生尹公爾久墓碣 通政大夫行忠淸道觀察使尹公神道碑幷序 己卯錄 黃兎記事 尹進士友衡衡之往海南, 付寄尹同年孝貞希參曁其子尹佐郞衢
논문(6)
- 한국 토기 지구화학적 분석 [한국 고고학의 세계화: 선사, 초기역사시대 한반도 농경의 기원과 사회복합화에 대한 학제적 연구 | University of Oregon]저자 : Rory Walsh | 게재정보 : Archaeological Research in Asia
- 미송리형 토기 : 연구경향과 새로운 몇 자료 [고조선 국가의 발전과 영역의 확대 | 울산대학교]저자 : 하문식(세종대학교) | 게재정보 : 고조선단군학 27권, 게재일 : 2012유형논문
- 마한과 백제의 토기와 사회: 풍납토성과 광주 발산 유적 토기의 지질화학적 분석과 수공업 생산 비교 [한국 고고학의 세계화: 선사, 초기역사시대 한반도 농경의 기원과 사회복합화에 대한 학제적 연구 | University of Oregon]저자 : Rory WALSH | 게재정보 : Asian Perspectives
- 토기 동위원소와 전분 분석을 통한 식생 재구성: 한반도 홀로세 후기 군곡리유적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 고고학의 세계화: 선사, 초기역사시대 한반도 농경의 기원과 사회복합화에 대한 학제적 연구 | University of Oregon]저자 : Seungki Kwak | 게재정보 : The Holocene
- 혁신, 모방, 정체성: 한국 남서지역 흑색마연토기와 사회적 복합성 [한국 고고학의 세계화: 선사, 초기역사시대 한반도 농경의 기원과 사회복합화에 대한 학제적 연구 | University of Oregon]저자 : Sangwon NAM | 게재정보 : Archaeological Research in Asia
고서·고문서(3,563)
- 토기화상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0386 잡가 증보신구잡가 12008 1915 노익형 한성서관 노익형 방성식 三十錢 토기화상 [32] 토기 화상을 거린다 토기 화상을 거린다 화공을 불너라 화공을 불너소 토기화상을 거린다 리젹션 봉황 봉 그리든 환장이 남국...구분잡가 | 편저자노익형
- 토기畵像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465 잡가 가집 16002 1934년 이후 이왕직 아악부 필사본 토기畵像 [53] 토기 畵像을 그린다 토기畵像을 긔린다 畵工을 불너라 畵工을 불넛소 토기畵像을 그린다 李謫仙 鳳凰臺 鳳 그리든 환匠이 南國天子 凌虛臺 日月 그린 환匠이...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토기화상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3240 잡가 增補新舊時行雜歌 12051 토기화상 [23] 토기화상을 거린다 토기화상을 거린다 화공을 불너라 화공을 불넛소 토기 화상을 거린다 리젹션 봉황 봉 그리든 환장이 남국텬 능허 일월 그린 환이 연소왕의 황금대면 그리든 환이 동졍류...구분잡가
- 토기화상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1660 잡가 뎡졍증보신구잡가 12033 1932 김천희 삼문사 宋基和 朴致祿 토기화상 [48] 톡기 화상을 그린다 톡기 화상을 그린다 화공을 불너라아 화공을 불넛소 톡기 화상을 그린다 연소왕에 황금 미인 그리든 화안장이 리젹...구분잡가 | 편저자김천희
- 토기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008 창가 남녀병창류행창가 22143 1917 강의영 신명서림 강의영 심우택 二十五錢 토기타령 〈#35〉 토기 화상을 거린다 토기 화상을 거린다 화공을 불너라 화공을 불너쇼 토기 화상을 그린 이리 져리 그린다 동졍유리 쳥황...구분창가 | 편저자강의영
구술자료(5)
- 견불리(見佛里)의 토기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이야기를 하지 않으려는 제보자에게 이야기를 더 부탁하자, 이야기가 없다면서 녹음기를 멀리 했다. 그래서 조사자가 마지막으로 이야기를 하나 더 해달라고 하니 이 지방에서 실제로 있었던 옹기점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조사일시1981-04-13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 제보자조종각
- 강인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아키오(土居明夫), 문선명, 문희석, 민관식, 박기출, 박동운, 박동훈, 박수근, 박열, 박정희, 백선엽, 서대숙, 석정선, 석정수, 선우종원, 소코로프스키, 송석두, 스칼라피뇨, 스탈린, 시슈쿠라 주로, 신상초, 신일철, 신직수, 양기백, 양호민, 오규환, 完倉壽郞,구술자강인덕 | 직업장관 | 지역평안도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수궁가 중 수궁주연, 토기 수궁 나오는 대목 아니리(09:28) \"어떻게 이놈이 말을 잘해 놨던지 용왕이 벌렁 넘어갔던가 보더라. 제신들을 돌아보며, \'이 일을 어찌 할꼬?\" 제신들이 주왈(奏曰), \"대체 간 유무는 알 수가 없습내다.\', \'어, 그러하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수궁가 중 수궁주연, 토기 수궁 나오는 대목 아니리(09:28) \"어떻게 이놈이 말을 잘해 놨던지 용왕이 벌렁 넘어갔던가 보더라. 제신들을 돌아보며, \'이 일을 어찌 할꼬?\" 제신들이 주왈(奏曰), \"대체 간 유무는 알 수가 없습내다.\', \'어, 그러하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 마을 사람들의 억울한 죽음을 목격하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메다 오 십이 한 개 파게 되면, 그래 ?흙이 나와요. 감탄. [조사자1: 감탄이라는 게 저 보드라운 흙이, 저 토기 만드는?] 어어 토기 만드는 그게. 그래서 그거 와서 파가라. 파서 그 감탄 캔께, 모래가 거기 섞여 나오면 이야, 그렇게 깊이 있게 팠다 그런게는 그조사지역인천 | 조사일2012년 6월 15일
기초학문(36)
- 之字文土器의 發生 背景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은숙03060 송은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之字文土器의 發生 背景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6088d011246933dd70f25유형논문
- 영선동식토기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은숙, 게재일 : 201242460 송은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신석기학회 2012 영선동식토기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국 분주토기의 기원과 변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6810 한국연구재단 호남고고학회 2003 한국 분주토기의 기원과 변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무문토기문화의 설정과 경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배진성, 게재일 : 201556810 배진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고고학회 2015 무문토기문화의 설정과 경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한반도 각목돌대문토기의 편년과 계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재윤, 게재일 : 200403626 김재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상고사학회 2004 한반도 각목돌대문토기의 편년과 계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99)
- 土岐茂雄(土岐藥房)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土岐茂雄(土岐藥房) 서울 土岐茂雄 土岐藥房 櫻井町 1-39 복장품 - 화장품 소매 26.16 약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土岐茂雄(土岐藥房)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화장품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土居喜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土居喜七(-) 인천 土居喜七 - 本町 3-4 - - 객주업(問屋業) 문옥업 15 겸업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土居喜七(-)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객주업(問屋業)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土居喜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土居喜七(-) 인천 土居喜七 - 本町 3-4 - - 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문옥 242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대표표제어土居喜七(-)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土岐忠藏(-)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土岐忠藏(-) 대구 土岐忠藏 - 大和町 - - 가구류상 - - 제조 겸업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土岐忠藏(-)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가구류상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 土居數一(土居食料品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土居數一(土居食料品店) 서울 土居數一 土居食料品店 漢江通 3-50 廉市 식료품 - 식료잡화 소매 34.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土居數一(土居食料品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식료잡화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348)
- 부여 중정리(85, 86-3번지) 백제 토기가마 및 통일신라 수혈주거지 유적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부여 중정리(85, 86-3번지) 백제 토기가마 및 통일신라 수혈주거지 유적 l6-0104_#1 유구 도면5.1지역 유구배치도 2013-11-14_0.706341_도면5.1지역 유구배치도.jpg l6-0104_#2 유구 원색도판3-2제목부여 중정리(85, 86-3번지) 백제 토기가마 및 통일신라 수혈주거지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밀양 귀명리 삼국시대 무덤군 - 부곡~수산간 도로구간 내 발굴조사, 무문토기시대ㆍ조선시대 -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밀양 귀명리 삼국시대 무덤군 - 부곡~수산간 도로구간 내 발굴조사, 무문토기시대ㆍ조선시대 - ss1-0134_#1 유구 지도 1. 유적위치도 2015-01-08_0.6097986_지도 1. 유적위치도.JPG ss1-0134_#2 유구제목밀양 귀명리 삼국시대 무덤군 - 부곡~수산간 도로구간 내 발굴조사, 무문토기시대ㆍ조선시대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안산-안중간) 유적 발굴조사보고서(3)-화성 매곡리 토기요지 발굴조사 보고-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안산-안중간) 유적 발굴조사보고서(3)-화성 매곡리 토기요지 발굴조사 보고- l6-0071_#1 유구 A,B요 전경 2013-12-02_0.5387689_A,B요 전경.jpg l6-0071_#2 유구 A요 전제목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안산-안중간) 유적 발굴조사보고서(3)-화성 매곡리 토기요지 발굴조사 보고-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015-05-23_3872_공주 계실리유적_도면6.건물지 평단입면도.jpg ll5-0233_#4 유구 공주 계실리유적_원색도판2.1호 토기가마, 2.2호 토기가마 ll5-0233_4_2015-05-23_3619_공주 계실리유적_원색도판2.1호 토기가마제목공주 계실리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유물 오산양산동도면28.구상유구 출토토기편 구-53 2013-04-22_0.1904871_오산양산동도면28.구상유구 출토토기편 구-53.jpg l6-0003_2 유물 오산양산동도면35구상유구 출토토기 구-195 2013-04-22_0.32262제목오산 양산동 신라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177)
- 제주도 석기시대의 토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제주도 석기시대의 토기 제주도 석기시대의 토기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홍정표 | 사료철명교육제주
- 조진희;趙晋熙;토기진일랑;土岐晋一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912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52면 조진희;趙晋熙;토기진일랑;土岐晋一郞 연기군 금남면 영대리 251 제14회 1939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학원풍토기-고려대학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학원풍토기-고려대학편 학원풍토기-고려대학편 學園風土記-高麗大學篇 교육 문헌 현대 고등교육 학생생활범주1고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경옥 | 사료철명신경향
- 학원풍토기-연희대학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학원풍토기-연희대학편 학원풍토기-연희대학편 學園風土記-延禧大學篇 교육 문헌 현대 고등교육 학생생활범주1고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태민 | 사료철명신경향
- (라디오 학교방송 극본 입선작) 피마자와 토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라디오 학교방송 극본 입선작) 피마자와 토기 (라디오 학교방송 극본 입선작) 피마자와 토기 (라디오 학교방송 극본 입선작) 피마자와 土器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성찬 | 사료철명부산교육
연구과제(3)
-
9세기대 발해의 지방 지배 방식 사례 연구 - 연해주 지역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양시은 | 충북대학교 | 2013 | 국내 | 충북
-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신동원 | 전북대학교 | 2016 | 국내 | 전북
-
한국인의 기원 신 연구 –생물인류학과 고고학의 융합적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배기동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3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211)
-
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바탕흙의 기본재료는 진흙이며 여기에 석영·장석·운모가 혼입된 모래를 섞기도 한다. 물과 함께 반죽한 뒤 형태를 만드는데, 그것을 성형이라 한다. 성형은 도공이 머릿속에 그리고 있는 디자인을 점토로 표현하는 작업이다. 해당 시기의 토기의 종류는
-
가지무늬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의 형식. 어깨부분에 흑색 가지무늬가 있는 항아리형 토기로, 크기는 대체로 높이 20㎝, 너비 20㎝ 내외이다. 돌알갱이가 섞이지 않은 고운 바탕흙을 사용했고, 표면이 곱게 손질되어 있으며 색조는 대부분 밝은 갈색을 띠고 있다. 흑색 가지무늬는
-
검은간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에 걸쳐 사용된 민무늬토기의 한 형식. 조형은 요령(遼寧)지방의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유적에서 출토되는 흑도장경호를 들 수 있다.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목이 긴 항아리가 주류를 이루며, 단면 원형의 점토띠토기(粘土帶土器)와 함께 중부
-
귀때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귀때가 달려 있는 신석기·원삼국시대와 백제시대의 토기. 일명 ‘주구토기(注口土器)’라고도 한다. 귀때란 안에 담긴 액체를 따를 수 있도록 그릇 입술의 한 쪽을 삐죽이 내밀게 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귀때가 달려 있는 토기는 신석기·원삼국시대와 백제시대에 나타난다.
-
덧띠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아가리 바깥부분에 단면이 원형 내지 타원형 또는 삼각형의 덧띠를 말아 붙여서 아가리를 두껍게 만든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 아가리에 단면이 원형·타원형·삼각형인 덧띠를 말아 붙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토기의 표면은 적갈색·흑갈색·갈색 등을 나타내고 있으며, 점토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