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토관직” 에 대한 검색결과 1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1)

사전(9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평안도‧함경도‧제주도 등지의 토착인에게 주었던 특수 관직. [내용] 고려 초기의 향직에서 유래된 것으로, 고려 말기에 평양‧화주‧제주도에 두었다. 조선 초기에는 설치 지역이 확대되어 평안도의 영변‧의주‧강계,...
  • 부여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서반(西班) 종6품의 (). [내용] 서반 종6품의 품계를 가진 관직이다.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2인,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2인,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의 진변위(鎭邊衛)에 2인,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
  • 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동반(東班) 종7품의 (). [내용] 수지국(收支局)의 장으로, 관계(官階)는 주공랑(注功郎)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 교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동반 정6품의 . [내용] 그 관계(官階)는 선직랑(宣職郎)이다. 은 고려시대 평양에 처음 설치된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새로이 정비되었다. 즉, 1429년(세종 11) 6월에 평양부에만 두었던 이 함흥부ㆍ영변...
  • 전례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 () 동반관서(東班官署). [내용] 예악(禮樂) 등의 일을 관장하여 맡았다. 이 설치된 고을 중 작은 고을에서는 사객(使客)의 접대‧연회 등의 일을 관장하였다. 평양부의 경우, 건국초에 예의사(禮儀司)와...

고서·고문서(3)

  • 更詳熟議."上曰"人戶,以下三道鄕吏驛子公私賤勿論,如有自募者,放役入居,或除,以充軍額何如?" 黃喜等曰"咸吉道 咸興以北人民,爲先抄出入居,不足則以附近他道人民,抄出入居爲便." 孟思誠曰"《詩》云'昔召公日(鬪) 國百里.'此乃傷今思古,憤激而言也.惟我璿源,世居孔州,今也鞠爲茂草,爲野...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사를 행하여 발생하는 폐단보다는 勸善懲惡에 따른 교화의 이로움이 더욱 크니‚ 작은 폐단 때문에 큰 이로움을 버려서는 안 된다고 청하고 있다. 請免金疏 14  金土에게 제수한 관직이 부당함을 아뢴 疏이다. 4品의 金土에게 지금 典農判事를 超授하였는데‚ 金土는 남...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유금강록(遊金剛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천민(朴天敏)과 선도(善道)이며 회양의 지인(知印) 지인(知印) : 조선 시대 지방관의 관인을 보관하고 날인의 일을 맡던 을 말한다. 승천(勝千), 관리(官吏) 1명, 나장(羅將) 1명, 동행한 역졸(驛卒) 2명이다. 2일(병인). 아침을 먹고 천천히 가서 1리...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신즙(申楫)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2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평안도·함경도·제주도 등지의 토착인에게 주었던 특수 관직. 고려 초기의 향직에서 유래된 것으로, 고려 말기에 평양·화주·제주도에 두었다. 조선 초기에는 설치 지역이 확대되어 평안도의 영변·의주·강계, 함경도의 길주·경성·회령·부령·종성·온성·

  • 교부 / 校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동반 정6품의 . 그 관계는 선직랑이다. 은 고려시대 평양에 처음 설치된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새로이 정비되었다. 즉, 1429년(세종 11) 6월에 평양부에만 두었던 이 함흥부·영변대도호부·경성대도호부·강계도호부 등 12개소로 확대되었

  • 분용도위 / 奮勇徒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8품 토관계의 위호. 은 함경도·평안도에 거주하는 토착세력들을 회유하기 위해 특별히 마련한 관직으로서 타도의 향리들과 달리 품관체계로 편입한 것이었다. 이러한 종류의 서반은 병마절도사의 추천으로 임명되나 대간의 서경을 거치도록 하였다. 이들

  • 부여직 / 副勵直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5품의 . 영흥부의 진북위에 1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1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1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1인을 두었다.

  • 공무랑 / 供務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동반 정8품 토관계 위호. 1466년(세조 12) 및 토관계가 ≪경국대전≫에 법제화됨에 따라 토관 동반 정8품의 관계로서 확정되었다. 공무랑은 영흥부의 도무사, 영흥부와 경성도호부의 융기서·사창서·영작서의 관사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