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택리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5)
사전(128)
- 택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山系)와 수계(水系)를 살펴 이름난 산수를 논하고 있다. ≪택리지≫는 우리 나라 실학파 학풍의 배경에서 만들어진 대표적인 지리서이며 ≪동국여지승람≫을 대표로 하는 종전의 군현별로 쓰여진 백과사전식 지지에서 우리 나라를 총체적으로 다룬 팔도총론, 도별지지, 그리...이칭별칭팔역지
- 택리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 실학자 이중환(李重煥, 1690-1752)이 지은 지지(地誌).정의조선 후기 실학자 이중환(李重煥, 1690-1752)이 지은 지지(地誌).[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Taengniji | MR표기T’aengnij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선산읍전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향교, 남문 밖에 옥사(獄舍)가 위치한다. 지도의 북쪽과 남쪽에 동리가 상징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택리지(擇里志)』
- 한산모시짜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의 모시짜기. [내용] 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 한산의 모시짜기는 ≪택리지 擇里志≫ 북거총론편에 "진안의 담배밭, 전주의 생강밭, 임천과 한산의 모시밭, 안동과 예안의 왕골논"이라는 구절이 있을
- 청초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데, 입구가 동해에 잇대어 있어서 조선시대에는 수군만호영(水軍萬戶營)을 두고 병선(兵船)을 정박시킨 일도 있다. 또, 『택리지(擇里志)』에는 이곳을 양양의 낙산사(洛山寺) 대신 관동팔경(關東八景)에 포함시키고 있어 당시에는 경치가 매우 아름다웠음을 추측할 수 있다....
고서·고문서(20)
- 跋擇里志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20_0260 跋擇里志 정약용(丁若鏞) 序跋類|題跋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택리지(擇里志)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택리지(擇里志)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李太王實錄資料 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1001442014100144_002 李太王實錄資料 1 자료 제4호 八域卜居誌 一名 擇里志 팔역복거지 일명 택리지 궁내청 공문서관 85323 0016 5 문서 궁내성 한국 성씨의 기원과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광성보(廣城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此亦合施一例之典, 至於戰亡武士, 亦依丙寅給復之例施行事, 竝令三軍府稟旨分付爲辭矣。 向以樹風聲之義, 已有所褒揚之擧, 而至表厥宅里之典, 宜無異同, 依狀請許施, 戰亡武士等之給復, 依新定式, 只許當代施行事, 分付,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3)
- 擇里志의 口傳지식 반영과 지역전설 서술의 시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68702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擇里志의 口傳지식 반영과 지역전설 서술의 시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택리지에 대한 역사학적 독법-필사본비교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4650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004 택리지에 대한 역사학적 독법-필사본비교연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擇里志와 조선 후기 지방 이해의 혁신-浮浪하는 존재의 移住와 定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8787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14 擇里志와 조선 후기 지방 이해의 혁신-浮浪하는 존재의 移住와 定住-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3)
- 산수_1969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토함산과 대왕암 신영훈 52 이중환의 택리지 (2) 홍사준 58 공포, 운명의 산 낭가 파르밧 (중)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 산수_1969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 이중환의 <택리지> (1) 홍사준 74 얼마나 될까 산악회 산악인 (2) 80 산악회 소식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 우리들_1972_07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야산에 콩전쟁 벌이자-다수확을 위한 콩재배 기술 원종익 62 벼의 병해와 방제요령 이병곤 65 생활고전 다이제스트 (3)-이중환의 택리지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연구결과보고서(1)
- 택리지(擇里志) 이본 종합DB [택리지(擇里志) 이본 종합DB | 성균관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연구과제(1)
-
택리지(擇里志) 이본 종합DB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안대회 | 성균관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7)
-
택리지 / 擇里志 [지리/인문지리]
1751년(영조 27) 실학자 이중환이 현지 답사를 기초로 하여 저술한 우리 나라 지리서. 1책. 필사본. 조선광문회에서 이중환 찬, 최남선 교로 민제호 장본에 의거하여 1912년에 신활자로 인쇄, 간행하였다. 내용은 1753년에 쓴 정언유의 서문이 2면에 걸쳐 있고,
-
이중환 / 李重煥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실학자(1690∼1752). 문과에 급제한 뒤 병조정랑 등을 역임하다 목호룡의 당여로 유배되었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 30여년간 전국을 떠돌며 각 지역의 사회·경제·문화 등을 정리하여 북학파에게 큰 영향을 미친《택리지》를 저술하였다.
-
내포평야 / 內浦平野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북서부 삽교천 유역에 발달한 평야. 내포평야는 예산군과 당진시에 걸쳐 넓게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 예당평야라고 불린다. 『택리지(擇里志)』에 내포(內浦)는 가야산 둘레의 십현(十縣)을 가리킬 정도로 넓은 지역을 포함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무한천·곡교천 등
-
금강산집 / 金剛山集 [종교·철학/불교]
왕조실록이나 문집 등에서 금강산 및 부근의 명승지에 관한 내용을 발췌하여 수록한 시문선집. 지리지. 제1편은 사실편(史實編)으로 『태조실록』 외 111개 문헌, 제2편은 지지편(地誌編)으로 『택리지(擇里志)』 외 53개 문헌, 제3편은 기행문편으로 『가정집(稼亭集)
-
담원국학산고 / 薝園國學散稿 [종교·철학/유학]
·초원유고(椒園遺藁)·택리지(擇里志)·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解)·음우비(陰雨備)·원교집(圓嶠集)·항해총서(沆瀣叢書)·소재집(疎齋集)·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곽우록(藿憂錄)의 해제, 국학인물론에는 정철(鄭澈)과 국문학, 정약용(丁若鏞)의 생애와 업적, 신채호(申采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