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태학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88)
사전(724)
- 태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기관의 장(長)으로 태학사 1인을 두고, 그 아래 학사‧부학사 각 1인과 시강(侍講)‧시독(侍讀) 각 2인을 두었다. 그리고 이때 개정된 관제에서는 시강원(侍講院)에서 경사(經史)의 시강 등을 맡았는데, 이에 소속된 사(師)는 의정부대신(議政府大臣)을 거친 사람이...
- 태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 태화산(泰華山)에 있는 절. [내용] 한국불교태고종에 속한다. 신라 흥덕왕 때 진산조사(珍山祖師)가 절 뒤의 바위에 마애불을 조성한 뒤 절을 창건하여 해선암(海...이칭별칭해선암(海仙庵)
- 태학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의 관직. 문한직으로서 한림원의 관직이었음.정의고려의 관직. 문한직으로서 한림원의 관직이었음.[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taehaksa | MR표기t’aehak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大學士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050 大學士 관직 年三十一最少, 主文, 通政, 圈點, 年少, 在前, 成就, 先輩, 愛惜, 人材 近代 李漢陰德馨, 金誠一, 沈右相守慶 J_04_01_05 지봉유설 4권 1장 5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대학사(大學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학사 대학사 大學士 학사(學士) 대제학(大提學)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고려, 조선 고려, 조선 김경수 고려초 1401년(태종 1) 예문춘추관 정이품 [정의] 조선초 예문...하위어학사(學士) | 동의어대제학(大提學)
고서·고문서(236)
- 계륵집_雞肋集62 資政殿大學士李公行狀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212 중국 문집 계륵집 008 숙종(肅宗) 7 1102 1 23 雞肋集62 資政殿大學士李公行狀 崇寧元年正月己卯資政殿大學士右光禄大夫知大名府兼北京留守司事大名府路安撫使李公薨訃聞上震悼詔輟視朝贈金紫光禄大夫官子若孫六人且賻其家甚厚其孤祥祉...국가중국 | 서명계륵집 | 왕대숙종(肅宗) 7
- 송설재문집_松雪齋集7 故昭文館大學士榮禄大夫平章軍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456 중국 문집 송설재문집 001 기타 松雪齋集7 故昭文館大學士榮禄大夫平章軍國事行御史中丞領侍儀司事贈純誠佐理功臣太傅開府儀同三司上柱國追封魯國公諡文貞喀喇公碑 粤若稽古唐虞三代之時堯舜禹湯文武之爲君臯䕫稷契伊傅周召之爲臣明良相逢道同徳一天爲之淸地爲之寧四海晏...국가중국 | 서명송설재문집 | 왕대기타
- 전원문_全元文597 趙孟頫7 故昭文館大學士榮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747 중국 총서 전원문 022 기타 全元文597 趙孟頫7 故昭文館大學士榮祿大夫平章軍國事行禦史中丞領侍儀司事贈純誠佐理功臣太傳聞府儀同三司上柱國追封魯國公諡文貞喀喇公碑 莊聖太后 性恭謹 善爲弓服事世祖皇帝 不離左右 配以高麗美人 名長姬姓金氏 生五子 次二...국가중국 | 서명전원문 | 왕대기타
- 조선시대 역학서:1768_몽어유해(補)_不開的窓 붓박이창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다 抹泥 지다 文臣 文臣 武臣 武臣 議政大臣 議政大臣 散秩大臣 散秩大臣 大學士 大學士 學士 學士편명1768_몽어유해(補)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杏山堡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卷之四十四 崇德三年 十一月 四日 2번째기사 『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崇德三年 十一月 四日(1638) 1638 杏山堡 杏山 군사 命內弘文院大學士希福·內秘書院大學士范文程遣俘獲漢人齎敕往杏山.敕曰.大清國...출처전거『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기초학문(5)
- 고대국어의 음운체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243696 한국연구재단 태학사 外 2002 고대국어의 음운체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유형논문 | 게재일2002
- 한국어 발음교육을 위한 음운론 : 자음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허용, 게재일 : 200311134 허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태학사 2003 한국어 발음교육을 위한 음운론 : 자음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남경국민정부의 고등교육정책과 대학사회 : 상해 대하대학 사례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문상, 게재일 : 2008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4614&local_id=10018535 國民政府의 高等敎育政策과 大學社會 : 上海 大夏大學 事例 分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한국 각필 부호구결 자료와 일본 훈점 자료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45685 한국연구재단 태학사 2003 한국 각필 부호구결 자료와 일본 훈점 자료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03
- おしゃべり共同体の陣地戦と制限的内部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71003 한국연구재단 東京大学社会科学研究所 2010 おしゃべり共同体の陣地戦と制限的内部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700)
-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古文書』三(東京大學史料編纂所 編,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68(覆刻)), p.84. 『大日本古文書』三(東京大學史料編纂所 編,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68(覆刻)), p.84.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김영태 엮음, 서울: 동국대출판부, 2015), p.5...대표표제어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4 | 대표서명湼槃經剛目 | 한글서명열반경강목 | 서지형태유통서지
- 현양론소(顯揚論疏) 1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三(東京大學史料編纂所 編,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68(覆刻)), p.646.대표표제어현양론소(顯揚論疏) 12 | 대표서명顯揚論䟽 | 한글서명현양론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현양론소(顯揚論疏) 1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三(東京大學史料編纂所 編,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68(覆刻)), p.646.대표표제어현양론소(顯揚論疏) 13 | 대표서명顯揚論䟽 | 한글서명현양론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현양론소(顯揚論疏) 1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七(東京大學史料編纂所 編,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68(覆刻)), p.490.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김영태 엮음, 서울: 동국대출판부, 2015), p.596.대표표제어현양론소(顯揚論疏) 14 | 대표서명顯揚論疏 | 한글서명현양론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현양론소(顯揚論疏) 1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日本古文書』八(東京大學史料編纂所 編,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68(覆刻)), p.533.대표표제어현양론소(顯揚論疏) 15 | 대표서명顯揚論疏 | 한글서명현양론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멀티미디어(216)
- 가 류승민 현)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 고려대학교 한국미술사 전공 - 2008~현재: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 한국전통문화대 강사 - "능호관 이인상의 산수화 연구" 등 -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2013, 태학사), [한국서화가인명사전](2059, 국립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가 류승민 현)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 고려대학교 한국미술사 전공 - 2008~현재: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 한국전통문화대 강사 - "능호관 이인상의 산수화 연구" 등 -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2013, 태학사), [한국서화가인명사전](2060, 국립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가 류승민 현)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 고려대학교 한국미술사 전공 - 2008~현재: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 한국전통문화대 강사 - "능호관 이인상의 산수화 연구" 등 -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2013, 태학사), [한국서화가인명사전](2061, 국립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가 류승민 현)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 고려대학교 한국미술사 전공 - 2008~현재: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 한국전통문화대 강사 - "능호관 이인상의 산수화 연구" 등 -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2013, 태학사), [한국서화가인명사전](2062, 국립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가 류승민 현)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 고려대학교 한국미술사 전공 - 2008~현재: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 한국전통문화대 강사 - "능호관 이인상의 산수화 연구" 등 -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2013, 태학사), [한국서화가인명사전](2063, 국립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기타자료(7)
- 박두화;朴斗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4822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17면 박두화;朴斗華 경성부 경운동 大學社 舊令제2회 1920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적십자간호전문대학40년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적십자간호전문대학40년사 적십자간호전문대학40년사 赤十字看護專門大學四十年史 교육 문헌 현대 학교사 대학사범주1학교사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적십자간호전문대학40년사편찬위원회
- 인천교육대학사 1편-1946-1983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인천교육대학사 1편-1946-1983 인천교육대학사 1편-1946-1983 仁川敎育大學史 第1輯-1946-1983 교육 문헌 현대 학교사 대학사범주1학교사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인천교육대학사편찬위원회
- 5차 IBRD 교육차관 공과대학사업계획종합 및 학교별평가보고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5차 IBRD 교육차관 공과대학사업계획종합 및 학교별평가보고서 5차 IBRD 교육차관 공과대학사업계획종합 및 학교별평가보고서 5차 IBRD 敎育借款 工科大學事業計劃綜合 및 學校別評價報告書 교육 문헌범주1교육재정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지응업 외
- 백제가 당의 국학에 자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築學舍一千二百間 太學四門博士亦增置生員 其書算各置博士學生 以備藝文 凡三千二百六十員 其玄武門屯營飛騎 亦給博士 授以經業 有能通經者 聽之貢擧 是時四方儒士 多抱負典籍 雲會京師 俄而高麗及百濟新羅高昌吐蕃等諸國酋長 亦遣子弟請入於國學之內 鼓篋而升講筵者 八千餘人 濟濟洋洋焉 儒學之盛 古昔...대표표제어백제가 당의 국학에 자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28년(戊子/신라 진평왕 50 建福 45/고구려 영류왕 11/백제 무왕 29/唐 太宗 貞觀 2/倭 推古天皇 36)
주제어사전(10)
-
태학사 / 太學士 [역사/근대사]
구한말 궁내부 소속의 문관직. 갑오개혁 때 종래의 홍문관과 예문관을 합쳐 경연청을 궁내부 내에 설치하였는데, 이 기관의 장으로 태학사 1인을 두고, 그 아래 학사, 부학사 각 1인과 시강과 시독 각 2인을 두었다. 태학사가 궐석일 경우에는 궁내부대신이 이미 태학사를
-
대학사 / 大學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보문각·예문관·문덕전·연영전에 소속된 관직. 보문각에는 1인을 두었다. 그 뒤 충숙왕 원년에 심왕(瀋王)의 건의로 대제학(종2품)을 두었는데, 이 관직이 공민왕 5년에 대학사로 바뀐 것이다. 그러나 1362년(공민왕 11)에 다시 대제학으로 바뀌는 등 명칭에
-
태학은배시집 / 太學思杯詩集 [문학/한문학]
성균관 태학생과 초계문신들의 시를 모아 1798년에 간행한 시선집. 5권 2책. 고활자본. 정조가 성균관 춘당대(春塘臺)에서 친시(親試)를 보인 다음, 『시경(詩經)』 녹명장(鹿鳴章) ‘我有嘉賓(아유가빈)’이라는 글귀를 새긴 은배(銀杯)를 하사하고 어제문(御製文)을 내
-
고려지 / 高麗志 [역사/고려시대사]
원나라 집현태학사 상의중서성사 왕약이 사신으로 고려에 와 견문한 내용을 기록한 견문록. 모두 4권으로 되어 있었다. 현전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저작연대·체재·내용 등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
김학진 / 金鶴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8∼?). 전라도에서 동학농민군이 봉기했을 때, 전라감사 김문현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홍문관학사·궁내부특진관이 되었으며, 그 뒤 시종원경·태의원경을 거쳐 홍문관태학사가 되었다. 일제로부터 남작의 작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