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태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8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태종
- 태조대왕가상시호망단
- 신덕왕후추상휘호망단
연구성과물(15,159)
사전(7,686)
- 대정지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저 태묘에 올리고 조회(朝會)에도 연주하도록 하였는데, 이 때 태묘 9실의 악장(樂章)이 새로 제정되었다. 이 9실의 악장은 태조 이하 숙종에 이르는 왕의 업적을 기린 것으로 각각 곡명이 따로 있으며, 대정지곡은 제1실 태조의 치적을 찬양한 4언 8구 형식의 악...이칭별칭태정지곡(太定之曲)
- 진안대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54(공민왕 3)∼1393(태조 2). 조선 전기의 왕자. [개설] 이름은 방우(芳雨). 전주이씨 진안대군파의 시조이다. 태조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韓氏)이고, 부인은 찬성사 지윤(池奫)의 딸이다. 정종과 태종의...이칭별칭 경효(敬孝)|이방우
- 의조경강대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왕족. [내용] 태조 왕건의 할아버지이다. 919년(태조 2) 3대를 추존할 때 올린 시호이다. 『고려사(高麗史)』에 인용된 김관의(金寬毅)의 『편년통록(編年通錄)』에 의하면, 이름이 작제건(作帝建)으로 당나라...이칭별칭작제건(作帝建)
- 태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새 황조의 황제이다. 처음에는 석일태의 형상 때문에 능력을 의심하나, 일태가 몸을 바위에 부딪쳐 천 조각을 내는 것을 보고 매우 놀란다. 일태의 말대로 장백의 난이 일고 현 황제가 출격하자, 그 틈을 타 궁궐을 접수한다. 유기를 대원수로 삼아현 황제에게 항복을 받으라고...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태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2)
- 국왕 숙종, 잊혀진 창업주 태조를 되살리다 [조선후기 왕실 사적 정비 연구 | 경상대학교]저자 : 윤정(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 출판사 : 여유당 | 출판일 : 2013.04.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태조를 다시 살리기까지 2. 창업주 태조를 되살린 숙종 (1) 태조의 시호를 새로이 추가하다 (2) 태조의 영정을 다시 그리고 옛집에 비를 세우다 (3) 신덕왕후를 본궁에 제사
- 국역 〈요사〉 상 [<요사> 번역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저자 : 김위현(단국대학교), 이성규(단국대학교), 이상훈(단국대학교), 김한기(단국대학교), 변... | 출판사 : 단국대학교 출판부 | 출판일 : 2012.12.31권1 본기(本紀) 제1 태조(太祖)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 상 권2 본기 제2 태조 야율아보기 하 권3 본기 제3 태종(太宗) 야율덕광(耶律德光) 상 권4 본기 제4 태종 야율덕광 하
고서·고문서(6,582)
- 태조실기(太祖實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개인-전기-유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생활상태조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사회사정 | 소장처学習院大学東洋文化硏究所 | 출판사朝鮮総督府
- 청취실태조사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청취실태조사표 최 여자 장쑤성(江苏省) 난징시(南京市) 중산로 21호 1 1 청취실태조사표, 보내, 소망, 당신들, 한복...대표표제어청취실태조사표 | 성씨최
- 고구려 태조왕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14-24-2 『冊府元龜』 卷997 外臣部 勇驇 고구려 고구려 태조왕 53∼146년 11700쪽 4026쪽 11537쪽 후한 시기에 고구려왕 궁(태조왕)이 수 차례 변경을 침입하였다는 기록이다. 後漢 句驪王宮勇壯 數犯邊境 후한(後漢) 때 고구려왕 궁(宮) 궁(宮)은...권차『冊府元龜』 卷997 外臣部 勇驇 | 연도53∼146년 | 기사해제후한 시기에 고구려왕 궁(태조왕)이 수 차례 변경을 침입하였다는 기록이다.
- 을묘년 태조(泰趙)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구술자료(34)
- 명태조(明太祖)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준비해 온 레퍼토리에 순서가 명태조로 되어 있었다. 명태조가 본래 한국 사람이었다는 이야기인데, 이것은 역사적으로 매우 가치 있는 이야기라는 생각에서 말하는 것임이 분명히 엿보였다. 이 이야기도 아버지에게서 들은 이야기라 한다. 아버지는 귀절 귀절을 한문귀를 써서...조사일시1980-02-17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노형동 | 제보자양형회
- 이태조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른 사람들보다 조금 늦게 조사장소에 나타난 제보자가, 박사일씨의 이야기가 끝나자, 조사자에게 늦게 나와서 미안하다고 하며 술을 한 잔 마시고는 이 이야기를 했다. *조사일시1980-08-1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 제보자황천석
- 이태조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이야기를 마친 제보자가 자기가 한 이야기가 합격이냐 불합격이냐고 묻기에, 조사자가 아주 잘했다고 칭찬을 하니 기분이 썩 좋은 듯이, “그럼 한 가지 더 하지요.” 하면서 구술한 것이다. *조사일시1980-08-19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 제보자정수갑
- 이태조의 등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는 제보자의 기억을 돕기 위해 ‘우투리 이야기’를 해달라며 유도했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 사이 노인 회장을 비롯하여 청중들이 제보자를 찾느라고 전화를 여러 군데 하였으나 사람을 찾기가 힘들었다. 모두들 들에 나가고, 마침 장날이어서 장에 나갔기 때문이었다. ...조사일시1984-08-27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영원면 | 제보자김형기
- 이태조와 웃돌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53을 시작하면서 전라도 개땅쇠를 꺼내고는 이것 때문에 이야기 하나더 하게 생겼다고 했다. 조사자가 설화 53 이 끝난 뒤 바로 그 이야기를 해달라고 부탁하자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82-08-01 | 조사장소전라북도 군산시 대명동 | 제보자이용덕
기초학문(84)
- 문헌 해제 : 박은식의 『몽배금태조(夢拜金太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7696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4 문헌 해제 : 박은식의 『몽배금태조(夢拜金太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고려 태조 왕건의 質子政策에 대한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명진, 게재일 : 201353251 김명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세사학회 2013 고려 태조 왕건의 質子政策에 대한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명문대학에 입학한 장애학생 실태조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화, 게재일 : 201354300 김경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명문대학에 입학한 장애학생 실태조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고려 태조 왕건의 기병 운영에 대한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명진, 게재일 : 201663489 김명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6 고려 태조 왕건의 기병 운영에 대한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6
-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정수, 게재일 : 201227458 한정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학회 2012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23)
- 大詔渙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졔리 황 폐하압셔 죠칙을 나리셧 차홉다 너의 대소신민은 히 짐의 고을 들을지어다 짐이 대죠의 히명심을 밧들어 졍를 리지라 이 유신를 당야 국시를 뎡치못고 시△…△짐에 츙신과 역젹의 판단이 될더러 국가에 를 침이심상치안이 니...게재일1907년 7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大詔放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월십팔일에 죠칙을나리 젼라남도 완도군신지도 류죵신죄인 김풍 리츙구 리룡관과 지도군지도 류죵신죄인 강셩향 민용훈과 흑산도 류죵신죄인 리죠현과 류십오년죄인 쟝윤상과 임도 류죵신죄인리죵림과 류십년죄인 김찬과 진도군금잡도류죵신죄인최영화 강인필 리승린 홍병진과 황도황...게재일1906년 1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大詔煥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죠셔나려 갈아쟈고로 의병이란거시 업지안이나 국가에란이나 디방에도젹이 요란가아니면 못난일인 근일들은즉동남각군에 소위의병의 형셰가 챵궐다니 져의 난일이 무삼의리냐 그형젹을 궁구면 다만 비도의 변명이라 참 의리잡은 어진사들이 엇지살고 군부에셔 ...게재일1905년 10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霜降太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도각군에 상강이 일즉되야 곡식의손가만은 쳔군에 거월이십팔일이오 금쳔군에 이십구일이오 평산군에 삼십일이오 장연군에 금월이일이오 령군에 금월삼일에 상강이라더라게재일1905년 10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中山大助(中山大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中山大助(中山大助) 서울 中山大助 中山大助 新町 3-250 식료품 - 생선(生魚) 소매 23.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中山大助(中山大助)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생선(生魚)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55)
- 대한결핵협회는 1970년 3월부터 7월 말까지 제2차 전국 결핵 실태조사에 나섰다. 지난 1965년도에 처음 실시되었던 1차 조사에 이어 이번에는 결핵에 관한 그 동안의 변화를 파악하여 새로운 결핵관리정책의 자료를 마련하려 했던 것이다. 결핵협회는 결핵퇴치를 위한 장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70년 4월 4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17세기 중반 디추[大棗]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O/X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경제_1073_17세기_중반_디추[大棗] 경제_1073_17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서 다루고 있는 드라마는 안시성, 태조왕건, 명량과 한산, 서편제, 미스터션샤인, 암살, 파친코, JSA, 택시운전사, 기생충입니다. 1주차. 안시성 2주차. 태조왕건 3주차. 명량과 한산 4주차. 서편제 5주차. 미스터선샤인 6주차. 암살 7주차. 파친코 8주차.강좌제목K-드라마 인물사 | 강의자오치훈, 오지혜, 이주호
- 서 다루고 있는 드라마는 안시성, 태조왕건, 명량과 한산, 서편제, 미스터션샤인, 암살, 파친코, JSA, 택시운전사, 기생충입니다. 1주차. 안시성 2주차. 태조왕건 3주차. 명량과 한산 4주차. 서편제 5주차. 미스터선샤인 6주차. 암살 7주차. 파친코 8주차.강좌제목K-드라마 인물사 | 강의자오치훈, 오지혜, 이주호
- 서 다루고 있는 드라마는 안시성, 태조왕건, 명량과 한산, 서편제, 미스터션샤인, 암살, 파친코, JSA, 택시운전사, 기생충입니다. 1주차. 안시성 2주차. 태조왕건 3주차. 명량과 한산 4주차. 서편제 5주차. 미스터선샤인 6주차. 암살 7주차. 파친코 8주차.강좌제목K-드라마 인물사 | 강의자오치훈, 오지혜, 이주호
기타자료(493)
- 박태조;朴泰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861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8면 박태조;朴泰祚 제1회 1934년 9월 2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강태조;姜泰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00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0면 강태조;姜泰祚 제3회 1935년 9월 2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태조;朴泰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5742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52면 19. 제19회(갑종 3회) 졸업생(41명) 소화8년 3월 11일 박태조;朴泰祚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강태조;姜泰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5827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60면 21. 제21회 졸업생(36명) 소화10년 3월 6일 강태조;姜泰祚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태조;申泰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0374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76면 신태조;申泰祚 경북 대구부 칠성동 304 제20회 4265년 3월 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3)
-
고려사 세가 태조~헌종 영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김도형 | 연세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고려사』 세가 숙종 ~ 의종 영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Howard Kahm | 연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고려사』 세가 명종 ~ 원종 영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Howard Kahm | 연세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능침사(陵寢寺)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탁효정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북경지역 한국학 교육 연구 강화 및 다민족 대상 한국학 교육 시스템 구축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김춘선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 2013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660)
-
태조 / 太祖 [역사/조선시대사]
1335(충숙왕 복위 4)∼1408(태종 8). 조선 제1대 왕. 자춘 둘째 아들, 어머니는 최한기의 딸이다. 비는 신의왕후 한씨이다. 계비는 신덕왕후 강씨이다. 1392년 7월 공양왕을 원주로 내쫓고, 새 왕조의 태조로서 왕위에 올랐다. 명나라의 양해 아래 새 왕조
-
철자법실태조사 / 綴字法實態調査 [언어/언어/문자]
국어심의회 위원이던 정경해가 개인적으로 실시한 철자법(맞춤법) 사용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 보고서. 1954년 총 1023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맞춤법 관련 설문조사 및 그 결과 보고서. 필자는 한글맞춤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론을 지닌 이로, 이 설문조사는 「한글맞
-
대조선사 / 大朝鮮史 [역사/근대사]
는 태고(太古), 상세(上世), 중세(中世), 근세(近世), 최근(最近)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태고는 조선족의 신흥시대(朝鮮族의 新興時代)·이성조탄강시대(二聖祖誕降時代)로, 상세는 대조선건설시대(大朝鮮建設時代)·오국시대(五國時代)로 구분하였다.
-
구리태조건원릉신도비 / 九里太祖健元陵神道碑 [예술·체육/서예]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전기 제1대 태조의 능인 건원릉에 세워진 신도비. 보물. 보물 제1803호. 경기도 구리시의 동구릉(東九陵) 내에 위치한 건원릉 신도비는 1409년(태종 9) 4월에 건립되었다. 태종의 명을 받아 길창군(吉昌君) 권근(權近)이 비문을 짓고 좌
-
이태조구산지설화 / 李太祖求山地說話 [문학/구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