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태을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11)
- 태을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몸에 지니고 다닐 때에는 사귀(邪鬼)를 쫓는 부적이 되는 것으로 믿는다. 원래 <태을주>는 조선 선조 때 충청도 비인(庇仁)에 살았던 도인(道人) 김경흔(金京흔訢)이 50년간의 도통공부를 마치고 지은 것이라 한다. 그는 모든 주문들을 사용하여 보았지만 효...
- 주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때 시천주(侍天呪)‧태을주(太乙呪)‧오주(五呪) 등의 주문을 외우고 그 주문을 써서 불태운다. 또한 시천주를 가지고 사명기(司命旗)를 만들기도 하였다. 특히 태을주를 외우면 병마가 침범하지 못한다고 하여 기본주문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태을주는 ‘훔치훔치...
- 김형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받았다고 하면서 교파를 형성하였다. 그는 강증산이 가르친 태을주(太乙呪)를 쓰지 않고, 동학에서처럼 시천주(侍天呪)로써 수련하면서, 신자의 생년(生年)에 의한 물형부(物形符:玄武經에 있는 符를 十二地支에 붙여 동물의 모양을 그림)를 그려 불사름으로써 병을 치료하고 재앙...이칭별칭 태운장(泰雲長)
- 미륵불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형렬은 증산교에서 사용하는 태을주(太乙呪)를 쓰지 않고 동학에서 사용하는 시천주(侍天呪)로 신도들을 수련시켰으며, 신도들 각자의 생년지(生年支)에 해당하는 동물을 그린 물형부(物兄符)를 매일 수십 장씩 그려 그 동물과 각자의 성명을 새긴 인장을 찍어 불사르게 하였다....
- 태화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앙의 대상은 교조 김봉남이다. 즉, 교조를 태상로군(太上老君)과 미륵불의 화현(化現)이라고 믿었다. 구도수련은 태을주(太乙呪)를 주송(呪誦)하는 것을 주로 하고 법방(法榜)이나 ‘팔팔정국(八八井局) 십육계통안도(十六界通眼圖)’를 붙여놓고 수련한다. 수련의 단계...
고서·고문서(3)
- 臨別又題【上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Link?DCI=ITKC_MP_0597A_0070_010_0580_2014_001_XML 001 山客歸山不可留,前期檻外水長流。久閑筋力勞還健,垂老猖狂死乃休。意到則來何必約?話闌而別莫須愁。吳鹽蜀枲船相續,玆是仙人太乙舟。 625쪽권차명詩集 卷七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계당초고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詩 春川省楸行姜秋琴房松年-麟祥-同至楊州板橋, 三月三日菲芳洞省 先祖壯節公墓仍行時享, 謁道浦書院渡江登昭陽亭, 冒雪至楊口縣主倅李素隱-秉民-丈夜話, 狼川道中, 還至加平淸平川, 南湖訪柳雲農-冀善-留宿, 追憶春川形勝率成長句, 錦洄和秋琴太乙酒歌, 閒夕, 雨中寄懷三壺先生-三壺則...분야문학 | 유형문헌
- 동유록(東遊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峯巒富麗. 楓林照耀乎夕陽, 亦可觀也. 暮衆僧來見, 長老僧任貫性訓兄弟亦來見. 二僧皆解文字, 可與言. 有守甘者, 乃三寶也. 越明日乙酉. 早食向萬景臺. 路由舡潭, 恰似內山舡潭而尤大濶. 景致絶勝, 逍遙移時, 不勝淸興, 遂作一詩. 詩曰, “萬峯千壑是何區, 蓮葉重看太乙舟, 暫...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서(李漵)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1)
-
태을주 / 太乙呪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의 여러 교파에서 사용하는 주문. 원래 태을주는 조선 선조 때 충청도 비인에 살았던 도인 김경흔이 50년간의 도통공부를 마치고 지은 것이라 한다. 태을주는 역(易), 불(佛), 선(仙)의 세 사상이 조화롭게 합하여져 있으며, 말세의 병마를 내쫓아 후천세계를 개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