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탕평책” 에 대한 검색결과 2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8)

사전(2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聽政)의 시비로 노‧소론간의 분쟁이 격심해 신임사화라는 당화(黨禍)를 몰고 온 폐해를 직접 경험한 장본인이다. 따라서 은 이것을 반성하는 입장에서 나온 정치이념이요, 예방책이었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한 때는 자신의 세제책립과 대리청정을 바라지 않던 소론...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영‧정조 대에 당쟁을 막기 위해 당파 간의 정치세력에 균형을 꾀하려 한 정책.
    정의조선 후기 영‧정조 대에 당쟁을 막기 위해 당파 간의 정치세력에 균형을 꾀하려 한 정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tangpyeongchaek | MR표기t’angp’yŏngch’ae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탕평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녹두묵에 고기볶음‧미나리‧김 등을 섞어 만든 묵무침. [내용] 탕평채라는 음식명은 영조 때 여러 당파가 잘 협력하자는 을 논하는 자리의 음식상에 처음으로 등장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만드는 법은 먼저 녹두묵을 얇고 가늘게 채...
  • 무신옥안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론 인물임을 짐작할 수 있다. 당시의 무신란에 관련된 다른 자료와 함께 영조시대 전반의 당론과 에 관한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무신옥안초 ...
  • 탕평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영조 때 탕평정책 시행을 기리기 위한 한 방편으로 실시한 특수과거. [내용] 부정기 시험의 하나인 정시(庭試)의 일종이다. 의 일환으로서 유생들에게 당론(黨論)을 금하게 할 목적으로 1772년(영조 48)에 처음으로 설...

고서·고문서(19)

  • 분무녹훈도감의궤(奮武錄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의해 격파되었다. 반란의 평정 이후 영조는 즉위 초부터 주창되어온 () 명분을 더욱 굳힐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왕권의 강화와 정국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친경의궤(親耕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재위기간이 52년이나 되었다. 치열한 당쟁(黨爭) 속에서 왕위에 등극한 영조는 붕당(朋黨)의 폐습을 통감하여 이후 인재를 고르게 등용하는 ()을 기본 정책으로 삼아 당쟁의 격화를 막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1728년이인좌의 난을 계기로 이후 영조는 노론을 중용...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하하였다. 치열한 당쟁(黨爭) 속에서 왕위에 등극한 영조는 붕당(朋黨)의 폐습을 통감하여 이후 인재를 고르게 등용하는 ()을 기본 정책으로 삼아 당쟁의 격화를 막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1728년 이인좌의 난을 계기로 이후 영조는 노론을 중용하였고, 이같은 노...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영조국장도감의궤(英祖國葬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이후 인재를 고르게 등용하는 ()을 기본 정책으로 삼아 당쟁의 격화를 막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1728년 이인좌의 난을 계기로 이후 영조는 노론을 중용하였고, 이같은 노론과 소론의 대립 구도는 끝내 1762년 아들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죽음으로 몰고 갔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영조빈전도감의궤(英祖殯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여 이후 인재를 고르게 등용하는 ()을 기본 정책으로 삼아 당쟁의 격화를 막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1728년 이인좌의 난을 계기로 이후 영조는 노론을 중용하였고, 이같은 노론과 소론의 대립 구도는 끝내 1762년 아들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죽음으로 몰고 갔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3)

  • 영조 초 붕당론의 변용과 의 수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지희, 게재일 : 2016
    62225 한지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학진흥원 2016 영조 초 붕당론의 변용과 의 수립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다산의 국가 구상과 정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7562 한국연구재단 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의 국가 구상과 정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논문 : 18세기 관인(官人),실학자(實學者)의 정치비평(政治批評)과 ()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를 중심으로 = Political Critiques Made by Government Officials and Sirhak Scholars during the 18th Century and T`angp`yong Politics -With a Special Focus on Hong Yangho-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6637 한국연구재단 부산경남사학회 2011 논문 : 18세기 관인(官人),실학자(實學者)의 정치비평(政治批評)과 ()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를 중심으로 = Political Critiques Made by Govern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주제어사전(11)

  • / [정치·법제/정치]

    조선 영·정조대에 당쟁을 막기 위해 당파간의 정치세력에 균형을 꾀하려한 정책. 영·정조대에 꾀해진 탕평정책은 전제왕조대에 격렬한 파당간의 갈등을 어느 정도 해소시켜 정국을 이끌어 나갔다는 점에서 전대보다는 발전된 정책운영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이정보 / 李鼎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3∼1766). 173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수원부사·도승지·이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지평에 재임 중 시무십일조를 상소하는 등 여러 번 을 반대하다 면책받았다. 1762년 기로소에 들어갔다.

  • 유언호 / 兪彦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0∼1796). 1761년(영조 37)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두루 역임하였다. 정조 등극 후에는《명의록》 편찬을 담당하였으며, 정조의 에 옹호하였다. 문학으로 이름이 있었으며, 외유내강의 인물로서 평가된다. 저서로《칙지헌집》

  • 윤급 / 尹汲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7∼1770). 이재·박필주의 문인으로, 예문제학·대사헌·좌우참찬·판의금부사·한성판윤, 형조·예조·이조·형조의 판서 등을 역임했다. 영조의 을 반대하며, 자주 파직·좌천되기도 했다. 글씨에 뛰어나 독특한 서체를 이룩하였고, 저서로는《근암집

  • 이민곤 / 李敏坤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95∼1756). 보령현감 때〈황극연의〉를 지어 올려 왕도정치를 촉구했다. 사간 때 언로 막힘은 망국의 근본이라며 조종보 신원 상소를 냈다 거제로 유배 갔다. 비판과 조영국을 탄핵하다 유배 길에 죽었다. 도승지에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