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탄력도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2)
- 탄력도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런데 이 탄력도위는 1466년(세조 12) 전력도위(展力徒尉)가 개칭된 것이다. 즉 조선 초기 무반의 경우 관계(官階)는 8품까지 밖에 없었기 때문에 토관에 있어서도 당초 서반은 8품을 하한(下限)으로 하였다. 그러나 1436년(세종 18)에 서반에...
- 종구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효력도위(效力徒尉)가 신설되었는데, 그 뒤 ≪경국대전≫에는 효력도위가 탄력도위(彈力徒尉)로 개칭되어 법제화되었다. 또한, 잡직계는 1444년에 서반잡직계만 정하였다. 이 때에도 종9품은 정해지지 않다가 ≪경국대전≫에서 문계는 전근랑(展勤郎), 무계는 근력부위...
주제어사전(2)
-
탄력도위 / 殫力徒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9품의 토관계. 이 관계에 해당되는 관직은 부여용(副勵勇)으로 영흥부의 진북위에 4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5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 경성도호부의 진봉위, 의주목의 진강위에 각각 5인, 회령경원도호부의 회원위, 종성·온성·부령·경흥도호부의 유원위,
-
종구품 / 從九品 [정치·법제/법제·행정]
력부위가 수록되었다.1457년(세조 3)에 토관계의 문계로 시사랑, 무계로는 효력도위가 신설되었다. ≪경국대전≫에는 효력도위가 탄력도위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