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탁지아문” 에 대한 검색결과 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5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 등 8아문을 설치, 7월 20일부터는 아문관제(衙門官制)에 따라 직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은 구제도 아래서의 호조(戶曹)‧친군영(親軍營)‧선혜청(宣惠廳)‧광흥창(廣興倉)‧군자감(軍資監)‧전운서(轉運署)의 업무를 포함, 전국의 예산‧결산‧조세출납‧국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4년 호조(戶曹)를 폐지하고 둔 관청으로 국가 재정에 대한 일을 관장.
    정의1894년 호조(戶曹)를 폐지하고 둔 관청으로 국가 재정에 대한 일을 관장.[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Takji Amun | MR표기T’akchi Am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총무국(總務局), 주세국(主稅局), 주계국(主計局), 출납국(出納局), 국채국(國債局), 저치국(儲置局), 기록국(記錄局), 전환국(典圜局), 은행국(銀行局), 회계국(會計局) 탁지부(度支部), 갑오개혁(甲...
    하위어총무국(總務局), 주세국(主稅局), 주계국(主計局), 출납국(出納局), 국채국(國債局), 저치국(儲置局), 기록국(記錄局), 전환국(典圜局), 은행국(銀行局), 회계국(會計局) | 관련어탁지부(度支部), 갑오개혁(甲午改革), 호조(戶曹), 친군영(親軍營), 선혜청(宣惠廳), 광흥창(廣興倉), 군자감(軍資監), 전운서(轉運署), 별영(別營)
  • 종백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 간소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개편과 함께 궁내부‧종친부‧종백부 산하 각 사에서 종전에 응입(應入)하였던 전곡도 으로 하여금 담당하도록 하여 전국의 재정이 일원화되었다. 그러나 전국 재정이 일원화되어 종전 왕실에서 지배하던 재원이 의 관할...
  • 국채국(國債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채국 국채국 國債局 갑오개혁(甲午改革), 근대(近代) 개혁(改革), (), 의정부(議政府) 관제(官制) 참의(參議), 주사(主事) 국내외(國內外) 국채(國債) 모집(募集), 국채(國債) 상환(償還), 탁지부(度支部),
    상위어갑오개혁(甲午改革), 근대(近代) 개혁(改革), 탁지아문(度支衙門), 의정부(議政府) 관제(官制) | 하위어참의(參議), 주사(主事) | 관련어국내외(國內外) 국채(國債) 모집(募集), 국채(國債) 상환(償還), 탁지부(度支部), 서무국(庶務局)

고서·고문서(1)

  • 李太王實錄資料9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신에게 물종을 贈給하는 일을 로 하여금 마련하여 내려보내도록 하라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257)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11.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11.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5)

  • / [역사/근대사]

    구한말 국가 재무를 총괄하였던 중앙행정관청. 1894년에 갑오개혁이 추진되면서 6월 28일 군국기무처의 의안에 따라 궁내부와 의정부로 나누고 의정부 아래 8아문을 설치, 7월 20일부터는 아문관제에 따라 직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은 구제도 아래서의 호조, 친

  • 좌승선 / 左承宣 [역사/근대사]

    구한말 승선원의 관직. 1894년 갑오개혁으로 관제가 개편되면서 궁중과 부중을 구분하여 의정부와 궁내부를 두었다. 이 개편의 일환으로 종래의 승정원을 고쳐 승선원을 두었는데, 여기에 소속된 관직의 하나이다. 정원은 1인으로 약제를 겸임하도록 제도로 규정하였으며,

  • 둔전촌 / 屯田村 [사회/촌락]

    전은 1894년 갑오경장으로 ()에 이속되어 결국 역둔토(驛屯土)로 국유화되었다.

  • 종백부 / 宗伯府 [역사/근대사]

    구한말 봉상시, 종묘서, 사직서, 전생서 등의 소관사무와 각 전, 묘, 능, 원, 궁의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궁내부, 종친부, 종백부 산하 각 사에서 종전에 응입하였던 전곡도 으로 하여금 담당하도록 하여 전국의 재정이 일원화되었다. 그러나 전국 재정이 일원화

  • 탁지부 / 度支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말기 재무행정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1895년(고종 32) 8아문을 7부로 개편할 때 을 개칭한 것으로, 정부의 재무를 총괄하고 회계·출납·조세·국채·화폐·은행 등에 관한 일체 사무를 관장하며 각 지방의 재무를 감독하던 중앙관청이다. 소속 기관으로는 사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