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칼자루끝장식” 에 대한 검색결과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되는 별주식(別鑄式)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은 자루를 형성하는 데 꼭 필요로 하며, 또 이것은 요령지방과 한반도에서만 발견되는 특색있는 유물이라 하겠다. 우리 나라의 은 십자형의 조그마한 석제품과 동제품이 대부분이다. 일본에서는 베개모양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검의 자루 끝에 청동(靑銅)이나 돌로 만들어 붙인 장식.
    정의동검의 자루 끝에 청동(靑銅)이나 돌로 만들어 붙인 장식.[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kaljaru kkeut jangsik | MR표기k’alcharu kkŭt changs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경주평동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주하고 있다. 1900년대 초 구덩식돌덧널[竪穴式石槨]에서 동검 1점과 [劍把頭飾]이 함께 출토되었다. 동검은 등날이 밑둥까지 나 있으며, 슴베[莖部]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길이 28.7㎝, 너비 3㎝이다. 은 돌로 만든 것으로...
  • 곡성공북리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방형의 돌널을 만들고 그 위에 개석을 얹은 형식이다. 널의 길이가 1.7m에 달하는 것도 있어 펴묻기도 가능하다. 널 내부에서는 유물이 출토되지 않았으나, 주변에서 토제 1점(B호)과 민무늬토기조각들(B‧C호)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주변에 모난 돌...
  • 재령고산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동자귀[靑銅手斧]‧[劍把頭飾]이 출토되었다고 소개되어 있어 청동기시대의 유적임을 말해주고 있다. 세형동검에서 보이는 특징은 몸체의 가운데 등날을 세웠으나, 아랫부분은 명확하지 않고 마디도 보이지 않고 있어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의 전통이 남아 있음...

기타자료(1)

  • 에 의해 나온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유구와 출토위치를 알 수 없으나 이 유물을 소개한 보고자에 의하면 토광묘로 생각되는 유구에서 청동(청동제파두식), 거울(방격규구사신경), 그리고 철제 짧은 검 2점과 투겁창 2점이 일괄유물로 나왔다고 한다. 그리고 보...
    발행연도1987 | 발굴기관창원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13)

  • / [역사/선사시대사]

    우리나라와 만주에서 발견되는 만주형동검[琵琶形銅劍·遼寧式銅劍]과 한국형동검[細形銅劍]의 자루 끝에 장식을 붙이기 위하여 청동이나 돌로 만들어진 장식. 우리나라의 은 십자형의 조그마한 석제품과 동제품이 대부분이다. 일본에서는 베개모양[枕型], 그 베개모양 중

  • 동파두 / 銅把頭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에서 출토된 철기시대의 청동제 칼자루끝. 이 유물은 의 몸체에 해당하는 청동칼자루끝이며 1969년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덧널무덤〔木槨墓〕에서 방격규구사신경(方格規矩四神鏡) 1점, 철검 2점, 철모 2점 등과 함께 출토되었다.

  • 황주흑교리유적 / 黃州黑橋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황주군 흑교면 흑교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분묘 유적. 발견된 유물로는 날이 평행에 가까운 후기양식의 세형동검 1점, 동모(銅鉾) 1점, 十자형 [劍把頭飾] 1점, 전한시대의 오수전(五銖錢) 2점, 을자형관금구(乙字形管金具) 2점, 삿갓형자루끝[笠形

  • 경주평동유적 / 慶州坪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경주시 평동에 있는 초기 철기시대의 분묘 및 신석기시대 이래의 생활유적. 경주 남산의 동사면에 있으며, 한경(漢鏡)이 출토된 경주 조양동유적과는 평야를 가운데 두고 마주하고 있다. 1900년대 초 구덩식돌덧널[竪穴式石槨]에서 동검 1점과 [劍把頭飾

  • 은파갈현리유적 / 銀波葛峴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봉산군 쌍산면(현재 북한의 황해남도 은파군) 갈현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널무덤 유적. 구덩이 안에서는 지표 하 70㎝에서 철제유물이 나타나고 100∼105㎝ 아래에서 청동유물이 출토되었다. 그 종류는 청동기로 세형동검(細形銅劍) 1점, [劍把頭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