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칠정산외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2)
사전(89)
- 칠정산외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수시력 授時曆≫을 만들었으며, 당시 중국에는 계통이 다른 두가지의 역법이 시행되었던 셈이다. 따라서 회회력을 해설한 ≪칠정산외편≫은 수시력을 해설한 ≪칠정산내편≫과는 그 계통이나 방법에 큰 차이가 있다. ≪칠정산외편≫은 각 도의 단위는 그리스의 전통을 따라 오...
- 칠정산외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444년 이순지(李純之, ?-1465) 등이 간행한 역법서(曆法書).정의1444년 이순지(李純之, ?-1465) 등이 간행한 역법서(曆法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Chiljeongsan oepyeon | MR표기Ch’ilchŏngsan oep’y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빈동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종 17년(1435) 문과에 급제하고 경주부윤, 이조판서를 역임했으며 천문학에 밝아 왕명을 받아 조선역학(曆學)의 기본이 된 우리나라 최초의 역법인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을 만들었다. 세조 10년(1464)에 사망하니 문절공(文節公)이라 시호하였...연계항목빈동재사(賓洞齋舍)
- 궁윤일(宮閏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금씩 다르다. 이때 1년의 실제 길이인 365.2422일과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에서 정한 1태양년의 길이인 365일을 맞추기 위해 각 궁에 두는 윤일을 궁윤일이라고 한다. 여기서 계산의 기준이 되는 해는 『회회력(回回曆)』과 『칠정산외편』의 역원인 개황 19년...관련어궁윤준(宮閏准), 역원(曆元)
- 월윤준(月閏准)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월윤준 월윤준 月閏准 문화과학/천문 개념용어 안영숙 [정의] 실제 1태음년과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에서 정한 1태음년의 차이를 30년간 누적시켜 구한 값의 정수 부분. [개설...
고서·고문서(3)
-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우리나라는 삼국시대 이래 중국에서 역서(曆書)를 수입하여 사용하였는데, 세종은 조선의 실정에 맞는 역법(曆法)을 만들고자 《칠정산》을 편찬하였다. 세종은 《칠정산》을 통해 우리 자연환경에 맞는 날짜와 절기를 알려줌으로써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키고, 일식‧월식과 같은 천문...저자이순지(李純之), 김담(金淡) | 간행시기1432년(세종 14)∼1442년(세종 24) | 판본형태(내편)3책, (외편)5책
- 희재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다. 증조인 文節公 淡은 『七政算外篇』 ‧『歷代兵要』를 편찬했으나 세조의 즉위 이후 不起하였다. 조부 萬稱과 부친 佐도 文節公의 遺意에 따라 덕을 숨기고 출사하지 않았다. 모친은 義城金氏 建功將軍 壽千의 딸이다. 府 君은 天資가 秀美하고 篤學力行하여 擧業을 달갑게 여...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학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416∼1464)을 모신 丹溪書院에 賜額을 내려줄 것을 청한 글이다. 김담은 저자에게 8代祖가 된다. 세종 때의 천문학자로 본관은 禮安이고 字는 巨源, 號는 撫松軒이다. 1435년(세종17) 庭試에 병과로 급제한뒤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특히 이순지와 함께 『七政算外...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칠정산외편 / 七政算外篇 [과학/과학기술]
계통이 다른 두가지의 역법이 시행되었던 셈이다. 따라서 회회력을 해설한 ≪칠정산외편≫은 수시력을 해설한 ≪칠정산내편≫과는 그 계통이나 방법에 큰 차이가 있다. ≪칠정산외편≫은 각 도의 단위는 그리스의 전통을 따라 오늘날처럼 원주를 360°로 하여 60진법(進法)이 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