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칠정산내편” 에 대한 검색결과 1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2)

사전(17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어 1432년 예문관제학 정인지(鄭麟趾)‧정흠지(鄭欽之)‧정초(鄭招) 등에게 명나라의 ≪칠정추보 七政推步≫‧≪대통통궤 大統通軌≫‧≪태양통궤 太陽通軌≫‧≪태음통궤 太陰通軌≫ 등의 서적을 연구하여 수시력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해설한 ≪≫을 편찬하게 하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444년 이순지(李純之, ?-1465) 등이 간행한 역법서(曆法書).
    정의1444년 이순지(李純之, ?-1465) 등이 간행한 역법서(曆法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Chiljeongsan Naepyeon | MR표기Ch’ilchŏngsan Naep’y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정묘년교식가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44년(세종 26)에 이순지(李純之)와 김담(金淡)이 간행한 역서(曆書). [내용] 1책. 활자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의 산법에 의하여 1447년(세종 29) 8월의 일식과 월식의 계산례(計算例)를 적어놓은 책...
  • 삭허(朔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時曆)』과『()』에서 삭책 즉 삭망월(朔望月)의 길이를 29일 5,305분 93초로 정하였으므로, 삭허(朔虛)는 4,694분 07초가 된다. 삭책의 일(日) 이하분(以下分)을 특히 삭여(朔餘)라고 하는데, 삭여가 5,305분 93초이고 삭허가 4,69...
    관련어삭망월(朔望月), 삭여(朔餘), 삭책(朔策)
  • 주적(周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天日數)라고도 한다. 천체가 하루 동안 움직이는 도수인 일행분(日行分)에 주천(周天)의 도수를 곱하면 주적(周積)의 일수를 얻는다. 주적 = 일행분 × 주천도 유경로·이은성·현정준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동의어주천일수(周天日數)

고서·고문서(1)

  •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이래 중국에서 역서(曆書)를 수입하여 사용하였는데, 세종은 조선의 실정에 맞는 역법(曆法)을 만들고자 《칠정산》을 편찬하였다. 세종은 《칠정산》을 통해 우리 자연환경에 맞는 날짜와 절기를 알려줌으로써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키고, 일식‧월식과 같은 천문...
    저자이순지(李純之), 김담(金淡) | 간행시기1432년(세종 14)∼1442년(세종 24) | 판본형태(내편)3책, (외편)5책

주제어사전(3)

  • / [과학/과학기술]

    1444년(세종 26)에 이순지(李純之)와 김담(金淡)이 편찬한 역서(曆書). 3책. 활자본.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에 대한 해설서이다. 칠정(七政)이란 일·월과 오성(五星), 즉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5개 행성(行星)을 가리킨 것으로, 이

  • 김담 / 金淡 [종교·철학/유학]

    서로 <>, <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 외편>, <태양통궤>, <태음통궤> 등이 있다.

  • 칠정산외편 / 七政算外篇 [과학/과학기술]

    계통이 다른 두가지의 역법이 시행되었던 셈이다. 따라서 회회력을 해설한 ≪칠정산외편≫은 수시력을 해설한 ≪≫과는 그 계통이나 방법에 큰 차이가 있다. ≪칠정산외편≫은 각 도의 단위는 그리스의 전통을 따라 오늘날처럼 원주를 360°로 하여 60진법(進法)이 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