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친족관계” 에 대한 검색결과 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9)

사전(45)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4037 차항 因야婚姻을不得類가卽其一例라 를 인하여 혼인함을 부득(不得)하는 종류가 즉 그 일례다. 兪星濬 法學通論 普昌學校 1905 210 가족...
    출전法學通論[普昌學校] | 계통분류 [사회생활] 가족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족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은 친족을 이루는 부계‧모계‧처계 중에서 부계를 중시하고 모계‧처계를 부차적으로 본 데에서 나온 것이다. 본래 는 출자(出自)로서 형성되므로 부계와 모계가 동시에 중시되는 양계(兩系) 친족제도와 부계나 모계 중 어느 한 편의 만을 특히 중시하는 단계(單...
    이칭별칭일족이당(一族二黨)|삼족(三族)
  • 항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항(祖行)이라 하며, 또 아래로 아들과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질항(姪行), 손자와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손항(孫行)이라고 한다. 전통적인 친족제도에서는 계보상의 거리에 따라 일정한 가 결정되었으며, 친족집단의 질서와 통합은 그러한 를 바탕으로...
  • 이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도 항시 친정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우리의 부계친족제도에서 이모와의 의 폭은 아주 좁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점은 고모와 대비해서 생각해 보면 더욱 분명해진다. 고모는 아버지의 남매이기에 나의 부계친족집단...
  • 종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방식은 중국의 관례 그대로 우리 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부계 혈족집단이 의 뼈대를 이루고 이성(異姓)의 친족은 제2차적인 를 구성한 것이다. 부계 친족집단을 가리키는 용어에 종(宗)이라는 단어가 흔히 포함되는 것은 부계친이 모계친이나 처계친에 비...

고서·고문서(28)

  • 구성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구성표 신 남자 경상북도 영덕군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철서구(铁西区) 확인 필요 4 4 ...
    대표표제어친족관계구성표 | 성씨
  • 의 발생 및 소멸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속(屬) 니시야마(西山篤郞)이 1918년에 조선인의 에 대해서 조사한 보고서이다. 니시야마(西山篤郞)은 1916년 조선총독부 고등토지조사위원회에서 서기로 근무하다가가 토지조사사업이 종료되면서 중추원에서 속(屬)으로 근무하면서 관습조사에 종...
    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의 발생 및 소멸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의 발생 및 소멸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자료명은 “ 발생 및 소멸원본”이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를 기술하고 있다. 분량은 153면이다. 각 왕조별 기록을 옮겨 놓은 것이다. 한문으로 표기되어 있다.
    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제이편보고서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민사 | 소장처筑波大学附属図書館中央図書館 | 출판사不明

기초학문(1)

  •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산업화 시기 한국 어머니의 모성 경험: 경제적 기여와 돌봄노동, 관리의 결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배은경, 게재일 : 2008
    20436 배은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여성연구소 2008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산업화 시기 한국 어머니의 모성 경험: 경제적 기여와 돌봄노동, 관리의 결합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5)

  • 朝鮮の 오청 77 日鮮萬葉歌話 (6) 井上收 106 泊船雨愁 福永巨明 130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7
  • 새로운 시대의식에 적응하는 검찰의 각오와 태세를 다시 한 번 가다듬자 이봉성 38 수사상의 5가지 문제 김성진 40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 83 와 재산범죄 차정문 97 공정증서 원본 등 불실기재죄 김성곤 106 근로자의 면책특권에 대...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 격, 년령, 취미, 행동, 그 인물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것이다. 작자는 희곡에 나오는 매개인물에 대하여 이상의 것을 상세하게 기록하지 않는다. 단지 이름과 성별, 년령과 직업, 등을 써놀 따름이다. 그밖엣것은 그 인물의 대사와 행동을...
    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53_0703_04 | 책임주필리두진
  • 17. 미묘한 영미 관계와 한국전쟁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
    는 것이 아닐까요? 이 편지에 따른 반응은 완전히 내적으로 머물러 있었을 성찰을 공개적으로 드러내고 보여준다는 것에 독자들이 어떤 불편함을 느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국인과 영국인들 간의 관계는 에서나 볼 수 있는 확실히 드러나지 않는 이유、미묘한...
    대표표제어17. 미묘한 영미 관계와 한국전쟁 | 자료유형외교문서(보고서) | 작성연월1951년 1월 | 작성일5일

주제어사전(4)

  • / [언어/언어/문자]

    어휘나 문법 면에서 공통의 조상 언어로부터 물려받은 유사점을 보이는 둘 혹은 여러 언어들을 하나의 언어 가족(language family, 어족)으로 묶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지칭하는 역사언어학 용어. 역사언어학에서 둘 혹은 여러 언어들이 어휘나 문법의 면에서 서로 유

  • 친족어 / 親族語 [언어/언어/문자]

    혈연(血緣) 또는 혼인(婚姻)으로 형성된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말. 우리나라는 가족 관계를 중시하는 문화로 인해 친족어가 발달되었다. 혈연이나 혼인으로 이루어지는 친족 명칭은 남성과 여성의 구별, 친가(親家)와 외가(外家)의 구별 등의 기준에 바탕을 두고

  • 상속 / 相續 [사회/가족]

    일정한 가 있는 사람 사이에 한 쪽이 사망하거나 법률상의 원인이 발생하였을 때 재산적 또는 친족적 권리와 의무를 포괄적으로 계승하는 제도. 상속은 그 대상에 따라 가계를 계승하는 것과 망자의 재산을 상속하는 두 종류가 있다. 가계계승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초기

  • 수양시양등록 / 收養侍養謄錄 [사회/가족]

    허가되면 그 사실을 등록하고 다시 관찰사에게 통보하도록 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동성·이성을 묻지 않고 3세 전에 유기된 아이는 데려다 양육하여 자기의 친자와 같은 를 가질 수 있었으며, 그것을 수양자라하고 적자나 서자가 없을 경우에는 그 수양자에게 가계를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