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측우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4)
사전(63)
- 측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G.)의 온도계 발명(1592)이나 토리첼리(Torricelli,E.)의 수은기압계 발명(1643)보다 훨씬 앞선 세계 최초의 기상관 측장비였다. 따라서, 측우기는 세계 기상학사에서 관천망기시대(觀天望氣時代)에 뒤따르는 측기시대(測器時代)를 약 150년 앞당겨 놓은...
- 측우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비의 양을 측정하는 기구.정의비의 양을 측정하는 기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cheugugi | MR표기ch’ŭgu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測雨器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A2_I_0004 測雨器 천문학 銅, 測雨器, 書雲觀 世宗 二十四年 I_01_01_20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1장 20절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1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측우기(測雨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측우기 측우기 測雨器 감영(監營), 서운관(書雲觀), 와기(瓦器), 자기(瓷器), 주척(周尺), 측우대(測雨臺) 문화과학/천문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정성희 강우량 측정 금속(철, 구리) ...관련어감영(監營), 서운관(書雲觀), 와기(瓦器), 자기(瓷器), 주척(周尺), 측우대(測雨臺)
- 금영측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동 기상청 내에 있는 조선시대의 측우기. [내용] 보물 제561호. 조선 세종 때에 처음 측우기가 발명된 이래 여러 차례 측우기가 만들어졌으나 지금 남아 있는 것으로는 이 측우기가 유일한 것이다.연계항목금영측우기(錦營測雨器)
고서·고문서(78)
- 담당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담당자 이 흑룡강성(黑龙江省) 계동현(鸡东县) 영안향 영선촌 1 1 담당자, 안녕, 문제풀이정답, 측우기, 경인선, 100미...대표표제어담당자 | 성씨이
- 문제풀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제풀이 이 흑룡강성(黑龙江省) 계동현(鸡东县) 영안진 영선촌 1 1 문제풀이, 4월19일, 정답, 측우기, 6700킬로미터...대표표제어문제풀이 | 성씨이
- 문제풀이답안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제풀이답안 조 남자 요녕성(辽宁省) 안산시(鞍山市) 1 1 문제풀이답안, 측우기, 6700킬로미터, 왁새, 2744킬로미터...대표표제어문제풀이답안 | 성씨조
- 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이번, 세번, 편지, 띄워, 문제, 착오, 지적, 많은, 지식, 얻었, 감사, 인사, 문제풀이, 저, 정답, 측우기, 백학, 진달래, 1986년, 4월, 20일대표표제어선생님 | 성씨조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言一發, 輒被雷威摧折, 本非聖世美事, 而其或至於塞聖聰而鉗衆口, 則尤豈細慮。 今又以諫疏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本人先瑩與伯父墓在楊州唐山地△從姪前書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先瑩與伯父墓在楊州唐山地△從姪前書記生경進祖妣墓亦在其局內也本人父行四人三位已爲作故惟本人家親生存惟願四兄弟同歸一局致票身後之地於경進祖妣山右邊而경進則寓居魯城地丁其祖憂而本人家親恨其兄弟各素△勸遺葬於先瑩경進荏冉未就至於今春莎草時경進忽間其爲誰置票恨不葬其祖於該地本人答以親敎之如右渠若以好言...게재일1901년 5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 조선급만주_1910_02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福の石壁文字 淺見倫太郞 21 世宗英祖兩朝の測雨器 和田雄治 25 동학당급보부상 鮎具房之進 28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0
- 조선_1910_02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일명 수정요망 濟州島に在る徐福の石壁文字 見倫太郞 21 世宗英助兩朝の測雨器 和田雄治 25 東學黨錦褓負商 鮎...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0
주제어사전(5)
-
측우기 / 測雨器 [과학/과학기술]
세종대(재위 1418~1450)에 발명되어 사용한 조선시대의 공식적인 우량 측정 기구. 1440년을 전후하여 발명되어 1442년(세종 24)부터 20세기 초 일제의 통감부에 의해 근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될 때까지 조선 왕조의 공식적인 우량 관측기구로 사용된 도구로, 현대
-
관상감 측우대 / 觀象監測雨臺 [과학/과학기술]
조선 초기 광화방 관상감에 설치되었던 측우기를 놓았던 대석. 보물 제843호.관상감 측우대는 높이 87.6㎝, 두께 59.7㎝, 너비 94.5㎝의 화강암 석대로서 위쪽 면의 가운데에는 직경 16.5㎝, 깊이 4.7㎝의 구멍이 뚫려 있다. 전상운의 연구에 의해 측우대로
-
주척 / 周尺 [과학기술/과학기술]
주나라에서 만들어 썼다는 자. 한 자 길이 약 20㎝이다. 조선 세종대에 황종척을 만들어 그 6촌 6리를 주척 1척으로 규정하면서 공식적인 척도를 얻었다. 현전하는 것 중에 1773년 서울 수표교에 표시한 것이 1척=19.5㎝, 1837년에 제작된 공주 보관의 측우
-
세종 / 世宗 [역사/조선시대사]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예제정비와 훈민정음을 창제했으며, 다양한 서적의 편찬과 측우기 등의 과학기술 발명을 장려하였다.
-
관서수서 / 觀書隨書 [역사/조선시대사]
관제·모곡(耗穀)·녹수(錄囚)·사모(紗帽)·목화(木靴)·장복(章服)·패검(佩劍)·측우기·분야(分野)·위서(緯書)·두곡(斗斛)·녹제(祿制)·병정(兵政)·환자(還上)·불법(佛法)·대학·상복(喪服)·국사(國史)·전제(田制)·과거·고려관제·변방·필법·책명·국도(國都)·사직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