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충훈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5)
사전(158)
- 충훈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의 이름을 그대로 두었다. 한편, 충훈사는 대군과 부원군의 아문이기도 하므로 1466년(세조 12) 부마부의 예에 따라 충훈부로 승격시켰다.『경국대전』에 의하면 당상관인 군(君)은 종2품부터 정1품까지 임명되었으며, 조관(朝官)으로는 경력‧도사 각 1인이 있었...
- 충훈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공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던 관서.정의조선시대 공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unghunbu | MR표기Ch’unghun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충훈부(忠勳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충훈부 충훈부 忠勳府 경력소(經歷所), 겸도사(兼都事) 공신지부(功臣之府), 맹부(盟府), 운대(雲臺), 인각(麟閣), 훈부(勳府) 공신(功臣), 공신자손세계단자(功臣子孫世系單子), 충훈부등록(忠勳府謄錄), 충훈사(忠勳司), 훈당(勳堂...하위어경력소(經歷所), 겸도사(兼都事) | 동의어공신지부(功臣之府), 맹부(盟府), 운대(雲臺), 인각(麟閣), 훈부(勳府) | 관련어공신(功臣), 공신자손세계단자(功臣子孫世系單子), 충훈부등록(忠勳府謄錄), 충훈사(忠勳司), 훈당(勳堂), 훈신(勳臣), 이성제군부(異姓諸君府)
- 충훈부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충훈부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충훈부 자체에서 등록한 책. [내용] 1609년(광해군 1)부터 1890년(고종 27) 사이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41책. 필사본. 41책 가운데 4, 5책이 결본되어 현재는 39책...
- 겸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충훈부(忠勳府)에 설치하였던 관직. [내용] 품계는 종5품이다. 1865년(고종 2) 임시직이었던 가도사(假都事) 1인을 정직인 겸도사로 고친 것이다. 여기에는 충의위(忠義衛)에 속한 공신 자손의 적장자로서 6품 이상의 관직을...
고서·고문서(113)
- 충훈부직첩(忠勳府職帖)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1799년 충훈부(忠勳府) 전령(傳令)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전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743년 충훈부(忠勳府) 첩정(牒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첩정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846년 충훈부(忠勳府) 완문(完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46년 8월 충훈부에서 남원부 견소곡방에 사는 박계준에게 내려준 잡역면제 완문이다. 완문이란 관이나 어떤 단체에서 어떤 사실을 확인하거나 혹은 특전을 부여하고서 이를 증빙하기 위해 만든 문서로 신역이나 잡역 및 세금 등을 면제하고서 이를 증빙하기 위해 발급하는 경...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완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완문 | 현소장처남원향토박물관
- 무인년 충훈부 전답조사 표지(標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무인년 1월 6일에 충훈부 토지 조사관리가 작성하여 강씨의 사내종 선쇠와 여복에게 발급해준 토지조사기록이다.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고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14)
- 동충훈부 건너 고흥샤(杲興社)에셔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동충훈부 건너 고흥샤(杲興社)에셔 당셩냥을 만이 어 놋코 오날붓허 팔기을 시작 오니 구경삼아 가시요 우리나라 사이 처음만든 거시로 외국것보다 층이나 더낫소게재일1899년 4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 동충훈부 건너 고흥샤(杲興社)에셔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동충훈부 건너 고흥샤(杲興社)에셔 당셩냥을 만이 들어 놋코 오날붓허 팔기을 시작 오니 구경삼아 가시요 우리나라 사이 처음만든 거시로 외국것보다 층이나 더낫소게재일1899년 4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 동충훈부 건너 고흥샤(杲興社에셔 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동충훈부 건너 고흥샤(杲興社에셔 당셩냥을 만이 어 놋코 오날붓허 팔기을 시작 오니 구경삼아 가시요 우리나라 사이 처음만든 거시로 외국것보다 층이나 더낫소게재일1899년 4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동충훈부 건너 고흥샤(杲興社)에셔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동충훈부 건너 고흥샤(杲興社)에셔 당셩냥을 만이 들어 놋코 오날붓허 팔기을 시작 오니 구경삼아 가시요 우리나라 사이 처음만든 거시로 외국것보다 층이나 더낫소게재일1899년 4월 22일 | 기사분류광고
- 동충훈부 건너 고흥샤(杲興社에셔 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동충훈부 건너 고흥샤(杲興社에셔 당셩냥을 만이 어 놋코 오날붓허 팔기을 시작 오니 구경삼아 가시요 우리나라 사이 처음만든 거시로 외국것보다 층이나 더낫소게재일1899년 4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10)
-
충훈부 / 忠勳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던 관서. 세조 때 사를 부로 승격시켰다. 충훈사는 대군과 부원군의 아문이기도 하므로 1466년(세조 12) 부마부의 예에 따라 충훈부로 승격시켰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당상관인 군은 종2품부터 정1품까지 임명되었고, 조관으로는
-
도사 / 都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앙의 충훈부·의빈부·충익부·의금부·개성부 등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5품이다. 중앙의 각 관서의 제반 서무를 주관하거나 지방의 관찰사를 보좌하던 관원이다. 특히, 중앙의 주요 관아에 있던 도사와는 달리, 관찰사의 수령관인 도사는 각 도의 영역을 관찰사와
-
송인 / 宋寅 [종교·철학/유학]
1517(중종 12)∼1584(선조 17). 조선 전기의 학자. 질 손자, 지한 아들, 어머니는 의령남씨이다. 어려서 어머니가 죽자 외가에서 자랐다.10세에 중종의 셋째 서녀인 정순옹주와 결혼하여 여성위가 되고, 명종 때 여성군에 봉해졌다. 의빈부·충훈부·사옹원·상의
-
연향 / 宴享 [역사/조선시대사]
훈부·종친부·의빈부·충익부에서 베푸는 연향 등이 있었다
-
의원 / 醫員 [과학기술/의약학]
의료에 종사하던 기술관. 의원은 잡과인 의과에 합격하거나, 취재에 입격한 자로서, 의업을 배우는 존재인 의생과는 엄연히 구별된다. 조선시대의 의원 대다수는 내의원·전의감 및 활인서에 소속되어 근무하면서 동반체아직을 받았지만, 의정부·육조·충훈부·종친부 및 도총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