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충청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5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336)
사전(3,042)
- 충청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충청도라는 명칭이 생겼다. 1172년(명종 2)에 중원‧하남을 나누어 충청도가 되었다가 1314년(충숙왕 1)에 다시 합쳐 양광도로 하였으며,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충청도라 하였다. 1395년(태조 4)에 양광주(楊廣州) 예속의 군현을 나누어 경기도와 충...이칭별칭홍충도
- 충청도 신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경상도 땅의 신부에게 장가를 갔는데 신부가 매우 향암스러워 불만스럽기 짝이 없다. 신부의 온갖 언행이 매우 한심스럽게 생각되었으나 배움이없는 탓이라 여기고 신부를 대동하여 집으로 로 돌아오는 즉시 여러 가지 예도로써 가르치기 시작한다. 마침내 부인을 인도하여 유한정정한...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충청도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영조 때부터 헌종 연간에 편찬된 충청도 각 읍 읍지. [내용] 필사본. 51책. 현전하는 충청도의 가장 오래된 도지(道誌)이다. 이것은 분책되어 1책에 1읍씩 수록되어 있다. 이것은 충청도 54개 읍 중 단양‧대흥‧은진‧평...
- 충청도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연대ㆍ작자 미상의 지도집. [내용] 1책. 채색 필사본. 규장각도서에 있다. 충청도의 목ㆍ부ㆍ군ㆍ현과 진(鎭)의 자연 및 인문ㆍ군사적인 지도집이다. 53장의 지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체로 한지의 전지크기이...
- 충청도 방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충청도 지역의 방언정의충청도 지역의 방언 | 문광부표기Chungcheong-do bangeon | MR표기Ch’ungch’ŏng-to pang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당악유사〉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1.12.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序文 《棠岳遺事》解題 學生尹公爾久墓碣 通政大夫行忠淸道觀察使尹公神道碑幷序 己卯錄 黃兎記事 尹進士友衡衡之往海南, 付寄尹同年孝貞希參曁其子尹佐郞衢
고서·고문서(10,133)
- 忠淸道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四十九 忠淸道 忠淸道 56 忠淸道 本百濟之地高麗 成宗十四年乙未【宋 太宗 至道元年】分境內爲十道忠原道管忠州淸州剛州歡州等十三州河南道管公州運州等十一州睿宗元年丙戌【宋 哲宗 崇寧五年】稱楊廣忠淸州道明宗元年辛卯【宋 孝宗 乾道七年】分楊廣忠淸州道爲二道忠肅王元年甲...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충청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충청도 김 남자 충청남도 아산시 흑룡강성(黑龙江省) 나북현(萝北县) 련화향위생원 2 2 충청도, 어머님오촌, 계셨...대표표제어충청도 | 성씨김
- 충청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충청도 이 남자 강원도 흑룡강성(黑龙江省) 북안시(北安市) 주성향 (主星鄉) 명성촌 2 2 충청도, 있는, 누님,...대표표제어충청도 | 성씨이
- 충청도 지도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R8-B1-01-004 충청도 지도 사진 도면 미상 (미입력) 충청도의 영역을 표기한 지도이다. 공주를 중심으로 금강이 동서로 가로지르고 있다. 공주 북쪽에 산줄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고, 금강 남쪽에는 공산성이 표기되어 있다. 각 군현마다의...문서종류사진 도면 | 생산일자미상
- 토지략_충청도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토지략_충청도 토지략 토지략_충청도 △ 忠淸道一作淸洪道「」州四 郡十二 縣有令者一 有監者三十七 凡五十四官 「」州「」忠州「」淸州「」公州「」洪州 「」郡「」林川「」丹陽「」淸風「」泰安「」韓山「」舒川「」沔川「」天安「」瑞山「」槐山「」沃川「」溫陽 「」縣「」文義...대표표제어토지략_충청도 | 편명_제목토지략_충청도
구술자료(922)
- 충청도 나날이봉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나 해’를 삽입하지 않고 이 제보자가 부른 유일한 노래다. 단가 형식을 취하지 않고 있다.*조사일시1979-03-11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 제보자오미례
- 충청도 앉은굿 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팸플릿 충청도 앉은굿 1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2017.05.14) 충청도 앉은굿 1.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팸플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충청도 앉은굿 2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팸플릿 충청도 앉은굿 2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2017.05.14) 충청도 앉은굿 2.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팸플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충청도 황복의 명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젊었을 때 주역을 많이 읽었다는 제보자는 점복으로 유명한 사람들 얘기나 예언담을 많이 알고 있었다. 제보자는 지금도 가끔 친구들의 점을 봐준다고 한다.*조사일시1979-06-20 | 조사장소서울시 도봉구 수유3동 | 제보자강성도
- 경기도 사람과 충청도 사람의 방귀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들이 역사적 인물에 대한 다른 이야기를 청하자 구연자는 모른다고 하였다. 그래서 사랑방에서 들었던 이야기를 청하자 구연하 였다.조사일시2010. 2. 20(토) | 조사장소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운천8리 581-20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정덕재[[鄭德在]]
기초학문(14)
- 조선후기 감영 환곡 연구* -충청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용식, 게재일 : 201449900 문용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호서사학회 2014 조선후기 감영 환곡 연구* -충청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충청도 내포지역의 동학농민전쟁 전개양상과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진영, 게재일 : 200338178 이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학학회 2003 충청도 내포지역의 동학농민전쟁 전개양상과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살(煞)과 살풀이의 존재양상-충청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효경, 게재일 : 201446950 김효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무속학회 2014 살(煞)과 살풀이의 존재양상-충청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조선후기 충청도 감영의 영방과 향리 사회의 문화적 연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훈상, 게재일 : 201759767 이훈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산경남사학회 2017 조선후기 충청도 감영의 영방과 향리 사회의 문화적 연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충청도 내포지역의 동학농민전쟁 전개양상과 특성_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진영, 게재일 : 200302496 이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학학회 2003 충청도 내포지역의 동학농민전쟁 전개양상과 특성_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77)
- 輪船濟物出帆광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往延興忠淸道洪州漢津[날모리)牙山屯浦溫陽白石浦禮山及倉里浦口行 三省船 陰五月十二日 陽六月十四日 午前十一時 濟物圻浦 下司回漕㕓게재일1905년 6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 輪船濟物出帆광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往延興忠淸道洪州漢津[날모리)牙山屯浦温陽白石浦禮山及倉里浦口行 三省船 陰五月十二日 陽六月十四日 午前十一時 濟物圻浦 下司回漕㕓게재일1905년 6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 輸船濟物出帆광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往延興忠淸道洪州漢津[날모리)牙山屯浦温陽白石浦禮山及倉里浦口行 三省船 陰五月初一日 陽六月三日 午前五時出 濟物圻浦 下司回漕㕓게재일1905년 6월 2일 | 기사분류광고
- 輪船濟物出帆광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往延興忠淸道洪州漢津[날모리)牙山屯浦温陽白石浦禮山及倉里浦口行 三省船 陰四月廿八日 陽五月卅一日 午前五時出 濟物圻浦 下司回漕㕓게재일1905년 5월 30일 | 기사분류광고
- 輪船濟物出帆광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往延興忠淸道洪州漢津[날모리)牙山屯浦溫陽白石浦禮山及倉里浦口行 三省船 陰五月十二日 陽六月十四日 午前十一時 濟物圻浦 下司回漕㕓게재일1905년 6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114)
- 15세기 중반 충청도의 산 지리 제도 근현대 자연 산천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900,000 15세기 중반 충청도의 산/기타 산/감영/10대로 DEM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자연_017_15세기_중반_충청도의_산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충청도의 봉수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봉수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800,000 16세기 초반 충청도 봉수/기타 봉수/감영/봉수노선/10대로 DEM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090_16세기_초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주차. 굿과 음악 2주차. 굿판의 악기 1 3주차. 굿판의 악기 2 4주차. 황해도 굿음악 5주차. 서울 굿음악 6주차. 전라도 굿음악 7주차. 충청도 굿음악 8주차. 동해안 굿음악 9주차. 제주도 굿음악 46주차. 굿에서 만들어진 공연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Ⅰ | 강의자이용식
- 주차. 굿과 음악 2주차. 굿판의 악기 1 3주차. 굿판의 악기 2 4주차. 황해도 굿음악 5주차. 서울 굿음악 6주차. 전라도 굿음악 7주차. 충청도 굿음악 8주차. 동해안 굿음악 9주차. 제주도 굿음악 47주차. 굿에서 만들어진 공연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Ⅰ | 강의자이용식
- 주차. 굿과 음악 2주차. 굿판의 악기 1 3주차. 굿판의 악기 2 4주차. 황해도 굿음악 5주차. 서울 굿음악 6주차. 전라도 굿음악 7주차. 충청도 굿음악 8주차. 동해안 굿음악 9주차. 제주도 굿음악 48주차. 굿에서 만들어진 공연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Ⅰ | 강의자이용식
기타자료(33)
- 이상목;李相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556 일본 大阪 大阪高等工業學校 大阪高等工業學校一覽 明治42年~明治43年 1909―12―31 99면 이상목;李相穆 한국 충청도학교소재지역大阪 | 학교명大阪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상목;李相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558 일본 大阪 大阪高等工業學校 大阪高等工業學校一覽 明治43年~明治44年 1910―12―24 97면 이상목;李相穆 조선 충청도학교소재지역大阪 | 학교명大阪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상목;李相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561 일본 大阪 大阪高等工業學校 大阪高等工業學校一覽 明治44年~明治45年 1912―12―15 141면 이상목;李相穆 조선 충청도 1911년 7월 10일학교소재지역大阪 | 학교명大阪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우근;韓佑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2867 남한 경성 대한의원부속의학교 대한의원부속의학교일람 1909 14면 1. 제5 졸업생 상황;1) 제1회 졸업생 19명 (1902년 7월 25일) 한우근;韓佑根 충청도 청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대한의원부속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지성연;池成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2870 남한 경성 대한의원부속의학교 대한의원부속의학교일람 1909 14면 1. 제5 졸업생 상황;2) 제2회 졸업생 13인 (1903년 7월 25일) 지성연;池成沇 충청도 천안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대한의원부속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양진석 | 서울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10)
-
충청도 / 忠淸道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이름. ‘충청’은 충주와 청주의 머리 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이다. 1550년(명종 5)에 청공도로 바꾸고, 1613년(광해군 5)에 공청도로, 1628년(인조 6)에 공홍도로, 1646년에 홍충도로, 1656년(효종 7)에
-
충청도방언 / 忠淸道方言 [언어/언어/문자]
충청남북도에서 사용되는 방언. 충청도 방언의 자음은 19개(ㅂ, ㅃ, ㅍ ; ㄷ, ㄸ, ㅌ ; ㄱ, ㄲ, ㅋ ; ㅅ, ㅆ ; ㅎ ; ㅈ, ㅉ, ㅊ ; ㅁ, ㄴ, ㅇ ; ㄹ)이다. 단모음은 10개(ㅣ, ㅔ, ㅐ ; ㅡ, ㅓ, ㅏ ; ㅜ, ㅗ ; ㅟ, ㅚ)로서 대부분의
-
양광도 / 楊廣道 [지리/인문지리]
시 양광주도와 충청주도로 분리되었다가 곧 합쳐져 양광도 혹은 충청도라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1309년(충선왕 1)부터는 다시 양광도라는 이름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1314년(충숙왕 1)에는 양광도가 정식 명칭이 되었다.
-
무량사동종 / 無量寺銅鍾 [예술·체육/공예]
1636년(인조 14)에 승려 장인 정우(淨祐)와 신원(信元) 등이 제작한 동종.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현재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에 위치한 무량사 대웅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동종이다. 무량사동종은 종신에 “숭정 9년 병자 5월 일 충청도 홍산현 북면
-
동국지도 / 東國地圖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작자미상, 필사본(채색), 불분권 1책(9포). 지도 순서는 경기, 충청도ㅡ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서남반폭), 함경도(동북반폭), 전도이다. 9개의 포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도와 충청도가 한 장으로 구성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