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충찬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93)
사전(67)
- 충찬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중앙군인 오위(五衛) 가운데 전위(前衛) 충좌위(忠佐衛) 소속에 딸린 부대. 세조 2년(1456)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주로 원종공신(原從功臣)과 그 자손으로 편성되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따르면, 충찬위의 인원은 정해지지 않았다. 一房差備忠贊衛應入...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충찬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청원이 있었지만 이 때에 이르러서야 원종공신의 부(府)인 충익사(忠翊司)가 설정됨으로써 그 우대의 방법이 구체화되었던 것이다. 나중에는 『경국대전』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환관입후자(宦官立後者) 및 양반첩자(兩班妾子)의 종친가혼취자(宗親家婚娶者) 등도 충찬위에 소...이칭별칭충좌위
- 충찬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의 중앙군으로서 오위(五衛)의 충좌위(忠佐衛)에 소속되었던 특수 병종(兵種).정의조선시대의 중앙군으로서 오위(五衛)의 충좌위(忠佐衛)에 소속되었던 특수 병종(兵種).[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ungchanwi | MR표기Ch’ungch’anw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충찬위(忠贊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충찬위 충찬위 忠贊衛 병종(兵種) 충순위(忠順衛), 충의위(忠義衛), 오위(五衛), 전위(前衛)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노영구 [정의] 조선초기 원종공신(...상위어병종(兵種) | 관련어충순위(忠順衛), 충의위(忠義衛), 오위(五衛), 전위(前衛)
- 차비충찬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가례 등의 의례 행사 때 충찬위에서 의장을 위해 차출된 군인. 조선 시대가례 및 향사 등의 의례 행사 때 임시로 도감이 만들어지거나 할 때 의장, 의례 행사에 동원할 관원을 차비하였다. 이때에 중앙 군인 오위의 충찬위에서 많이 차출되었다. 그들은 주로 원종공신(原從功...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225)
- 1 第一統統首忠贊衛李之發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99년_대대면(大代面) 1699년 대대면(大代面) 第四奉月里 1 第一統統首忠贊衛李之發 統第一戶府案付忠贊衛李之發年伍拾伍乙酉本慶州父忠贊衛繼植祖訓鍊院主簿德男曾祖訓鍊主簿世勲外祖秉節校尉龍驤尉 副司果佑本草溪妻金召史年肆拾貳戊寅本慶州父定虜衛冷祖別侍繼日曾...연도_면이름1699년_대대면(大代面) | 면이름대대면(大代面) | 마을이름第四奉月里
- 1 第一統統首忠贊衛朴世昌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99년_대대면(大代面) 1699년 대대면(大代面) 第五八等里 1 第一統統首忠贊衛朴世昌 統第一戶 府案付忠贊衛朴世昌年伍拾陸丙戌本密陽父通政大夫宗立祖通政大夫文曾祖宣武原從功臣訓鍊院判官遜外祖通政大夫朴愛男本 蔚山母良女召史今故妻良女朴召史年肆拾陸甲午本迎日父正兵云...연도_면이름1699년_대대면(大代面) | 면이름대대면(大代面) | 마을이름第五八等里
- 6 第六統統首忠贊衛金尙哲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02년_웅촌면(熊村面) 1702년 웅촌면(熊村面) {第}---{里} 6 第六統統首忠贊衛金尙哲 統第一戶 府案付忠贊衛金尙哲年伍拾癸亥本金海父忠贊衛太成祖忠贊衛貴南曾祖宣武原從功臣訓鍊院貞 連外祖定虜衛辛應龍本靈山妻朴召史年參拾捌乙巳本密陽父正兵山好祖正兵石乙金曾祖...연도_면이름1702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里}
- 8 第八統統首忠贊衛盧戒弘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4년_부내면(府內面) 1684년 부내면(府內面) 第十九白蓮巖外上坊 8 第八統統首忠贊衛盧戒弘 統第一戶府案付上番忠贊衛盧戒弘年伍拾壹甲戌本廣州父通政大夫中樞府事莫難祖宣武原從功臣訓鍊院僉正應星曾祖 禦侮將軍叔起外祖正兵李吾乙未本慶州妻薛召史年伍拾伍庚午本慶州父正兵...연도_면이름1684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九白蓮巖外上坊
- 22 第二十二統統首忠贊衛金泰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八光靑坊 22 第二十二統統首忠贊衛金泰鳳 統第一戶府案付忠贊衛水營分防金泰鳳年肆拾玖丙子本金海父忠贊衛貴楠祖禦侮將軍行訓鍊院正貞連曾祖學生英外祖學生李儀男本慶州 妻辛召史年肆拾柒戊寅本靈山父納粟嘉善大夫日生祖納粟通...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八光靑坊
신문·잡지(1)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二十뎐식 승화 三十뎐 김챵식 二十뎐 合九人 合二圓三十뎐 西署司醖동 全봉훈 五圓 忠賛衛廳會同 리건형 리츈근 박긔홍 김졔달 안응필 김셰형 방봉구 안챵묵 졍슌 김유셩 김승텬 방슈경 정즁현 홍즁호 민상슌 안묵 리희 김영조 민윤식 안긔션 이상각二十五뎐식 合二十人 合五圓 ...게재일1907년 3월 5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3)
-
충찬위 / 忠贊衛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의 중앙군으로서 오위의 충좌위에 소속되었던 특수 병종. 1456년(세조 2)에 처음 설치된 것으로 원종공신의 자손들을 편입하게 한 특권적인 병종이었다. 나중에는 ≪경국대전≫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환관입후자 및 양반첩자의 종친가혼취자 등도 충찬위에 소속되는 특
-
차비충찬위 / 差備忠贊衛 [정치·법제/법제·행정]
가례 등의 의례 행사 때 충찬위에서 의장을 위해 차출된 군인. 조선 시대 가례 및 향사 등의 의례 행사 때 임시로 도감이 만들어지거나 할 때 의장, 의례 행사에 동원할 관원을 차비하였다. 이때에 중앙 군인 오위의 충찬위에서 많이 차출되었다. 그들은 주로 원종공신의
-
오위 / 五衛 [정치·법제/국방]
배(彭排), 충좌위에 충의위(忠義衛)·충찬위(忠贊衛)·정병(正兵)·장용위(壯勇衛)가 각각 속하는 것으로 성문화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