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충의교위” 에 대한 검색결과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무신의 정5품 하계(下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5품 상계는 (), 하계는 현의교위(顯毅校尉)로 정하였다. 그런데『경국대전』에서는 무산계
  • 과의교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5품 상계(上階) 무신의 품계. [내용]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 직후 처음으로 관제를 정할 때 ()로 하였던 것을 1466년(세조 12) 과의교위로 개칭하였다. 교위급 위계의 상한이며 5위의...
  • 정오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9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 (文散階)와 무산계(武散階)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5품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으로, 무산계 상계는 (), 하...
  • 과의교위(果毅校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의교위 과의교위 果毅校尉 5품(五品) 무관(武官), 무산계(武散階), (), 사직(司直) 정치사법/재판|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미선 [정의] 무산계(武散...
    상위어5품(五品) | 관련어무관(武官), 무산계(武散階), 충의교위(忠毅校尉), 사직(司直)
  • 오대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까지 호종하였으며, 그뒤 효력교위(效力校尉)로 훈련원에 배속되고 분순교위(奮順校尉)에 전임되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관군을 이끌고 평산(平山)에서 전공을 세우고 병절교위(秉節校尉)가 되어 훈련원도감이 되었으나 사직하였다. (...

고서·고문서(8)

  • 1479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9년 7월 27일에 병조가 성종의 명을 받아 충찬위정옥견의 품계를 정5품 상계 과의교위로 올려주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479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9년 7월 27일에 병조가 성종의 명을 받아 충찬위정옥견의 품계를 정5품 상계 과의교위로 올려주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592년 박광춘(朴光春)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592년(선조25)에 8월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삼천진권관박광춘을 행훈련원주부겸삼천진권관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밀성박씨 박은식
  • 1611년 황정직(黃廷稷) 고신(告身)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11년 6월에 병조에서 무신겸선전관황정직의 품계를 정5품 창신교위에서 정5품 로 올려주는 교첩이다. 교첩은 조선시대에 5품 이하의 문무관원을 임명할 때 발급하던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1590년 황진(黃進)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590년 2월에 병조에서 권지훈련원참군황진을 종 5품 하위의 창신교위에서 정5품 하위의 로 올리면서 발급한 교첩이다. 1584년 10월의 별가를 이때 받은 것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의 정5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5품 상계는 , 하계는 현의교위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서는 무산계 상계의 는 과의교위로, 하계의 현의교위는 로 개칭되어 ≪경

  • 과의교위 / 果毅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5품 상계 무신의 품계. 1466년(세조 12) 과의교위로 개칭하였다. 교위급 위계의 상한이며 5위의 사직(司直)이 이 직급에 속하였다.

  • 정오품 / 正五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9등급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5품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으로, 무산계 상계는 , 하계는 현의교위로 정하였다.그런데 ≪경국대전≫에는 무산계 상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