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흥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3)
사전(42)
- 최흥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29(중종 24)∼1603(선조 36).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복초(復初), 호는 송천(松泉). 영의정 항(恒)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호(永灝)이고, 아버지는 전첨(典籤) 수진(秀珍)이며, 어머니는...이칭별칭 복초(復初)| 송천(松泉)| 충정(忠貞)|영평부원군(寧平府院君)
- 최흥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05(숙종 31)∼1786(정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태초(太初) 또는 여호(汝浩), 호는 백불암(百弗庵). 대구 출신. 할아버지는 수학(壽學)이고, 아버지는 석정(錫鼎)이며, 어머니는 ...이칭별칭 태초(太初), 여호(汝浩)| 백불암(百弗庵)|칠계선생(漆溪先生)
- 위성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임진왜란 때 광해군을 호종하는 데 공을 세운 관원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내용] 1613년(광해군 5) 모두 80명을 공신으로 책봉하였는데 1등은 최흥원(崔興源)‧정탁(鄭琢)‧윤두수(尹斗壽)‧이항복(李恒福)‧윤자신(...
- 정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상정(李象靖)과 최흥원(崔興遠)을 사사하였다. 1796년(정조 20) 효행과 학문으로 조정에 천거되었으나 병으로 사양하였다. 이듬해에 온릉참봉(溫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얼마 안 되어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8대조 정구(鄭逑)를 추모하여 숙야재(夙夜齋)...이칭별칭 휘조(輝祖)| 지애(芝厓)|정집(鄭集)
- 송석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興祚)이며, 어머니는 영돈녕부사 최흥원(崔興源)의 딸이다. [내용] 1597년(선조 30) 직장으로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승정원주서가 되었다. 이어 세자시강원사서ㆍ사헌부지평ㆍ사간원헌납ㆍ성균관전적ㆍ사간원사간을 거쳐 신천군수(信川...이칭별칭 경수(景受)| 졸암(拙庵), 춘호(春湖)
고서·고문서(209)
-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役과 雜役을 면제한다는 完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278 1945_01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役과 雜役을 면제한다는 完文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증빙류, 관부문서, 완문 한자 고문서 CHW003.JPG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役과 雜役을 면제한다는 完文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279 1945_02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役과 雜役을 면제한다는 完文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증빙류, 관부문서, 완문 한자 고문서 CHW003.hwp 完文 右爲完護事守北面 枝界村...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役과 雜役을 면제한다는 完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280 1946_01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役과 雜役을 면제한다는 完文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증빙류, 관부문서, 완문 한자 고문서 CHW004.JPG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役과 雜役을 면제한다는 完文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281 1946_02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役과 雜役을 면제한다는 完文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증빙류, 관부문서, 완문 한자 고문서 CHW004.hwp 完文 右爲完護事守北面 枝界...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役과 雜役을 면제한다는 完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282 1947_01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 身役과 雜役을 면제한다는 完文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증빙류, 관부문서, 완문 한자 고문서 CHW005.JPG 崔興遠 묘의 묘지기 2명의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기초학문(1)
- 백불암 최흥원과 18세기 대구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9191 한국연구재단 대한철학회 2004 백불암 최흥원과 18세기 대구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
- 조선_1923_100특별호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の德行家百弗庵崔興遠 松田甲 135 氷庫に就て 葛城末治 143 <百>を名, 又は字或は號とせる李朝の人物 松田鷗 147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3
주제어사전(7)
-
최흥원 / 崔興遠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05∼1786).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이 된 후 세자익위사좌익찬에 이르렀다. 가난한 백성들을 위해 규약을 세우고 선공고·휼빈고 등을 두었다. 저서로는《백불암집》이 있다.
-
위성공신 / 衛聖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임진왜란 때 광해군 호종에 공을 세운 관원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613년(광해군 5) 모두 80명을 공신으로 책봉하였는데 1등은 최흥원·정탁·윤두수·이항복·윤자신·심충겸 등 10명으로 갈충진성동덕찬모좌운위성공신이라 하였고, 2등 17명은 갈충
-
임필대 / 任必大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임수국이다. 이의태·권렴·최흥원·김낙행·이상정 등과 교유하였다. 1771년(영조 47) 향교의 훈장이 된 후 퇴계 이황의 사단칠정론을 가르쳤다. 저서로《문회약조》·《제의문결약조》·《봉선절목》
-
유호서원 / 柳湖書院 [교육/교육]
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이 유계와 금호의 지명에서 따서 ‘유호서원’이라 칭하고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복원되지 못한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
-
박손경 / 朴孫慶 [종교·철학/유학]
송백의 교를 내렸다. 퇴계 학문을 이은 영남학파로 대산 이상정, 백불암 최흥원과 더불어 영남삼로로 추앙되었다. 저서로 《주서강록간보차의》,《논어정의절약》과《남야선생문집》4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