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효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5)
- 최효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86(정조 10)∼1870(고종 7).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월성(月城). 자는 치선(穉善), 호는 지헌(止軒). 상주 출생. 아버지는 통덕랑 식(湜)이며, 어머니는 진주정씨(晉州鄭氏)로 종로(宗魯)의 딸이다. 외할아버지...이칭별칭 치선(穉善)| 지헌(止軒)
- 성수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최효술(崔孝述)을 사사하였다. 부모의 명으로 과거에 응시했으나 청탁(請託)을 일삼는 관기(官紀)의 문란(紊亂)함을 보고 벼슬길을 포기하고 위기의 학문과 경전(經典) 연구에 심혈을 기울였다. 1878년(고종 15) 현령 윤자응(尹滋膺)의 청에 의하여 향교에 강석을...이칭별칭 성능(聖能)| 화애당(花厓堂)
- 예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남석로(南碩老)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18년 후손 종기(鍾基)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효술(崔孝述)의 서문, 권말에 종기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78수, 전문(箋文) 4편...
- 한송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고 쓰고 있다. 「유협」은 조선 후기에 『사기』 유협전에 대한 관심이 지방 유생에까지 파급되었음을 보여준다. 부록에는 최효술(崔孝述)이 쓴 행장, 김세락(金世洛)의 묘지명, 유형조(柳衡祚) 외 11명의 만사, 안이진(安而鎭)과 김성려(金性礪)의 제문, 병산서원...
- 지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효술(崔孝述)의 시문집. [내용] 15권 7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기록은 자세하지 않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86수, 권2∼6에 소(疏) 1편,
고서·고문서(21)
- 1864년 최효술(崔孝述) 호구단자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64년 최효술(崔孝述)이 79세 되던 해에 자신과 처의 본관(本貫)과 사조(四祖), 그리고 솔거 자녀(率居子女)와 솔노비(率奴婢) 등 호내(戶內)의 호구(戶口) 사항을 작성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이다. 이 호구단자는 피봉이 있다. 이것은 소지하고 다녔...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870년 최효술(崔孝述) 호구단자(戶口單子)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70년 대구광역시부해북촌(解北村)중산리(中山里)통정대부(通政大夫) 전행돈녕부도정(前行敦寧府都正)최효술이 85세 되던 해에 작성한 호구단자이다. 주호인 최효술과 처의 본관과 4조가 기록되어 있고, 솔거 자녀, 솔노비 등이 기재되어 있다.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幼學 崔孝述의 戶口單子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24 2427_01 幼學 崔孝述의 戶口單子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증빙류, 호적, 호구단자 한자 고문서 CHW094.JPG 幼學 崔孝述의 戶口單子 幼學 崔孝述의 戶口單子 幼學 崔...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幼學 崔孝述의 戶口單子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25 2427_02 幼學 崔孝述의 戶口單子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증빙류, 호적, 호구단자 한자 고문서 CHW094.hwp 幼學崔孝述年五十五丙午本慶州父通德郞湜祖學 生 周鎭曾祖贈通政大夫...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崔孝述 등이 올린 上書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41 2443_01 崔孝述 등이 올린 上書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소차장계류, 상서 한자 고문서 CHW119.JPG 崔孝述 등이 올린 上書 上書 崔孝述 등 4인 城主 己酉...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1)
-
최효술 / 崔孝述 [종교·철학/유학]
1786년(정조 10)∼1870년(고종 7).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식, 어머니는 정종로의 딸이다. 정종로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동래부사 이휘령, 어사 박규수와 임응준 등이 번갈아 천거하여 1860년(철종 11) 장릉참봉에 임명, 돈령부도정, 부호군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