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현배” 에 대한 검색결과 4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1)

사전(25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마다 국학연구와 국어운동에 뛰어난 사람에게 외솔상을 시상함으로써 그의 정신을 이어가려 하고 있다. 외솔 박사 고희기념논문집(1968) 외솔 박사 해적이(한글 146, 1970) 주시경선생의 학문(허웅, 東方學志 12...
    이칭별칭 외솔
  • 병영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운동이 본교 운동장에서 시작되었고, 외솔 는 열 네 살 되던 해 봄에 사립일신학교가 창설되자 다른 서당 동무들과 함께 입학하여 3년간 공부하였다. 1947년 9월 1일에 병영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6년 12월 1일에 신설 평산국민학교로 14학급...
  • 한글의투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가 펴낸 한글연구서. [내용] B6판. 총 316면. 1954년 정음사(正音社)에서 간행되었다. 한글전용론자인 저자가 한글전용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담은 논설들을 중심으로 엮은 것이다. 내용은 주장‧논난‧여러가지‧맞춤법 관...
  • 조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제의 침략전을 지지, 찬양하는 작품‧논문 등을 실어 친일잡지가 되었다. 면수도 400여 면에서 200면, 100면 이하로 줄어들다가 끝내 종간되었다. 필진은 이광수(李光洙)‧()‧채만식(蔡萬植)‧주요섭(朱耀燮)‧차상찬(車相瓚)‧홍난파(洪蘭坡)‧김영수...
  • 화약합제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분실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의 『한글갈』에 간단한 소개와 그 서영(書影)이 있어서 그 편린만을 알 수 있다. 그 서영으로 보아서, 이 책의 부분인 화약합제식은 『화포식언해』의 제약식(劑藥式)의 내용과 그 언해가 매우 유사할 뿐만 아니라 언해양식도 비슷하...

고서·고문서(8)

  • 〈큰 사전〉(1947-1957)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1940), 이극로(李克魯, 1893-1978), 이윤재(李允宰, 1888-1943), 이희승(李熙昇, 1896-1989), 정인승(鄭寅承, 1897-1986), 정태진(丁泰鎭, 1903-1952), (, 1894-1970) 등이 중심이 되어 편찬하였다....
    대표표제어〈큰 사전〉(1947-1957) | 편저자조선어학회(한글학회) | 권수6책
  • 博物館古蹟調査報告第一册(乙酉文化社)、1948。 李弘稙、〈延壽在銘新羅銀盒杅에 대한 一·二의 考證〉、《博士還甲紀念論文集》、1954。 손영종、〈금석문에 보이는 삼국시기의 몇 개의 년호에 대하여〉、《력사과학》4、1966。 李弘稙、〈延壽在銘新羅銀盒杅에 대한 一·二의 考證〉...
    연대391/451 | 서체해서체 | 소재지국립경주박물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11 第十一統統首石目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08년_내상면(內廂面) 1708년 내상면(內廂面) 第三北門內里 11 第十一統統首石目 第一戶 營月乃匠私奴石目年肆拾壹戊申本尙州主尙州[居]父私奴命立祖私 奴河乙同曾祖不知外祖私奴善男本金海妻營婢日香年肆拾捌辛丑本金海 父私奴承良祖正兵順化曾祖正兵戒男外祖良人...
    연도_면이름1708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三北門內里
  • 〈우리말 큰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서 한자어의 사이소리를 폭넓게 인정하였다. ‘촛점, 댓가, 솟장, 솟수, 싯가’ 등으로 표시를 하여 일반인의 혼란을 일으켰다. 결국 새 어문 규정을 따르지 않은 사전으로 평가받아 독자로부터 외면받기도 하였다. ② 학문적 가치 이 사전의 문법은 주로 의 『우리말...
    대표표제어〈우리말 큰사전〉 해제 | 편저자 한글학회 편 | 권수 4권(1권 ‘ㄱ-ㅁ’, 2권 ‘ㅂ-ㅇ’, 3권 ‘ㅈ-ㅎ’, 4권 ‘옛말과 이두’)
  • 〈한국지명총람〉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편찬 경위 1) 한국지명조사사업 〈한국지명총람〉의 편찬은 ‘한국지명조사사업’이 바탕이 되었다. 1960년에 연세대학교 동방문화연구소는 미국 하버드대학의 원조로 경기도 지명조사사업을 계획하고 있었으며, 당시 연세대 교수였던 한글학회 이사장이 백낙준 총장과 협의...
    대표표제어〈한국지명총람〉 해제 | 편저자한글학회 | 권수20책( 18권 )

구술자료(2)

  • 김우종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조병화, 조연현, 조정래, 최도영, 최일식, , 한수산, 홍사중, 황순원, 가미가제특공대, 국군보충대, 개성 송도중학교, 개성시민회, 경희대학교, 니시닛본신문(西日本新聞), 『다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독서회, 덕성여자대학교, 도시샤대학, 문공부, 『문예』,
    구술자김우종 | 직업교수 | 지역황해도
  • 강현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철승, 이한기, 이한빈, 이해영, 이휘영, 이희승, 이화룡, 스탈린(Stalin), 장기영, 조만식, 조셉 밀러, 지명관, 천관우, 최덕수, 최동진, 최문환, 최승희, 최창봉, , 케인즈(John Maynard Keynes), 필립 안(Philip Ahn), 하차
    구술자강현두 | 직업서울대 명예교수 | 지역경기도

기초학문(1)

  • 외솔 선생 20주기 추모 논총 : 실용언어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정헌, 게재일 : 1991
    13924 안정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1 외솔 선생 20주기 추모 논총 : 실용언어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
    유형논문 | 게재일1991

신문·잡지(50)

멀티미디어(60)

  • 주시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_9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58주차. 역사비교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의 도입 – 이희승,이숭녕 외 이영제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디지털인문학 주임교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주시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_9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59주차. 역사비교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의 도입 – 이희승,이숭녕 외 이영제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디지털인문학 주임교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주시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_9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60주차. 역사비교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의 도입 – 이희승,이숭녕 외 이영제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디지털인문학 주임교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주시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_9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61주차. 역사비교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의 도입 – 이희승,이숭녕 외 이영제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디지털인문학 주임교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주시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_9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62주차. 역사비교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의 도입 – 이희승,이숭녕 외 이영제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디지털인문학 주임교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기타자료(1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3083 남한 경성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1-19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 12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1) 제11회 71명(1915년 3월 졸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9915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12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1) 제11회 71명(1915년 3월 졸업) ;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2947 일본 東京 학교(집합) 朝鮮大高同窓會會員名簿 제1호(1923년 12월 30일 현재) 1924 4면 2. 제2 통상회원(무순) ; 경남 울산군 하상면 동리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1294 일본 京都 京都帝國大學 京都帝國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會報 창간호 1936―11―10 89면 ; 경성 杏村町 146 1926년
    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京都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1517 일본 京都 京都帝國大學 京都帝國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會報 제3호 1938―11―25 147면 ; 경성 杏村町 146-1 1926년
    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京都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5)

  • / [교육/교육]

    근현대의 국어학자, 국어운동가, 교육자(1894-1970). 1941년 10월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광복 후 문교부 편수국장에 재직하였고, 1949년 한글학회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한글의 창제경위·역사·문법 등에 저서를 남겼으며 한글전용과 풀어쓰기를 주장하

  • 우리말본 / 우리말본 [언어/언어·문자]

    가 지은 문법책. 1937년에 초판, 1955년에 개정판,이후 여러 차례 개정판이 나왔다. 는 주시경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았는데, 주시경의 학문은 민족주의 입장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말본>은 그 씨가름에서 월가름에 이르기까지 옛 설명을 그대로 쓴 것이 거

  • 중등조선말본교수참고서 / [언어/언어/문자]

    1945년에 가 『중등조선말본』의 참고서로 지은 책. 『중등조선말본 교수참고서』는 가 1934년에 처음 쓰고 1938년 고쳐 쓴 『중등조선말본』을 교수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만든 참고서이다. 광복 직후 일반 중등학교에서 널리 사용된 『중등조선말본』을 교수

  • 중등조선말본 / [언어/언어/문자]

    1934년에 가 지은 중등학교용 문법 교과서. 『중등조선말본』은 본래 가 조선어학회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낸 책이다. 당시 한반도 안에서는 물론이고 만주와 해외에서도 널리 사용된 문법 교과서이다. 개인으로

  • 제주도속담 / 濟州島俗談 [문학/구비문학]

    진성기가 400여 개의 제주 속담을 수록하여 1958년에 편찬한 속담집. 총 120면. 1958년 제주시 제일프린트사에서 간행하였다. ()의 머리말과 이기형의 서에 이어 400여개의 속담이 가나다 순으로 실려 있다. 풀이는 대부분 화자(話者)의 설명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