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현” 에 대한 검색결과 1,1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77)

사전(447)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최희성의 아버지이다. 송태조 때 벼슬이 이부시랑에 있으나, 나이 사십이 되도록 자식이 없다가 태몽을 꾸고 최희성을 얻는다. 오랜 벗인 호원의 딸과 최희성을혼인시키기로 언약하여 신물로 백장도와 월대탄을 주고받는다. 후에 최희성의 셋째 부인인정설앵의 모함에 빠진 줄도 모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송나라 때 소주 사람이다. 다섯 살부터 문장과 학풍이 빼어나 열다섯 살에 등과하여 스무 살 전에 한림학사 간의태우를 거쳐 이부상서를 겸한다. 양씨부인과의사이에 자식이 없더니 꿈에 떨어지는 은하수 별을 받아 부인에게 주고 아들 희성을 낳는다. 희성에게 경서를 가르치려 하...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을 하며, 약속대로 강남을 주겠다고 하지만, 정중히 사양하고 충렬후 좌승상을 제수받는다. 아버지를 모시고 기림부 고택으로 가 선영에 제사를 지낸 후, 절강 소흥부 유소사의 묘소에 가 제문을 지어 고한다. 황제에게 승상[]의 첩 영의 정렬과 춘섭[운섭]의 충절을 계달...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홍장의 남편이다. 과거를 보러 가던 중 장의 수레 뒤에 붙어 있는 시구의 의미를 알아채고 말을 붙인다. 이에 장과 서로 마음을 확인한 후 그녀의 집으로 가 장의 아버지 홍농에게 인사를 드린다. 장이 아버지를 대신하여 만리장성으로 부역을 나가주기를 청하자, 혼례식을 올리...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08)

  • 중(重) 시(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남원‧구례 삭녕최씨
  • 1876년 익(益) 초사(招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초사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99년 식(軾)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99년(광무 3) 6월 10일에 식이 사돈댁 웃어른인 김병황에게 보낸 편지이다. 일전에 상대방 아들의 편지를 받아 편찮으시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회복 되었으리라 생각한다면서 상대방과 여러 가족들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어버이를 다 여읜 처지에 지난달에 갑자기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901년 식(軾)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식은 객지에서 상을 당하니 심정이 더욱 애통하였고, 돌아왔을 때에는 이미 장례를 치르고 난 후였다고 하였다. 그는 관직을 얻기 위해 서울에 가서 오래 머무르다가 가을이 되기 전에 바로 돌아왔었다고 하였다. 그는 자신의 신세를 스스로 비웃었고 중도에 병에 걸려 상대...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94년 주(冑)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구술자료(5)

  • 제주도 합병한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17]을 구연한 뒤 곧이어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
    조사일시1981-12-01 | 조사장소경상북도 상주군 화서면 신봉1리 | 제보자최숭락
  • 경상남도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보형 철 1905 남자 울산광역시 북구 호계동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현철
  • 김우종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조병화, 조연현, 조정래, 최도영, 최일식, 배, 한수산, 홍사중, 황순원, 가미가제특공대, 국군보충대, 개성 송도중학교, 개성시민회, 경희대학교, 니시닛본신문(西日本新聞), 『다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독서회, 덕성여자대학교, 도시샤대학, 문공부, 『문예』,
    구술자김우종 | 직업교수 | 지역황해도
  • 강현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철승, 이한기, 이한빈, 이해영, 이휘영, 이희승, 이화룡, 스탈린(Stalin), 장기영, 조만식, 조셉 밀러, 지명관, 천관우, 최덕수, 최동진, 최문환, 최승희, 최창봉, 배, 케인즈(John Maynard Keynes), 필립 안(Philip Ahn), 하차
    구술자강현두 | 직업서울대 명예교수 | 지역경기도
  • 났는데, 근데 그 나는 49년 그때 우리 마을 에서 38경비대 경비대대장 영감인가 했어요. [조사자1: 최?] . 그 다음에는 남에서는 김석 원이. 나남 19연대 연대장, 그 양반이...... 연대장. 그런데 거기 갔다가 이런 남북께 그런데 그렇게 싸움 하다가
    조사지역인천 | 조사일2012년 6월 15일

기초학문(79)

  • 외솔 배 선생 20주기 추모 논총 : 실용언어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정헌, 게재일 : 1991
    13924 안정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1 외솔 배 선생 20주기 추모 논총 : 실용언어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
    유형논문 | 게재일1991
  • 사행문학(使行文學) 초기 자료의 쓰기 관습과 내용적 성격 -인재 ()의 '조천일록(朝天日錄)'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규익, 게재일 : 2008
    26400 조규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어문학회 2008 사행문학(使行文學) 초기 자료의 쓰기 관습과 내용적 성격 -인재 ()의 '조천일록(朝天日錄)'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신소설의 범죄 서사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현주, 게재일 : 2004
    10045 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04 신소설의 범죄 서사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신대한’과 ‘대조선’의 사이 (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현식, 게재일 : 2006
    41806 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연구학회 2006 ‘신대한’과 ‘대조선’의 사이 (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신대한’과 ‘대조선’의 사이(2) ―소년지 시(가)의 근대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현식, 게재일 : 2007
    40633 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07 ‘신대한’과 ‘대조선’의 사이(2) ―소년지 시(가)의 근대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184)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泰(-) 부산 泰 - 草梁町573 - - 면사포 - 11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鉉泰(-)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면사포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소경원참봉 김샹면에 구로임고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소경원참봉 김샹면에 구로임고 즁츄원 칙임의관 김용실에 죵이품 김즁환으로 임고 평리원검 명식은 칙임검를 임고 한셩부쥬 김샹직으로 평리원검를 임고 비셔승 리찬의에 졍승모로 임고 덕릉령한챵렬에 슌릉참봉 김유슈로 임고 김긔홍으로 슌릉참봉을 임...
    게재일1900년 9월 4일 | 기사분류관보
  • 이왕에 농샹공부에셔 졔도 시찰원으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왕에 농샹공부에셔 졔도 시찰원으로 파송야 일본에갓던 변국준 리학승 슈 삼씨가 일젼에 비후환륜션을 타고 귀국 다더라
    게재일1899년 10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비셔원승 남졍우 갈닌에 뎡삼품 리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비셔원승 남졍우 갈닌에 뎡삼품 리최승李最承으로 임고 죵묘셔령 김쥰식 갈닌에 복쥬 죠병억趙秉億으로임고 륙품 김쥰식金準植으로 복쥬를 임고 화릉참봉 김즁 갈닌에 佑로 임고 군부쥬 리용샹갈닌에 죠일형趙一衡으로 임다 以上三月廿二日 동명...
    게재일1902년 3월 26일 | 기사분류관보
  • 三倅請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상북도 칠곡군슈 달씨와 지례군슈 김황진씨와 신령군슈 신승휴씨 모다 치젹이 도각군에 뎨일인즉 별반포상케라고 도 젼관찰 신휴씨가 부로 보고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0)

  • 주시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배_9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배 58주차. 역사비교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의 도입 – 이희승,이숭녕 외 이영제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디지털인문학 주임교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주시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배_9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배 59주차. 역사비교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의 도입 – 이희승,이숭녕 외 이영제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디지털인문학 주임교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주시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배_9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배 60주차. 역사비교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의 도입 – 이희승,이숭녕 외 이영제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디지털인문학 주임교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주시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배_9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배 61주차. 역사비교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의 도입 – 이희승,이숭녕 외 이영제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디지털인문학 주임교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주시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배_9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경의 국어사상을 후대에 전하리라 - 배 62주차. 역사비교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의 도입 – 이희승,이숭녕 외 이영제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디지털인문학 주임교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기타자료(9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3352 일본 山口 山口高等學校 山口高等學校一覽 1940~1941년 n.r. 138면 ; 전라남도
    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4951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72면 16. 제16회 졸업자 90명 1940년 3월 25일(5년제) ; 함평
    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6594 남한 전북 전주신흥학교 2-44 新興 제2호 1937―03―10 80면 ; 전남 광주군;미상 제10회 1924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신흥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4484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57면 1. 卒業生;12) 12회(19명: 1921년 3월 졸업) ; 평북 운산군 城面 南山上洞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55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득;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30)

  • / [종교·철학/유학]

    1563(명종 18)∼1640(인조18). 조선 중기의 문신. 이준 증손, 할아버지는 치운, 아버지는 심, 어머니는 정희좌의 딸이다. 정구·고응척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도처에서 공을 세웠고, 1598년 원릉참봉이 되었다

  • 배 / [교육/교육]

    근현대의 국어학자, 국어운동가, 교육자(1894-1970). 1941년 10월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광복 후 문교부 편수국장에 재직하였고, 1949년 한글학회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한글의 창제경위·역사·문법 등에 저서를 남겼으며 한글전용과 풀어쓰기를 주장하

  • 전 /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본과 김영한(金英漢) 소장본, 김동욱(金東旭) 소장본(현재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소장) 등 3종이 있다. 전반부에는 의 고행담과 월계(月桂)와 영애(英愛)의 결연과정이 중심이 되고, 후반부에는

  • 비상 / 비상 [예술·체육/무용]

    한국무용가 의 대표작. 「비상」은 이 교통사고로 입원했다가 퇴원하면서 느꼈던 ‘하늘을 훨훨 날고 싶은 새의 의지’를 독무로 표현한 것이다. 교통사고 후유증에서 벗어나 비상하고자하는 의 의지가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드높은 창공을 나는 학의 고고함과 자유분

  • 우리말본 / 우리말본 [언어/언어·문자]

    배가 지은 문법책. 1937년에 초판, 1955년에 개정판,이후 여러 차례 개정판이 나왔다. 배는 주시경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았는데, 주시경의 학문은 민족주의 입장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말본>은 그 씨가름에서 월가름에 이르기까지 옛 설명을 그대로 쓴 것이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