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한기” 에 대한 검색결과 2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6)

사전(78)

  • 추측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가 사고로 추리하여 만유의 진리를 파악하는 방법을 밝힌 책. [내용] 6권 3책. 필사본. 34세 때인 1836년에 기(氣)의 작용을 밝히고자 지었다. 저자가 기의 본질을 논하여 이 책과 서로 표리관계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한 기록이 몇 차례 나올 따름이다. 이규경은 그를 뛰어난 학자로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고 소개하였고, 또한 그가 중국에서 나온 많은 신간서적을 가지고 있었다고도 기록하였다. 가 당대의 지리학자 김정호(金正浩)와 친분이 두터웠고 이들이 함께 중국에서 나온 세...
    이칭별칭 운로(芸老)| 혜강(惠岡), 패동(浿東), 명남루(明南樓), 기화당(氣和堂)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가면극연희자 차 ☞ 통영오광대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강관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36년(헌종 2) ()가 사전(史傳)의 경연제설(經筵諸說) 중에서 군주와 신하가 할 일을 뽑아서 만든 책. [내용] 4권 1책. 목활자본. 내용의 순서는 서(序)‧제왕학(帝王學)‧강관‧강의‧강규(講規)‧대명경연...
  • 인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 ()가 저술한 인사 행정에 관한 이론서. [개설] 25권 9책. 필사본. 1860년(철종 11)에 완성되었으며, 『명남루총서(明南樓叢書)』의 권1에서 권25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인사 행정의 문제를...

단행본(1)

  • 저자 : 엄연석, 양일모, 강중기, 이원석, 한정길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본서는 19세기 말 이후 서기(西器)의 충격과 도전이 격화되던 시대적 전환기에 지식인들이 동도(東道)를 기초로 한 ’서기’의 수용이라는 소극적 대응으로부터 ’서도(西道)’까지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동서문명의 지평융합과 역전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고서·고문서(13)

  •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경주면 제2회 면협의회 회의록(慶州面第二回面協議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
    군)(회의록첨부)경상북도지사 국가기록원 경주 경주면 제2회 면협의회 회의록(慶州面第二回面協議會會議錄) 회의록 1929년 03월 23일 김성권(金性權)(면장) 管村改彦(1), 정한표(鄭漢表)(3), ()(5), 최의종(崔義鍾)(6)...
    대표표제어경주면 제2회 면협의회 회의록(慶州面第二回面協議會會議錄) | 건명경주면소화4년도세입세출예산의건(경주군)(회의록첨부)경상북도지사 | 회의년월1929년 03월 | 회의일23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 40388 B040388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世宗實錄 地理志 世宗 155 地理志 / 함길도(咸吉道) 세종실록_40011002 ... 伊川。】人物, 贈判門下府事永興伯孝公 。【寔生懿惠王后, 配桓祖, 誕我太祖。 墓在府東南道存山。】墾田一萬五百二十九結。【水田只五百七十...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將鄭泰珪, 守門將趙羲國·白成鎭·金永弼, 俱以病難供職, 呈狀乞遞, 五衛將, 林廷學前〈任〉順天營將, 李秉協前任江原監營中軍, 金完根前任加里浦僉使, 前任黃海監營中軍, 俱在任所, 上來間該廳番次苟艱云, 竝改差,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경주면 제1회 면협의회 회의록(慶州面第一回面協議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원 경주 경주면 제1회 면협의회 회의록(慶州面第一回面協議會會議錄) 회의록 1928년 03월 12일 김성권(金性權)(면장) 管村改彦(1), 정한표(鄭漢表)(3), ()(5), 최의종(崔義鍾)(6), 김성완(金聖完)(8), 김홍규(金洪...
    대표표제어경주면 제1회 면협의회 회의록(慶州面第一回面協議會會議錄) | 건명경주면협의회회의록 | 회의년월1928년 03월 | 회의일12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기초학문(31)

  • 혜강 의 시대인식과 경세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구자익, 게재일 : 2013
    53110 구자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온지학회 2013 혜강 의 시대인식과 경세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의 철학적 담론 모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35289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2 의 철학적 담론 모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자연학의 성격과 지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0919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원 2013 자연학의 성격과 지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사상의 인식론적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현구, 게재일 : 2003
    02071 이현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3 사상의 인식론적 의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의 철학적 담론 모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현구, 게재일 : 2002
    01011 이현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2 의 철학적 담론 모색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
    유형논문 | 게재일2002

멀티미디어(81)

  • 열림과 닫힘_ 19세기 의 철학_2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1주차. 강의 소개 및 총론 2주차. 열림과 닫힘: 19세기 의 철학 3주차. 실심과 실학: 강화 양명학과 근대의 도전 4주차. 융합과 절충 그리고 돌파: 최제우와 동학 5주차. 변혁의 도전: 유학과 개화 6주차. 20세기 지식장의 구성: 최남선과 조선광문회 7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열림과 닫힘_ 19세기 의 철학_2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1주차. 강의 소개 및 총론 2주차. 열림과 닫힘: 19세기 의 철학 3주차. 실심과 실학: 강화 양명학과 근대의 도전 4주차. 융합과 절충 그리고 돌파: 최제우와 동학 5주차. 변혁의 도전: 유학과 개화 6주차. 20세기 지식장의 구성: 최남선과 조선광문회 7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열림과 닫힘_ 19세기 의 철학_2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1주차. 강의 소개 및 총론 2주차. 열림과 닫힘: 19세기 의 철학 3주차. 실심과 실학: 강화 양명학과 근대의 도전 4주차. 융합과 절충 그리고 돌파: 최제우와 동학 5주차. 변혁의 도전: 유학과 개화 6주차. 20세기 지식장의 구성: 최남선과 조선광문회 7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열림과 닫힘_ 19세기 의 철학_2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1주차. 강의 소개 및 총론 2주차. 열림과 닫힘: 19세기 의 철학 3주차. 실심과 실학: 강화 양명학과 근대의 도전 4주차. 융합과 절충 그리고 돌파: 최제우와 동학 5주차. 변혁의 도전: 유학과 개화 6주차. 20세기 지식장의 구성: 최남선과 조선광문회 7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열림과 닫힘_ 19세기 의 철학_2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1주차. 강의 소개 및 총론 2주차. 열림과 닫힘: 19세기 의 철학 3주차. 실심과 실학: 강화 양명학과 근대의 도전 4주차. 융합과 절충 그리고 돌파: 최제우와 동학 5주차. 변혁의 도전: 유학과 개화 6주차. 20세기 지식장의 구성: 최남선과 조선광문회 7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7054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5면 ; 1913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807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4면 ; 1913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15)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과학사상가(1803∼1879). 적극적으로 서양의 과학기술을 도입하였고 서양의학서인《신기천험》을 저술하는 등 서양학문을 소개하는데 힘썼다. 김정호와도 친분이 두터웠고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그의 일생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농정서 / 農政書 [경제·산업/산업]

    ·≪육해법 陸海法≫과 공통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농정서의 저자는 ≪육해법≫을 저술한 ()로 믿어진다. 또한 저술연대는 역관 오경석(吳慶錫)이 최초로 ≪양수기제조법≫을 도입한 것에 비추어, 그가 처음 중국을 다녀온 1853년 사이로 추정된다.

  • 심기도설 / 心器圖說 [경제·산업/산업]

    1842년(헌종 8) ()가 지은 농업기계에 관한 책. 1권 1책. 기중기(起重機)·양수기[取水機]·기름틀[搾油具]·연자방아 등에 관한 내용이다. 이 책에는 목차와 발문이 없고 서문격인 심기도설에 이어 각종 기계의 도설이 있는데, 『제기도설(諸器圖說)』·『

  • 지구전요 / 地球典要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실학자 가 청나라의 『해국도지』·『영환지략』 등을 기초로 1857년에 편찬한 지리서.세계지리서. 13권 7책. 필사본. 본문 12권과 지도 1권으로 되어 있다. 는 당시 우리 나라가 고루한 쇄국정책 때문에 세계 만방의 개화에 보조를 같이하지 못함을

  • 기곡잡기 / 基谷雜記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한경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6년에 간행한 시문집. 1836년(헌종 2) 한경리의 외손인 ()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자서 2편과 권말에 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48수, 만(挽) 11수, 서(書) 6편, 서(序) 5편,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