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치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6)
사전(25)
- 최치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강릉 경포대의 어선을 관리하는 지주로, 허락도 받지 않고 억지로 생선을 사 가려는 양정과 싸움을 벌이게 된다. 정의 기운이 센 까닭에 쉽게 이기지 못하자 물속으로 끌어들여 격투를 벌이던 중 한명회의 중재로 화해하게 된다. 이후 경포대에모여 있던 명회를 비롯하여 여러 호...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최치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90(공양왕 2)∼1440(세종 22).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백경(伯卿), 호는 경호(鏡湖)ㆍ조은(釣隱). 할아버지는 좌윤 원량(元亮)이고, 아버지는 안린(安獜)이며, 어머니는 전인구(全仁具)의 딸이...이칭별칭 백경(伯卿)| 경호(鏡湖), 조은(釣隱)
- 崔致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605 崔致雲 인물 伯卿, 參判 江陵, 京師 我太宗, 應賢 D_04_02_05 대동운부군옥 4권 2장 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2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향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강릉시 교동 에 있는 최치운(崔致雲) 등 6인을 배향한 사당. [내용]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8호. 1645년(인조 23) 건립하고 조은(釣隱) 최치운(崔致雲), 수헌(睡軒) 최응현(崔應賢),...연계항목향현사(鄕賢祠)
- 변효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고, 앞서 최치운(崔致雲)ㆍ이세형(李世衡)ㆍ김황(金滉) 등과 함께『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을 편찬하였다. 『세종실록(世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이칭별칭 일민(一敏)|계문(季文)
고서·고문서(109)
- 新註無寃錄序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新註無寃錄 新註無寃錄 卷上 論辯 新註無寃錄序 최치운(崔致雲) 등 33 昔元朝東甌王氏增損洗冤平冤二錄編輯是書以傳于世蓋欲使天下無寃民也然文頗艱深人未能盡解以致檢覆難明疑獄尙繁良可歎已 恭惟我主上殿下以好生之德行不忍之政轸念赤子或陷于非辜乃命吏曹參議臣崔致雲判承文院事臣李世衡藝文館直提學臣卞...서명新註無寃錄 | 저자최치운(崔致雲)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新註無寃錄序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新註無寃錄 新註無寃錄 卷上 論辯 新註無寃錄序 최치운(崔致雲) 등 33 漢張釋之【強姓釋之名】爲廷尉【刑官】天下無寃民于定國【于姓定國名】爲廷尉民自以不寃盖獄重事也治【理也】獄固難斷【決也】獄尤難然獄之關於人命者唯檢屍爲至難毫釐之差【十絲爲毫十毫爲釐言其小也生】死攸繫苟定驗不明雖善於治獄斷獄...서명新註無寃錄 | 저자최치운(崔致雲)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新註無寃錄序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新註無寃錄 新註無寃錄 卷上 論辯 新註無寃錄序 최치운(崔致雲) 등 33 上古聖人治天下豈欲加刑於民哉刑之盖不得已而用也明刑期無刑文王克明德愼罰此三代所以刑措也【措委置也】三代而下漢之文景囹圄空虛【囹圄獄也】亦幾刑措世降淳澆【堅堯切薄也】訟獄繁興雖至聰明莫究枉直檢驗之頃或違法則【法也】以致罪戾...서명新註無寃錄 | 저자최치운(崔致雲)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今古驗法不同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新註無寃錄 新註無寃錄 卷上 論辯 今古驗法不同 최치운(崔致雲) 등 33 法有宜於古者未必皆便於今貴乎隨時之宜而損益之【損益猶言加咸也】且人命至重【檢屍最難屍謂檢察死人也】今檢驗屍傷【驗考視也謂察視死人之傷處也】往往取則於洗冤平冤二錄【往往猶言每每也取則取法也洗寃謂洗其寃抑卽宋惠父所編平寃謂平...서명新註無寃錄 | 저자최치운(崔致雲)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自縊子義驗【縊於計切絞也字義謂自縊二字之義】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新註無寃錄 新註無寃錄 卷上 論辯 自縊子義驗【縊於計切絞也字義謂自縊二字之義】 최치운(崔致雲) 등 33 人之生也肯貌天地【肖似也謂貌似天地也】禀形父母莫不愛其所受【所受謂受於父母之體也】以蹐壽域不幸死於非命【非命謂非正命卽横死也】檢復之際【檢謂初檢也復謂再檢也】定執不明【定決也執守也定執謂定...서명新註無寃錄 | 저자최치운(崔致雲)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2)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화를 소개한 글 허조(許稠), 김점(金漸), 이만주(李滿住), 최윤덕(崔潤德), 최치운(崔致雲), 임합라(林哈剌), 타납노(吒納奴), 홀라온(忽刺溫) 조양보번역문.pdf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시사_1966_3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후진국 근대화의 일반적 문제 신범식 16 수레와 인부 19 동양에 떨쳤던 법의-이조말엽의 인물 최치운 2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주제어사전(1)
-
최치운 / 崔致雲 [종교·철학/유학]
1390(공양왕 2)∼1440(세종 22).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원량, 아버지는 안린, 어머니는 전인구의 딸이다. 1417년 식년문과에 동진사로 급제, 공조참의, 이조참의, 좌승지,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왕명으로『무원록』을 주석, 율문을 강해하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