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창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
사전(26)
- 최창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9(현종 10)∼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효백(孝伯), 호는 곤륜(昆侖). 영의정 명길(鳴吉)의 증손으로, 영의정 석정(錫鼎)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경주이씨(慶州李氏)로 경억...이칭별칭 효백(孝伯)| 곤륜(昆侖)
- 박태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폐하고자 하였다. 급제한 뒤 4년 만에 병으로 죽어 벼슬은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에 그쳤다. 평소 언론이 준엄하면서 발라 당파에 휩쓸리지 않아 이광좌(李光佐)‧최창대(崔昌大) 등은 그를 선배로 존경하였다. [저술활동] 저서로는『박정자유고(朴正字遺稿...이칭별칭 교백(喬佰)
-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일본군을 무찌른 전투를 소상히 기록한 전승비이다. 높이 187cm, 너비 66cm 두께 13cm로 1500자가 새겨져 있다. 1707년 북평사 최창대(崔昌大)가 함경도 길주군(吉州郡)에 세웠다. 1905년 러일 전쟁 당시 일본군 이케다 마시스케(池田正介) 소장이 일본으...유형분류유물
- 잔경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마지막 더위. 餘何能自盡 只祝殘庚 啓居益康, 최창대(崔昌大), 21(禮)-37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손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文成後 .望下投損窩之意亦然也, 최창대(崔昌大), 44-132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7)
- 곤륜집(昆侖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正郞, 金澋爲禮曹參議, 金浣爲戶曹佐郞, 李晩成爲兼西學敎授, 金普澤爲正言, 李三碩爲兵曹參知, 李德英爲輔德, 李世奭爲掌令, 李晩成爲校理, 崔昌大爲兼文學, 李熙台爲典籍, 沈浩爲平市令, 崔昌大爲修撰。 吏曹謄錄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正郞, 金澋爲禮曹參議, 金浣爲戶曹佐郞, 李晩成爲兼西學敎授, 金普澤爲正言, 李三碩爲兵曹參知, 李德英爲輔德, 李世奭爲掌令, 李晩成爲校理, 崔昌大爲兼文學, 李熙台爲典籍, 沈浩爲平市令, 崔昌大爲修撰。 吏曹謄錄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徐文裕, 領府事李宜顯, 故副提學崔昌大, 未赴任遞改之後, 因本曹啓辭, 所授加資, 俱爲還收, 今(今)則何以爲之? 敢稟。 傳曰, 還收。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裕, 領府事李宜顯, 故副提學崔昌大, 未赴任遞改之後, 因本曹啓辭, 所授加資, 俱爲還收, 今(今)則何以爲之? 敢稟。 傳曰, 還收。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4)
- 최창대;崔昌大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295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26면 최창대;崔昌大 평북 제15회 1925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창대;崔昌大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724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31면 최창대;崔昌大 평북 제15회 1925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창대;崔昌大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8343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34 117면 2. 제7편. 졸업생일람;1) 졸업생명부;(15) 1925년;b. 별과5명 최창대;崔昌大 (출신지...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창대;崔昌大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7996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28 48면 2. 제8. 졸업생;15) 1925년;(2) 별과5명 최창대;崔昌大 (출신지)평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최창대 / 崔昌大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명길 증손, 석정 아들, 어머니는 이경억의 딸이다. 16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검열·설서·부수찬을 거쳐 1698년 암행어사가 되었다. 이어 교리·이조좌랑·헌납·응교를 거쳐 1704년 사
-
황택후 / 黃宅厚 [종교·철학/유학]
1687(숙종 13)∼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황상구이다. 최창대·이하곤·구택규 등의 문인이다. 금위영의 서리로 일하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을 토벌하는 도순무사 오명항의 막하에서 서기로
-
계갑록 / 癸甲錄 [역사/조선시대사]
(權尙夏)·최창대(崔昌大) 등이 서로 논란을 벌인 상소문들이 수록되어 있다.제2책 하권에는 1703년 6월부터 올려진 상소문과 박세당에게 유배 등 조처를 내린 부계(府啓), 그 뒤 숙종이 신원을 허락하고 경종이 1723년 시호를 내린 사실까지의 상소·청대·차자(箚子),
-
곤륜집 / 昆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최창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5년에 간행한 시문집. 20권 8책. 활자본. 1725년(영조 1)에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에 부(賦)·시, 권2∼5에 시, 권6에 서(序)·기, 권7∼9에 소·차(箚), 권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