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찬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1)
사전(178)
- 최찬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수 있다. 그것도 신식결혼관이나 연애가 표면적으로만 등장할 뿐, 궁극적인 주제는 고대소설적인 윤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찬식의 소설은 당대 신소설의 한계 및 통속화 현상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신문학과 시대의식』...이칭별칭찬옥|해동초인|동초
- 부랑자경고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최찬식(崔讚植)이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410구이며, 음수율은 4‧4조이다. 1918년 일본 동경에서 우에노(上野政吉)가 발행하던 『반도시론(半島時論)』에 게재, 발표되었다. 가사작품의 표제에서 보는...
- 최영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56(철종 7)∼1935. 교육자‧언론인‧문인.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성일(聖一), 호는 매하산인(梅下山人). 경기도 광주출생. 신소설 「추월색(秋月色)」의 작가 찬식(瓚植)의 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이칭별칭 성일(聖一)| 매하산인(梅下山人)
- 근대신어 : 상품(상품)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27369 상품 사항 상품 수여식날 졸업장과 다수 상품을 타 수여식날 졸업장과 많은 상품을 타매 최찬식 추월색 1912 44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2, 187면 교육계통분류 [과학지식] 교육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본부(본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23514 본부 바항 본부 본부에 엄수옵고 본부에 엄수하옵고 최찬식 추월색 1912 22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2, 238면 사회관계계통분류 [사회생활] 사회관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신문·잡지(12)
- 孤兒院新聞請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죵로 고아원 춍무 최찬식씨가 경시쳥에 쳥원고 고아원 신문을 장차 간야 일반학도와 국민의 지식을 발달케 터이니 인허라 지라 경시춍감 구연슈씨가 그 실노 부에 보고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반도시론_1918_02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목차없음 사내(寺內)내각에 대한 희망-제40의회개회와 조선개발의 2대 문제 竹內錄之助 2 총독정치를 논함 최찬식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8
- 반도시론_1917_01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3 풍기숙청의 요점은 부자유친 최찬식 25 하위기사 있음. 태평기예, 東雄, 27쪽 분절요. 경부선차중에서 呤月生 28 하위기사 있음...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 반도시론_1918_02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경성의 대표적인물 일기자 40 금일의 경성 최찬식 43 광고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8
- 반도시론_1917_01_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1 21쪽 결락 대자연의 금강 최찬식 23 36쪽 왼쪽 짤림 광고7 56 전면광고임 파일명 055-p1 로...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기타자료(1)
- 최찬식;崔燦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0667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101면 1. 숭전·숭실 졸업생;8) 차行部 최찬식;崔燦寔 대동군 용산면 하리 247;...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최찬식 / 崔瓚植 [문학]
현대의 소설가(1881∼1951). 관립한성중학교에서 수학, 문학에 뜻을 두어 1907년에 중국 상해에서 발행한 소설전집 《설부총서》를 번역한 뒤 신소설 창작에 착수한다. 말년에는 최익현의 실기를 집필했으나 끝내지 못하고 죽었다.〈추월색〉을 비롯하여〈안의 성〉·〈금강
-
금강문 / 金剛門 [문학/현대문학]
최찬식(崔瓚植)이 집필한 신소설. 작가의 세 번째 발표작품으로 1914년 8월 19일 동미서시에서 출판되었다. 재자(才子)와 가인(佳人)의 혼사장애담을 기본 모티브로 하고 있으며, 여성 주인공이 악인의 음모로 인해 수난을 겪는 상황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신
-
부랑자경고가 / 浮浪子警告歌 [문학/고전시가]
최찬식(崔讚植)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410구이며, 음수율은 4·4조이다. 1918년 일본 동경에서 우에노(上野政吉)가 발행하던 『반도시론(半島時論)』에 게재, 발표되었다. 가사작품의 표제에서 보는 것처럼, 사회의 문제아들에 대한 경고와 훈계를
-
최영년 / 崔永年 [문학/한문학]
일제강점기 국민신보 사장, 조선문의 주필 등을 역임한 언론인.친일반민족행위자. 신소설 『추월색(秋月色)』의 작가인 최찬식(崔瓚植)이 아들이다. 1897년 고향인 경기도 광주에 사립 시흥학교(時興學校)를 설립해서 신교육보급에 앞장섰다. 1904년 일진회(一進會)에 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