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제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6)
사전(140)
- 수덕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2(철종 13) 최제우(崔濟愚)가 지은 글. [내용] 『동경대전(東經大全)』에 수록되어 있다. 최제우가 그동안 교인들을 가르쳐온 경험에 비추어 교인들이 덕을 닦는 올바른 방법을 제시한 글이다. 1862년(철종 13)에
- 최제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4) 최제우 1824(순조 24)∼1864(고종 1). 동학의 교조.이칭별칭 성묵(性默)| 수운(水雲), 수운재(水雲齋)
- 양천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사람의 몸에 한울님을 기른다는 뜻으로, 동학의 근본사상 가운데 하나. [내용] 동학 개조 최제우(崔濟愚)는 “하염없는 이것들아 날로 믿고 그러하냐. 나는 도시 믿지 말고 한울님만 믿어서라. 네 몸에 모셨으니 사근취원(捨近取遠)하단말가.”...
- 삼례집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2년 10월과 11월에 걸쳐 동학교도가 최제우(崔濟愚)의 신원(伸寃)을 요구하며 전라도 삼례에서 개최한 집회. [역사적 배경] 1890년대 초반 사회적 모순이 심화됨에 따라 수많은 민중들이 새로운 이상세계를 약속하는 동...
- 팔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3년(철종 14)에 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崔濟愚)가 도를 닦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을 여덟 가지로 나누어 설명한 글. [내용] 여덟 항목은 사물을 밝게 아는 길, 덕을 아는 길, 생명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를 아는 길,
단행본(1)
- 한국신종교사전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 원광대학교]저자 : 한국신종교사전편찬위원회 ... | 출판사 : 도서출판 한맘 | 출판일 : 20180625근대에 발생한 한국 신종교들은 근대 대중·민중의 삶을 읽어낼 수 있고, 현대 신종교들은 또 다른 종교문화의 삶을 읽어낼 수 있는 재료가 되기에 중요하다. 근현대 한국 종교문화의 흐름은 먼저 유·불·도 삼교를 주축으로 하는 전통 종교문화의 근현대적인 변모를 담고 있다. ...
논문(1)
- 최제우 박은식의 유교 개혁 방향, 평등관,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태도 [韓·中 傳統과 近代의 移行-신문화 운동을 중심으로-(Korean & China, from Tradition to Modernity) | 北京大學 (Peking University)]저자 : 황종원(北京大學(Peking University)) | 게재정보 : 퇴계학과 유교문화 49권, 게재일 : 2011.08유형논문
고서·고문서(27)
- 도덕가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18ㄱ 도덕가라 六十八句천자음양 시판우 천만물 화서지우 금수요 최령 람이라전오 시상말리 천인심 갓고점수 주역괘여 난칙 귀신이요학 이런도 명〃득 여여지으지선 안닐넌가 中용 일은말은 원문 ...가사유형동학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 도수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34ㄴ 일귀 신유광 천지간의 정쳐읍시 발졍니울〃 이회포 부칠 바이업셔쳥여로 볏을삼아 억창의 몸을빗겨 원문 35ㄱ 졈〃반칙 가서 호런이 각이나도 이상의 천운이 만국여만고업 무...가사유형종교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 안심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26ㄴ 안심가一白四十九귀 경인현숙한 집부여 이글보고 앙심하소저영 초목군 死生在天 안일넌가합물며 만불지간 유인이 쥐령일나도 〃날임 명복바다 출시하니시 니일을 역〃키 히려보니첩〃히 험난일을 당코나니 고일이도역시 천정이라 무가라...가사유형동학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 용담유서라 교훈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20ㄱ 용담유서라 교훈가왈이질 아들아 경수차서 여서라너들이 시上 오으로 기서삼강을 법을삼고 오륜 첨이서이십살 라니 성문고족 이집안명수업 너거동 보고니 경사로다소읍〃시 길워니 일회일비 안일넌가 ...가사유형동학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 흥비가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15ㄴ 흥비가라지시운별가 〃〃니 긔칙불원 긔칙불원: 기측불원((其則不遠). 이라피 보거설 으글 업건마이도시 사람이요 부어건 부어건: 부재어근(不在於斤). 그 잘못이 도끼에 있지 않다. 이로목전지 수이말고 심양업새 가서말...가사유형동학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구술자료(1)
- 김정선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렀던 낭송조에 관해 설명하는 내용과 직접 부른 노래가 녹음되어있다. 2) 이보형 소장 음악자료 총 목록의 대표표제어는 \'손용 농악조사\'라고 되어 있으나, 실제 녹음된 내용은 \'김정선 대담\'이다. 3) 음질 중 동학 김정선 김주희 최제우 낭송 동경대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선
기초학문(1)
- 수운(水雲 崔濟愚) 종교체험의 비교종교학적 고찰: ‘체험-해석틀’의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71664 한국연구재단 한국동학학회 2009 수운(水雲 崔濟愚) 종교체험의 비교종교학적 고찰: ‘체험-해석틀’의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4)
- 조선출판경찰월보 024호 신인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24호 신인간 신인간(新人間) 미기재 이돈화(李敦化) 경성(京城) 조선_1930년 8월 3일 삭제 치안 한국어 천도교, 최제우, 최시형, 손병희 1. 희생과 투쟁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24호 신인간 | 출판물명신인간(新人間)
- 조선출판경찰월보 002호 신인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시종(始終)해야 할 역군(役軍)이 필요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69년 전 출운(出雲) 대신사(大神師)[수운(水雲) 최제우의 오기로 추정]가 제작한 도안은 선천 5만 년과 후천 5만 년을 규정(規程)으로 삼은 준적(準的)이다. 그러므로 오등은 장래 건설의 길에 설 것을...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2호 신인간 | 출판물명신인간(新人間) 제29호
- 세계_1960_02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15 한국의 루소 최수운-최제우의 민족종교 이선근 218 한국의 루소 최수운-최제우 론 김범부 227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0
- 통일평론_1977_14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風向計-韓国における輪出とは? 210 朝鮮詩話 (13)-李朝初期のうた (3) 崔在鶴 212 人物伝 (10)-崔濟愚 金哲央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7
멀티미디어(251)
- 국 신종교 탄생의 배경 2주차. 세상을 개벽하다 3주차. 수운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4주차. 강증산의 생애와 종교 활동 5주차. 일제 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6주차.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와 사상 7주차. 원불교 알아보기 8주차. 일상생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 신종교Ⅰ | 강의자허석
- 국 신종교 탄생의 배경 2주차. 세상을 개벽하다 3주차. 수운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4주차. 강증산의 생애와 종교 활동 5주차. 일제 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6주차.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와 사상 7주차. 원불교 알아보기 8주차. 일상생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 신종교Ⅰ | 강의자허석
- 국 신종교 탄생의 배경 2주차. 세상을 개벽하다 3주차. 수운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4주차. 강증산의 생애와 종교 활동 5주차. 일제 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6주차.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와 사상 7주차. 원불교 알아보기 8주차. 일상생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 신종교Ⅰ | 강의자허석
- 국 신종교 탄생의 배경 2주차. 세상을 개벽하다 3주차. 수운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4주차. 강증산의 생애와 종교 활동 5주차. 일제 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6주차.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와 사상 7주차. 원불교 알아보기 8주차. 일상생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 신종교Ⅰ | 강의자허석
- 국 신종교 탄생의 배경 2주차. 세상을 개벽하다 3주차. 수운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4주차. 강증산의 생애와 종교 활동 5주차. 일제 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6주차.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와 사상 7주차. 원불교 알아보기 8주차. 일상생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 신종교Ⅰ | 강의자허석
연구과제(1)
-
한국 근대화의 사상적 동력 : 근대 조선과 대한민국 건국기까지의 거대 담론들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황태연 | 동국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6)
-
최제우 / 崔濟愚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동학인·교조(1824∼1864). 동학을 창시하고 1861년 포교를 시작하였다. 경주에 정착한 뒤 전국 각지로 교세가 퍼지기 시작하였으나 조정에서 파견된 정운구에 의해 체포된 후 처형되었다.
-
전수운최제우유허지 / 傳水雲崔濟愚遺虛址 [종교·철학/천도교]
울산광역시 중구 유곡동에 있는 천도교의 유적지. 수운 최제우가 초가를 짓고 수도생활을 한 터이다. 최제우는 1855년 이 곳에서 이승으로부터 천서(天書)를 받아 사흘만에 그 뜻을 깨치고 그 때부터 본격적인 구도에 정진하였다고 한다. ‘여시바윗골’로도 불리던 이 곳은
-
교조신원운동 / 敎祖伸寃運動 [종교·철학/천도교]
1864년 동학 교조 최제우(崔濟愚)가 혹세무민(惑世誣民)의 죄명으로 처형당한 뒤, 동학교도들이 그의 죄명을 벗기고 교조의 원을 풀어 줌으로써 종교상의 자유를 얻기 위해 벌인 운동. 동학의 교조신원운동은 19세기 후반의 농민운동과 합류해 서학과 외세를 배격하는 189
-
시천주 / 侍天主 [종교·철학/천도교]
최제우(崔濟愚)가 세운 동학의 근본사상. 천주를 모신다는 뜻이다. 천주는 일반적으로 절대자 또는 초월자를 의미하는데, 천도교에서는 하느님을 한자로 표기할 때 쓴다. 천도교에서는 인간 속에 하느님이 내재한다고 본다. 따라서 시천주사상은 곧 하느님이라고 하는 인간지상주의
-
인내천 / 人乃天 [종교·철학/천도교]
천도교의 종지. 손병희가 1905년을 전후해서 간행한 <대종정의설>에서 처음 주장하였다. 인내천은 최제우의 시천주, 그리고 최시형의 사인여천과 맥을 같이한다. 최제우의 시천주는 인간이 신을 모시고 있다는 사상이며, 최시형의 사인여천은 인간을 신같이 모시라는 사상인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