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유선” 에 대한 검색결과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19)

  • 최사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091(선종 8). 고려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충(冲)의 손자로, 유선(惟善)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054년(문종 8) 과거에 급제한 뒤, 1081년 예부상서로 사은사(...
    이칭별칭 양평(良平)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075(문종 29). 고려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중서령(中書令) 충(冲)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030년(현종 21) 과거에 급제하여 7품으로 한림원에 들어갔다. 그 뒤 ...
    이칭별칭 문화(文和)
  • TD_L14_D_1945 인물 人名, 文憲公, 登第, 入侍, 諫諍, 創業, 守成, 平章事, 門下侍中, 繼世儒宗, 匡輔兩朝 海州, 興王寺, 德水縣, 陽川 冲, 顯宗, 文宗, 文和, 思齊 D_11_04_35 대동운부군옥 11권 4장 3...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4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265 인물 絲往, 文章, 錦還鄕 中土 鄭知常 D_12_01_39 대동운부군옥 12권 1장 3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1장 3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4655 인물 無赫赫, 中書 麗史 D_20_01_30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3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3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9)

  • 西浦突瓦黃金利相望朝欲煦有森月城中花竹今無主空餘古風流一曲高聲舞記憶文章動中土絲往錦還鄕年未二十九白玉點蒼蠅不爲時所取至今南山中唯有一遣圃邈哉九世孫結髮混卒伍喚來峩其冠人識賢者後亦有薛先生蔚然龍與虎方言講五經學者比東魯俗呼二君子齊名同李杜嘯詠臨淸風宿疾猶可愈朅米謁金仙虛堂香一炷稽首祝吾君萬年受...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을 이었다. ○천택(天澤)이 저문 후에 나가서 다른 곳에서 잤다고 한다. 初十日己亥, 晴, 彗曉在東北。 初十日己亥, 晴, 彗曉在東北。 ○留堂。妻氏同住。○天澤午還。吾書借馬簡, 傳應祥處。○與天澤碁。○御史京入州, 遣書吏問之。○婢亇今厭負淑禧云。捉來撻背。○令道送遺祭...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1 第十一統統首李萬重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口相准 第三戶 府案付下山烽軍郭世建年參拾柒甲子本玄風父業武承卓祖日生曾祖分上外祖定 虜衛閔命彔本呂州妻李召史年參拾五丙寅本慶州父兼司僕得察祖業武夢哲曾外 祖不知等丁酉戶口相准 第四戶 府案付川內烽軍鰥夫年肆拾參戊午本慶州父正兵連宗祖正兵正業曾祖宣 武原從功臣訓鍊院僉正仇知外祖正兵朴得...
    연도_면이름172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二新里坊
  • 15 第十五統統首朴進乞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本靈 山率女召史年拾丁酉等癸卯戶口相准 第四戶 川內烽軍鰥夫年肆拾玖戊午本慶州父正兵連宗祖正兵正業曾祖宣武原從功臣僉 正仇知外祖正兵朴得立本蔚山率母朴召史今故等癸卯戶口相准 第五戶 故崔貴善代子府川內烽軍崔列金年參拾參甲戌本慶州父業武貴善祖祖正兵彦己曾祖正兵永立 外祖不知率奴能櫓軍加八里年...
    연도_면이름1726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新里坊
  • 9 第九統統首朴大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不知率子仁耈年貳拾參丁亥次子起 大年拾玖辛卯次子古男年拾庚子等丙午戶口相准 第四戶 工匠年肆拾陸甲子本慶州父善發祖己先曾祖知天外祖李白本慶州母李召史年柒拾捌壬辰妻 尹召史年肆拾陸甲子本坡平父用業祖福萬曾祖善仁外祖不知率子尙用年拾捌壬辰次女召史年柒癸卯 等丙午戶口相准 第五戶 鎭撫李舜中改名...
    연도_면이름1789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三北洞里

신문·잡지(7)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984 ∼1075(문종 29). 고려 중기의 문신. 충의 아들이다. 1030년(현종 21) 과거에 급제하여 7품으로 한림원에 들어갔다. 그 뒤 1047년(문종 1) 어사잡단을 거쳐 1052년 형부상서를 역임했다. 판상서예부사를 거쳐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문하시중이

  • 잡서 / 雜書 [문학/한문학]

    자가 『잡서』를 『속파한집』의 뒤에 붙인 것은 두 책이 같은 성격의 저술이었기 때문이다. 이장용도 『잡서』를 신화류(新話類)라 하였는데, 이는『잡서』가 시화집이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최자가 『보한집』에서 정서가 『잡서』에 (, ?∼1075)의 「규정시(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