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영” 에 대한 검색결과 5,9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66)

사전(887)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고려의 명장이다. 정몽주가 ‘이성계는 명장이니 경계하라’고 이르자, 이미 눈치 챘다고 하며 성계의 병권을 빼앗아 버린다. 성계의 명망이 훌륭하여 모든 이의마음이 기울었지만 조금도 마음을 움직이지 않고 고려의 임금에게 충성을 다한다. 이후 비161) 한중연 소장본 [윤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고려의 무장이다. 이성계의 힘이 너무 강대해지는 모습을 보고고려 왕조에 위협이 될까 염려한다. 그리하여 요동 정벌을 구실로 성계를 선봉장수를 내보내 명나라 군대와 싸우다 죽게 만들려 한다. 그러나 성계가 위화도에서 군대를 돌려 궁으로 들어오자 매우 걱정한다. 마침내 성...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264(원종 5). 고려 후기의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1256년(고종 43) 원수로서 몽고의 침입을 막았으며, 이듬해 좌복야(左僕射)로 안경공 창(安慶公 淐)과 함께 사신이 되어 몽고에 다녀왔다. 1258년 참지정...
    이칭별칭 장평(莊平)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인. [생애 및 활동사항] 1225년(고종 42) 몽고병 10여기가 승천성(昇天城 : 경기도 개풍군 지역)에 침입하자 당시 대장군으로 이들을 회유하여 물러가게 하였다. 1257년 집권자인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史節要)』 『태조실록(太祖實錄)』 「()」(민병하, 『한국의 인간상』 2, 신구문화사, 1965) 「()」(김상기, 『조선명인전』, 조선일보사, 1939)
    이칭별칭 무민(武愍)

단행본(1)

  • 东北朝鲜族地区基督教传播史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저자 : 황유복, 최영근... | 출판사 : 中央民族大学出版社 | 출판일 : 2014.042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논문(2)

고서·고문서(2,844)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님 송 남자 경상북도 성주군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신흥가 10거8조 3호10위 4 3 사님,
    대표표제어최영사님 | 성씨
  • 經史門3_攻遼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攻遼 高麗 , 忠智之人也. 其北伐一事, 終至於極狼狽, 莫不疑駭. 然卞季良詩云: “奮威匡國鬢星星, 學語街童盡識名. 一片壯心應不死, 千秋永與泰山橫.” 元天錫詩云: “水鏡埋光柱石頹, 四方民俗盡悲哀. 赫然功業終歸朽, 確爾忠誠死不灰. 紀事靑編曾滿帙, 可憐黃壤已成堆. 想...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6 第六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6년_청양면(靑良面) 1726년 청양면(靑良面) 新里坊 6 第六統統首准 第一戶 府束伍別隊准年伍拾玖戊申本慶州父業武貴善祖通政大夫彦己曾祖宣武原從功臣僉知 仇知外祖通政大夫崔秀亂本善山率母崔召史年柒拾壹丙申妻魯召史年伍拾壹丙辰本昌原父嘉 善大夫孝永祖嘉善大...
    연도_면이름1726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新里坊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9년_농소면(農所面) 1729년 농소면(農所面) 第二藥水坊 1 第一統統首元 第一戶幼學崔擎元代同生別軍官擎圭年伍拾陸甲寅本永川父學生柱南祖通德郞典涓司直 長尙厚曾[祖]奉直郞守軍資監僉正胤卓外祖學生李蓂本鶴城妻鄭召史年肆拾陸甲子 本東萊父業武順卓祖僉正士上曾祖...
    연도_면이름172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二藥水坊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2년_청양면(靑良面) 1792년 청양면(靑良面) 第二十八柒器里 1 第一統統首才 第一戶 禁米保才年肆拾捌乙丑本慶州父業武文巾祖業武宗海曾祖通政榮建外祖業武崔 斗邦本慶州妻金召史年肆拾捌乙丑本金海父忠衛益昌祖通政斗汗曾祖嘉善聲震外祖業武 李於仁者未本蔚山率女...
    연도_면이름1792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二十八柒器里

구술자료(38)

  • 장군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송씨 만신의 제석굿과 염불타령이 끝난 후 좌중을 정돈했다. 조사자가 송씨 만신에게 만신들이 최일장군을 모시게 된 내력을 물었다. 송씨 만신은 원래는 최일장군이라고 했었는데, 요즘 다른 사람이 최일장군이 아니라 최영장군이라고 해서 고쳐 말하려고 애를 쓴다고 했다.*
    조사일시1981-10-08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내가면 | 제보자송분임
  • 덕구리 장군신과 내덕리 단종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시 성황당 이야기를 한다며 신이나 구술하였다. *
    조사일시19840715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 제보자정영식
  • 07_057 전북 전라북도 김제시 전라북도 김제시_만경면 논매기소리 만경면 논매기소리 1. 호미 긴소리 사나히루구나 2. 잦은소리 3. 호미 긴소리 어루사 4. 에염소리 5. 만두리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면 대동리, 만경리 1986. 素86-4-29③A (
    녹음지역전라북도 김제시 만경면 대동리, 만경리 | 녹음날짜1986. | 가창방식1~5. 멕받형(선후창)
  • 최효숙 음악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동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최효숙 최정숙 춘 가야금 산조 산조 1986-02-17 전라남도 순천시 08:45 00:00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효숙
  • 07_056 전북 전라북도 김제시 전라북도 김제시_만경면 논매기소리 만경면 논매기소리 1. 사나헤로구나 2. 만두리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면 대동리, 만경리 1986.4.29 素86-4-29②A 의(1921년 대동리 출생.남.1971년경에 만경리 입촌)
    녹음지역전라북도 김제시 만경면 대동리, 만경리 | 녹음날짜1986.4.29 | 가창방식1, 2. 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171)

  • 1920년대 출판경영인 澤과 『立身冒險談』번역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희정, 게재일 : 2017
    61274 최희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산경남사학회 2017 1920년대 출판경영인 澤과 『立身冒險談』번역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재일조선인 동시童詩와 디아스포라적 장소성―진ㆍ리방세ㆍ고봉전 시의 ‘숨바꼭질’ 놀이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종환, 게재일 : 2015
    19680 최종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아동문학학회 2015 재일조선인 동시童詩와 디아스포라적 장소성―진ㆍ리방세ㆍ고봉전 시의 ‘숨바꼭질’ 놀이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엘리엇(T.S. Eliot)의 시와 극에 나타난 추리 소설적 요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영승, 게재일 : 2001
    02017 승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새한영어영문학회 2001 엘리엇(T.S. Eliot)의 시와 극에 나타난 추리 소설적 요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이스라엘의 정치발전과 이슬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영철, 게재일 : 2004
    01380 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울 2004 이스라엘의 정치발전과 이슬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60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쿠웨이트의 정치발전과 이슬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영철, 게재일 : 2005
    01614 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울 2005 쿠웨이트의 정치발전과 이슬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60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259)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瑞(瑞商店) 서울 瑞商店 蓮建町 72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6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榮瑞(崔榮瑞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實(實商店) 서울 實商店 禮智町市南前 11 식료품 - 과일(果物) 소매 114 야채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
    대표표제어崔永實(崔永實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과일(果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國(國) 서울 國 靑葉町 2-104 기타 - 고물(古物) - 27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榮國(崔榮國)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고물(古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鱗(鱗) 서울 鱗 黃金町 5-22 건축재료 - 목재 소매 64.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泳鱗(崔泳鱗) | 지역서울 | 품목건축재료 | 영업종목목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植(植) 서울 植 體府町 75 복장품 - 안경 소매 31.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永植(崔永植)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안경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114)

  • 고려의 멸망과 _ 이성계_6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려의 건국과 왕건_ 견훤 5주차_ 고려 중기의 사회 상황과 묘청_ 김부식 6주차_ 고려의 멸망과 _ 이성계 7주차_ 조선 초기 유교 정치와 성삼문_ 신숙주 8주차_ 임진왜란과 이순신_ 원균 9주차_ 조선 후기의 붕당정치와 송시열_ 윤증 30주차_ 쇄국_ 개화 정책과
    강좌제목인물로 보는 라이벌 한국사 | 강의자김갑동 교수
  • 고려의 멸망과 _ 이성계_6주차_2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려의 건국과 왕건_ 견훤 5주차_ 고려 중기의 사회 상황과 묘청_ 김부식 6주차_ 고려의 멸망과 _ 이성계 7주차_ 조선 초기 유교 정치와 성삼문_ 신숙주 8주차_ 임진왜란과 이순신_ 원균 9주차_ 조선 후기의 붕당정치와 송시열_ 윤증 31주차_ 쇄국_ 개화 정책과
    강좌제목인물로 보는 라이벌 한국사 | 강의자김갑동 교수
  • 고려의 멸망과 _ 이성계_6주차_3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려의 건국과 왕건_ 견훤 5주차_ 고려 중기의 사회 상황과 묘청_ 김부식 6주차_ 고려의 멸망과 _ 이성계 7주차_ 조선 초기 유교 정치와 성삼문_ 신숙주 8주차_ 임진왜란과 이순신_ 원균 9주차_ 조선 후기의 붕당정치와 송시열_ 윤증 32주차_ 쇄국_ 개화 정책과
    강좌제목인물로 보는 라이벌 한국사 | 강의자김갑동 교수
  • 고려의 멸망과 _ 이성계_6주차_4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려의 건국과 왕건_ 견훤 5주차_ 고려 중기의 사회 상황과 묘청_ 김부식 6주차_ 고려의 멸망과 _ 이성계 7주차_ 조선 초기 유교 정치와 성삼문_ 신숙주 8주차_ 임진왜란과 이순신_ 원균 9주차_ 조선 후기의 붕당정치와 송시열_ 윤증 33주차_ 쇄국_ 개화 정책과
    강좌제목인물로 보는 라이벌 한국사 | 강의자김갑동 교수
  • 한국의 대표적 유학자_1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계보 9주차.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 10주차. 19세기 한국 성리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진 외 9인 한국의 대표적 유학자_1주차 한국의 대표적 유학자_1주차_1차시 Y2L03W01V01_진.mp4 Y2L03W01V01_진_KR.
    강좌제목한국유교철학자들 | 강의자최영진 외 9인

기타자료(550)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3413 남한 경성 선린상업학교 1-31 靑坡제12호 1933―01 177면 1. 1933년도 B조 졸업생(39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선린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3605 남한 경성 선린상업학교 1-31 靑坡13호 1934―01 177면 1. 1933년도 B조 졸업생(39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선린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34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성;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37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훈;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609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3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순;順 전북 군산;경성 혜화동 15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51)

  • / [종교·철학/유학]

    1316년(충숙왕 3)∼1388년(우왕 14). 고려 후기의 명장. 최유청의 5세손, 아버지는 최원직이다. 육도도순찰사, 판삼사사, 철원부원군, 문하시중, 판문하부사, 팔도도통사 등을 역임하였다.

  • 걸 / [역사/근대사]

    미상-1921. 독립운동가. 함경남도 온성 출신. 3·1운동이 일어나자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에 가입, 활동하였다. 1920년 9월 노령(露領)으로 옮겨 그곳 시지미에 있는 강용궁(姜龍宮)의 집에서 김학섭(金學燮)·강병관(姜秉官)·최시능(崔時能)·문창학

  • 년 / [문학/한문학]

    일제강점기 국민신보 사장, 조선문의 주필 등을 역임한 언론인.친일반민족행위자. 신소설 『추월색(秋月色)』의 작가인 최찬식(崔瓚植)이 아들이다. 1897년 고향인 경기도 광주에 사립 시흥학교(時興學校)를 설립해서 신교육보급에 앞장섰다. 1904년 일진회(一進會)에 가입하

  • 록 / 祿 [종교·철학/유학]

    1793년(정조 17)∼1871년(고종 8). 조선 후기 성리학자. 최흥효의 후손, 고조는 최징조, 증조는 최기중, 조부는 최지해이다. 부친 최성한과 모친 손회경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홍여하의 현손녀이다. 자기 수양과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이황과 정구의

  • 의 /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국제가라테연맹총재를 역임한 체육인. 전라북도 김제 출생. 아버지는 최승현(崔承泫)이며 4남으로 태어났다. 그가 창설한 극진가라데(極眞空手)는 일본에서 시작되었지만 지금은 세계 각지로 발전하여 세계 130개국, 1200만 명의 회원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에만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