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시형” 에 대한 검색결과 1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4)

사전(9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海月神師의 生涯와 思想(金用天 編, 天道敎中央總部, 1969) 東學의 思想과 運動(崔東熙, 成均館大學校 出版部, 1980) (1827-1898) 1827(순조 27)∼1898. 동학의 제2대 교...
    이칭별칭 경오(敬悟)| 해월(海月)
  • 용시용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때를 살려서 쓸 것을 강조한 동학의 2대교주 ()의 가르침. [내용] 『최선생문집도원기서(崔先生文集道源記書)』에 따르면 1875년(고종 12)에 자기 이름과 두 제자의 이름을 ‘때 시(時)’자를 넣어 고쳤으며 자(字)도 ‘살릴...
  • 이필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 정만식이 추천한 장경로(張景老)와 함께 농민을 규합하여 진주군기고(晉州軍器庫)의 군기를 빼앗아 금병도(錦屛島)로 가서 중국으로 들어갈 계획을 세웠으나 밀고로 실패하였다. 진주작변이 실패한 뒤 경상북도 영해로 피신, 잠복하여 동학의 제2대교주 ()을...
    이칭별칭주성칠(朱成七)
  • 이종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8(철종 9)∼1931. 독립운동가. [내용] 호는 정암(正菴). 경기도 광주 출신. 25세 때 동학에 입교하여 1894년(고종 31) 동학혁명에 참여하였다. 1898년 6월 천도교 2대 교조 ()이 서울 감옥에서 교수형...
    이칭별칭 정암(正菴)
  • 김방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그 뒤 금구의 접주로 활약하였는데 전라도의 북접(北接)이라고 불리었다. 1894년 동학운동 때도 전봉준(全琫準)과 함께 기포하지 않고 있다가, 교주 ()의 명령에 따라 9월말 함열에서 오지영(吳知泳)과 함께 기병하였다. 남북접이 서로...

단행본(1)

  • 해월 평전 [고종시대 인물연구 | 청암대학교]
    저자 : 성주현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211120
    동학의 2세 교조로 1863년 8월 14일 동학의 최고책임자가 되어 36년간 도바리 생활을 해월 최시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흥미로운 일화들이 많다. 그 중의 하나가 ‘최보따리’이다. 최시형은 성리학 이데올로기의 조선에서 이단으로 지목을 받아 끝없이 잠행하면서 보따리를...

고서·고문서(10)

  • 1925년 송무안(宋務安) 교첩(敎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25년에 시천교의 대교주가 송무안을 봉신사(奉信史)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임명장이다.시천교는 동학계통의 신흥종교의 하나로 이 처형된후 손병희와 의견을 달리하는 의 수제자 김연국과 이용구가 세운것이다.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732년 증인 유학(幼學) 최시항(崔是恒) 등 초사(招辭)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32년(영조 8) 5월, 증인 유학 최시항과 필집 유학 이 관아에 나와 진술한 내용을 정리하여 관에서 작성한 초사이다. 이 초사는 노비를 매입한 이이신이 입안을 발급받는 과정에서 작성된 문서이다.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초사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935년 김재성(金在性) 상제교(上帝敎) 회원증(會員證)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35년3월에 상제교에서 전남 무안군 압해면 가룡리에 살고 있는 김재성에게 교부한 회원증 161호이다. 상제교는 의 수제자였던 김연국이 시천교에서 갈라져나와 1924년에 창교한 신흥종교로 교리는 동학의 일반적교리인 인내천(人乃天)과 시천주(侍天主)사상을 기본으...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증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상제교(上帝敎) 영부(靈符)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모년에 상제교에서 작성한 영부(靈符)이다. 뒷면에 대종사의 인장이 찍혀 있는 것으로 보아 상제교에서 발급한 것으로 추정된다.상제교는 동학계통의 신흥종교로 의 수제자인 김연국이 시천교에서 이탈하여 새로 창시한 것이다. 교리는 동학의 일반적 교리인 인내천(人乃天)과...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험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27년 김재수(金載洙) 상제교(上帝敎) 신도증(信徒證)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27년4월 8일에 상제교 구암대법사(龜菴大法師)가 김재수에게 발급한 신도증 6612호이다. 김재수는 1921년생으로 당시 7살이었으며, 전남 무안군 압해면 고이리에 살고 있었다.구암대법사는 동학교주 의 수제자인 김연국으로 그는 시천교에서 이탈하여 1924년에...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증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신문·잡지(8)

  • 젼 현감 황긔연씨가 작일 하오 여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 현감 황긔연씨가 작일 하오 여셧시에 쟝일 증역 삼년에 쳐 엿는 그 실인즉 동학 괴슈 이 갓첫슬에 황씨가 샹소 기를 졍부에 이 당이 만타고 긔 벼이 현감 인 군슈로 샹소에 잘못 쓴 이라는 집도업고 팔십 노인의 졍경이 칙은더라
    게재일1898년 8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一願一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갑년에 동학괴슈로쥭은 최졔우씨와 무슐년에쥭은 씨를 일톄히 탕텩야 달나고 시텬교 교쟝판 박형씨 법부대신의게 쳥원셔를 들이고 일진회쟝 리용구씨 법부대신의게 공함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7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비도쳐교션고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피고 셔졍옥은 무년부터 동학을 슝상더니 갑오년에 인민을션동야 그 형세가 젼봉쥰 김남 과 막상막하 엿고 피고 손문은 계미년 부터 동학야 갑오년에 쳥쥬북면에 셜졉야 응죵  쟈 슈만명이더니 구월에 젼봉쥰과 합세고로 다 쳐교엿더라
    게재일1900년 9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일젼 쥬본에 련쳔군슈 송경인씨 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젼 쥬본에 련쳔군슈 송경인씨 동학거괴 을 잡어온 사인 그후에 심상훈씨 부셔리로 잇슬에 송씨가 심대신을 보고 비괴 잡은 공로를 포장야 달나고 말 심대신이 그리 마 더니 급기원 쥬본 졍만 쓰고 송씨 아니 식혓다고 심대신이 졍만 알고
    게재일1899년 2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출판경찰월보 024호 신인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24호 신인간 신인간(新人間) 미기재 이돈화(李敦化) 경성(京城) 조선_1930년 8월 3일 삭제 치안 한국어 천도교, 최제우, , 손병희 1. 희생과 투쟁 ...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24호 신인간 | 출판물명신인간(新人間)

멀티미디어(60)

  •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_6주차_1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
    제우와 동학의 종교성 6주차.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 7주차.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 8주차. 천도교의 개벽운동과 오늘날의 실천 9주차. 여신을 통해 본 한국의 종교 경관 40주차. 천신과 여신을 향한 여정
    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_6주차_2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
    제우와 동학의 종교성 6주차.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 7주차.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 8주차. 천도교의 개벽운동과 오늘날의 실천 9주차. 여신을 통해 본 한국의 종교 경관 41주차. 천신과 여신을 향한 여정
    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_6주차_3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
    제우와 동학의 종교성 6주차.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 7주차.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 8주차. 천도교의 개벽운동과 오늘날의 실천 9주차. 여신을 통해 본 한국의 종교 경관 42주차. 천신과 여신을 향한 여정
    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_6주차_4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
    제우와 동학의 종교성 6주차.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 7주차.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 8주차. 천도교의 개벽운동과 오늘날의 실천 9주차. 여신을 통해 본 한국의 종교 경관 43주차. 천신과 여신을 향한 여정
    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_6주차_5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
    제우와 동학의 종교성 6주차.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 7주차.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 8주차. 천도교의 개벽운동과 오늘날의 실천 9주차. 여신을 통해 본 한국의 종교 경관 44주차. 천신과 여신을 향한 여정
    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

    조선 후기의 동학인·교주(1827∼1898). 1861년(철종 12)에 동학에 입문하여 1863년 동학 2대 교주가 되었다. 1892년부터 합법적으로 교조의 신원 운동을 전개하다 1894년 전봉준을 주축으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호응하여 무력투쟁을 전개하였다. 18

  • 사인여천 / 事人如天 [종교·철학]

    동학의 2대교주 이 제시한 동학의 교리. 사람을 하늘처럼 섬기라는 가르침이다. 은 '도인의 집에 사람이 오거든 사람이 왔다고 하지 말고 하느님이 강림하였다고 말하라'라고 하였고, "아이를 때리는 것은 곧 하늘을 때리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의 사인여

  • 천어 / 天語 [종교·철학/천도교]

    동학의 2대교주 ()이 사용한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뜻의 용어. 은 사람의 말(人語)이 곧 하느님의 말씀(天語)이라고 하면서, 새소리나 베 짜는 소리도 시천주(侍天主)의 소리라고 하였다. 이런 주장에는 온갖 사물 속에 하느님의 자취를 체득하려는 종교적인

  • 손천민 / 孫天民 [종교·철학/신종교]

    미상∼1900년. 동학의 지도자. 충청도 청주 출신. 1883년(고종 20) 손병희 등과 을 찾은 뒤 과 같이 수도와 문답을 하며 동학을 포교하였다. 1896년 은 손병희·김연국과 그에게 도호를 내려 세 사람이 합심하여 교를 이끌어가도록 하였다.

  • 이천식천 / 以天食天 [종교·철학]

    동학의 2대 교주 이 제시한 종교사상. 은 1881년에 7년 전부터 금지해 오던 어육과 술, 담배에 대한 금지를 해제하였다. 그리고 1885년 설교중에 '천지만물이 모두 한울을 모시고 있다. 이천식천은 우주의 상리이다'라고 말하였다. 나중에 천도교에서는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