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석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8)
사전(49)
- 최석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朝鮮名臣錄)』 『상신록(相臣錄)』 최석항(1654-1724) 1654(효종 5)∼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명가필보≫ 중 최석항의 글씨.이칭별칭 여구(汝久)| 손와(損窩)| 충간(忠簡)
- 전장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제도와 법령. 且聞 寒岡書齋 有鄭三峯集 雙梅堂集及政經等冊云 此是士夫家希有之冊 而國家典章 多有可考之蹟 幸須開諭院儒 從速搜出借惠如何如何, 최석항(崔錫恒), 21(禮)-26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행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여하(如何)’와 함께 쓰여 ‘~하기 바랍니다’라고 쓰임. 且聞 寒岡書齋 有鄭三峯集 雙梅堂集 及政經等冊云 此是士夫家希有之冊 而國家典章 多有可考之蹟 幸須開諭院儒 從速搜出借惠 如何如何, 최석항(崔錫恒), 21(禮)-268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개유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타일러 설득함. 且聞 寒岡書齋 有鄭三峯集 雙梅堂集及政經等冊云 此是士夫家希有之冊 而國家典章 多有可考之蹟 幸須開諭院儒 從速搜出借惠如何如何, 최석항(崔錫恒), 21(禮)-268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전인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ㆍ김운택(金雲澤) 등의 노론과 이를 반대하던 최석항(崔錫恒)ㆍ이광좌(李光佐)ㆍ유봉휘(柳鳳輝) 등의 소론간에 발생한 신임사화에 연루된 이수민(李壽民)의 군관으로, 1721년(경종 1) 12월 양사의 탄핵을 받고 이듬해 2월 이산부(理山府)로 유배되었다. 같은 해...
고서·고문서(69)
- 明禮宮(1842)_황해도 재령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37643 18270_0288 奎18270 明禮宮(1842) 황해도 재령군 餘勿坪 황해도 재령군 餘勿坪 36 36결 최석항(崔石恒) 최석항(崔石恒)자료번호18270_0288 [奎1827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874년 김태순(金泰淳)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74년(고종11)12월 28일에 유학(幼學) 최석행(崔石行)이 시장(柴場)과 밭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거래문서이다. 거래가격은 10냥이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광주 광산구 김해김씨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075 B016075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3年 10月 24日_010 ○又以兵曹言達曰, 新除授判書臣崔錫恒, 時在江華府任所, 斯速乘馹上來事, 下諭, 何如? 令曰, 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885 B015885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3年 10月 24日_010 ○又以兵曹言達曰, 新除授判書臣崔錫恒, 時在江華府任所, 斯速乘馹上來事, 下諭, 何如? 令曰, 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2945 B07294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7年 3月 12日_022 ○又以備邊司言啓曰, 曾以東萊任譯所捉囚營獄嚴査啓聞之意, 定奪, 分付矣。 今觀慶尙監司崔錫恒査覈啓本, 則許多推問辭緣, 雖不敢一一擧論, 而似當有王獄罪人等處, 更推歸一之端, 原啓本, 移送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최석항 / 崔錫恒 [종교·철학/유학]
1654(효종 5)∼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최기남 증손, 할아버지는 최명길, 아버지는 최후량, 어머니는 안헌징의 딸이다. 최후원에게 입양되었다. 최석정의 아우이다. 16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경상도관찰사, 이조판서, 좌의정을 역임
-
김상석 / 金相奭 [종교·철학/유학]
탄핵하는 데 앞장섰고, 남구만·최석항·윤지완 등의 종묘배향을 반대하였다.
-
조영순 / 趙榮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5∼1775). 희석 증손, 할아버지는 태채, 아버지는 겸빈, 어머니는 민계수의 딸이다. 대사성·이조참판·병초참판·호조참판 등을 지냈다. 부수찬 때 왕세자에게 영의정 이천보를 매도하는 글을 올렸다가 유배, 사직 때 소론의 영수 최석항의 신원을
-
호은집 / 壺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화가 홍수주의 시문집. 6권 2책. 목판본. 아들 우철이 편집, 종질 우부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1721년(경종 1)에 쓴 최석항의 서문, 권말에 1722년에 쓴 우부의 발문이 있다. 권1∼3은 시 294수, 권4는 소 8편, 불윤비답 4편, 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