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산두” 에 대한 검색결과 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

사전(4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己卯錄補遺)』 『해동잡록(海東雜錄)』 (1483-1536) 1483(성종 14)∼1536(중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명가필보≫ 중 의 글...
    이칭별칭 경앙(景仰)| 신재(新齋), 농중자(籠中子)|나복산인(蘿?山人)
  • TD_L14_D_2436 인물 登第, 文名, 舍人, 謫居, 豪邁, 動盪 癸酉, 己卯 光陽, 同福 景仰, 新齋, 我中廟, 蘿葍山人 綱目賦 D_12_04_56 대동운부군옥 12권 4장 5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4장 5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유성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사간 이빈(李蘋) 등의 합계(合啓)에 의해서 좌상 안당(安塘), 좌찬성 최숙생(崔淑生) 등과 함께 파직되었다. 그 뒤 윤구(尹衢)ㆍ() 등과 시주로 교우하였으며 호남의 삼걸이라 불렸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아깝게 죽었다.
    이칭별칭 천장(天章)| 나옹(懶翁), 성은(城隱)
  • 훼설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비방하는 말. 淳昌守罷事 毁舌盈車 還可恨也, (), 9-82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요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분명함. .甚 相思之苦 雖不承曉 各自了了 不須多辭, (), 9-11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

  • 판결문(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CJA-0001151-0036 국가기록원 대구지방재판소 判決文 판결문 판결문 국한문 1908년 9월 30일 대구지방재판소 재판장 판사 나카무라(中村敬直) 살인 강도 경상북도 흥해군 서면 학림동 4 한국근대사 폭도수괴 최성집의 아들 가 각
    제목최산두 판결문(崔山斗 判決文) | 사건유형살인 강도 | 소장처국가기록원
  • 68609 B068609 동래 東萊 정치행정 中宗實錄 十三年(1518) 八月 중종실록_11308005_002 ○御夕講。 曰: “東萊居李春茂, 以隱匿公賤之罪, 將全家徙邊, 而其妻宋氏, 乃孝女也。 女必從夫, 雖孝女不得不隨歸, 則以孝女而入居爲未安。 原從功臣子女, 猶得...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聞推鞫。”】○憲府啓曰: “經筵官甚重, 而副應敎不備三望, 只以二人擬之。 尹溪又於修撰擬之前日司中, 以尹溪、、朴佺、金璇、曹漢弼, 不合弘文錄, 而請削之, 今擬修撰之望, 至爲非矣。 刑曹正郞李昌彦, 不合刑官。 南海縣令李海, 前日熊川倭變時, 先自開門以出, 城中搖動, 以致陷城。...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7) 鳳陽祠의 事蹟碑이다. 湖南의 光陽에는 서원이 없었는데 知縣 鄭淑男이 사당을 세워 鄕賢인 (1483∼1536)와 朴世煦(1493∼1550)를 제사지내기 시작했다는 것 등 봉양사의 내력을 기록하고 있다. 月塘崔公遺墟碑 (8) 崔霮의 遺墟에 세운 遺墟碑이...
    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11)

  • 탄생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의 이야기는 계속 이어졌다. 제보자는 이 지역에서 공직생활을 하였고, 평소 풍수나 지형에 관심이 많았기에 이에 관한 많은 이 야기를 들려주었다. 앞서 도선의 탄생담에 이어 최산두에 관한 이야기를 묻자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 이야기가 아주 간결했다.
    조사일시2010.02.26 | 조사장소전남 광양시 봉강면 부저리 저곡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박채규
  • 와 초동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의 최산두 이야기는 계속 이어졌다. 제보자는 이 지역에서 공직생활을 하였고, 평소 풍수나 지형 그리고 인물에 관심이 많았기 에 이에 관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조사자가 제보자와 사전에 연락을 취하면서 조사 취지를 설명 드렸더니 미리 자료를 준비하 여 이...
    조사일시2010.02.26 | 조사장소전남 광양시 봉강면 부저리 저곡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박채규
  • 를 알아본 귀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의 이야기는 계속 이어졌다. 제보자는 이 지역에서 공직생활을 하였고, 평소 풍수나 지형에 관심이 많았기에 이에 관한 많은 이 야기를 들려주었다. 조사자가 제보자와 사전에 연락을 취하면서 조사 취지를 설명 드렸더니 미리 자료를 준비하여 이야기를 적극적으 로 구...
    조사일시2010.02.26 | 조사장소전남 광양시 봉강면 부저리 저곡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박채규
  • 후손이 없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잠시 쉬었다가 최산두에 관한 이야기를 다시 구연했다. 제보자는 남의 집안 이야기라면서 조심스럽게 이야기를 진행했다.
    조사일시2010.02.26 | 조사장소전남 광양시 봉강면 부저리 저곡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채정규
  • 의 성장과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어릴 적부터 마을 어른들에게 최산두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자랐다고 한다. 그래선지 최산두에 관한 이야기가 계속 이 어졌다. 이야기는 어릴 적에 들은 기억과 생활 속에서 터득한 자신의 생각이 두루 겹쳐 있었으나 제보자 특유의 입담으로 흥미롭게 이 야기...
    조사일시2010.02.26 | 조사장소전남 광양시 봉강면 부저리 저곡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채정규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483(성종 14)∼1536(중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한영, 어머니는 한경회의 딸이다. 김종직·김굉필을 사숙하였다. 18세에 상경하여 조광조·김정·김안국 등과 교유하니 당시 사람들이 ‘낙중군자’라 하였다. 1513년(중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 도원서원 / 道源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에 있는 서원. 1670년(현종 11)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구(鄭逑)·안방준(安邦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1676년(현종 5)에 임억령(林億齡)을 추가배양하였으며, 1687년(숙종

  • 기묘제현수첩 / 己昴諸賢手帖 [예술·체육/서예]

    ), 성수완(成守琓), 남주(南趎)는 1통씩, 정응(鄭譍), 한충(韓忠), 유용근(柳庸謹)은 2통씩, 이정경(李廷慶)은 3통, 박상(朴祥), 김구(金絿)는 4통씩, 김정(金淨)은 5통, ()는 11통이다. 이들 서간은 1517년부터 1531년 사이에 작성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