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면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5)
- 최면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1(고종 28)∼1941. 독립운동가. [내용] 경기도 포천출신.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단체인 대한광복회에 가입하여 활약한 애국지사이다. 1914년 제1차세계대전 발발로 정국이 어수선할 때 만주로 망명할 것을 ...
- 재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승우(崔昇羽)의 시문집. [내용] 5권 3책. 목판본. 권두에 이휘재(李彙載)의 서문이, 권말에 최면식(崔冕植)‧이휘보(李彙溥)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는 시,...
- 채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최면식(崔勉植)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경기문화재대관(京畿文化財大觀)』(경기도, 1990) 『포천군지(抱川郡誌)』(포천군, 1984) 채산사 경...연계항목채산사(채山祠)
- 계원필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금 전하지는 않지만 후세 정치가들의 상소문의 모범이 되었다. ≪고운선생문집 孤雲先生文集≫은 후대에 와서 여러 책들에 실린 최치원의 글들과 금석문에서 나온 것들을 모아 으로 후손 최국술(崔國述)이 1926년에 편찬하였다. 같은 해에 최면식(崔勉植)‧최영하(崔榮夏...
- 포천시(경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이 독립유공자로 포상되었다. 또한, 근대의 인물로 한말 위정척사론(衛正斥邪論)의 거두이며 의병장인 최익현(崔益鉉), 광복단원으로 활약한 최면식(崔勉植),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한 이규채(李圭彩), 의열단원으로서 만주에 해림신창학교(海林新彰學校)를...
고서·고문서(1)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888 B06988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哲宗 2年 閏8月 25日_012 ○備邊司啓曰, 卽見東萊府使李彙寧狀啓, 則倭西館中大廳西行廊改建, 今已畢役, 而監董役官玄學魯·崔勉植, 訓導朴晉榮, 府校崔周翰·文進烈·鄭錫憲等, 旣多效勞, 合有酬賞, 請令廟堂稟處, 元劃...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축지법을 쓴 염재 최면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채리 입구에는 포천시 향토유적 중 하나이기도 한, 최면식[[崔勉植]]선생 공적비가 놓여있다. 제보자는 오늘 길에 그 비석을 보았 는지 묻고는 최면식이 비범한 사람이었다며, 관련된 이야기를 제보하였다.조사일시2010. 1. 22 | 조사장소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1리 831-1번지(제보자의 자택) | 제보자최영상
신문·잡지(2)
- 군슈 최윤뎡崔允鼎 륙품 남기원南耆元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에 최태식崔泰植으로 임고 상공학교교관 리쳘령 유병죠 한긔응 한광렬 리회슈 리은우갈닌에 죠윤규趙允奎 강태긔姜泰驥 리상직李常稙 최면식崔免植 젼학슌田鶴淳 민쥰호閔쥰鎬로임다以上二月三日 부쥬 리상보 박뎡구갈닌에 졍 슌鄭洵 심형沈馨澤으로 임다以上二月四日 친위뎨 일...게재일1902년 2월 13일 | 기사분류관보
- 죠경묘참봉 류관현갈닌에 김홍진金泓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관찰부쥬 조홍승 김용셕 김병호갈닌에 숑호宋在鎬 박쥰규朴準圭 박인혁朴寅赫으로 임고 졔쥬목쥬 박졔명갈닌에 숑긔셩宋基成으로 임고 법부쥬 류인상갈닌에 숑회근宋晦根으로임고 평리원쥬 최태식갈닌에 졍복긔鄭宓基로임고 상공학교교관 죠윤규 강태긔 리상직 최면식 젼...게재일1902년 2월 14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2)
-
최면식 / 崔勉植 [역사/근대사]
1891-1941. 독립운동가. 경기도 포천 출신.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단체인 대한광복회에 가입하여 활약한 애국지사이다. 1914년 제1차세계대전 발발로 정국이 어수선할 때 만주로 망명할 것을 계획하여 황해도 해주 오찬근(吳讚根)의 집에서 자금을 모으다가 일본경찰
-
최병인 / 崔炳寅 [종교·철학/유학]
1869년(고종 6)∼1917년. 조선 말기 유학자. 증조부는 최승우, 조부는 최운황, 아버지 최면식과 어머니 진성이씨 사이에서 네 명의 형제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불행히도 어려서부터 병약해서 벼슬을 하지는 못하였으나, 고향에서 학문에 열중하였다. 효행이 뛰어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