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6)
사전(79)
- 김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옹진군수로 나갔으나 고관의 비위에 거슬려 파직당하였다. 그는 명문장가라는 격찬을 받은 최립(崔岦)의 문인으로서 송도인(松都人)의 문사가 되었다.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이칭별칭 사외(士畏)| 동리산인(東籬散人), 파옥진인(破屋陳人)
- 최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라에 다녀왔다. 1581년(선조 14)재령군수로 굶주린 백성들을 구제하는 것에 힘써 임금으로 부터 옷감을 받았다. 그 해에 다시 주청사의 질정관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최립은 1584년(선조 17)에 호군(護軍)으로 이문정시(吏文庭試)에 장원을...이칭별칭 입지(立之)| 간이(簡易), 동고(東皐)
- 최립(崔岦)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최립 최립 崔岦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학자/문학가 인물 한국 조선 명종~선조 김구진 이범직 2010 입지(立之) 간이(簡易), 동고(東皐), 간이당(簡易堂) ...
- 유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思溫)의 딸이다. 최립(崔岦))과 이달(李達)에게 시문(詩文)을 배워 당시 문장으로 명성을 떨쳤다. 1604년(선조 37)에 성균시(成均試), 1610년(광해군 2)에 사마시(司馬試)에 각각 합격하고, 영동(永同)ㆍ화순(和順)의 현감(縣監), 종부시주부(宗簿寺主...이칭별칭 절초당(節初堂)
- 삼월삼일등망경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에 최립(崔岦)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율시로 그의 『간이집(簡易集)』 권6 정축행록(丁丑行錄)에 실려 있다. [내용] 이 시는 작자가 요양성(遼陽省)에서 삼월 삼짇날 망경루에 올라 주변의 뛰어난 경치...
고서·고문서(74)
- 與(崔立之)【甲寅】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三 【拾遺】書 下 80 與(崔立之)【甲寅】 41_112_031.jpg 與(崔立之)【甲寅】 天下之士, 有才、有不才而文以之盛、衰焉; 天下之人, 有賢、有不賢而道以之通、塞焉; 天下之賢才, 有遇、有不遇而時以之否泰焉。 才與不才、賢與不賢, 在人; 遇與不遇,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606년 최립(崔岦)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贈(崔立之)序【甲寅】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三 【拾遺】序 80 贈(崔立之)序【甲寅】 41_112_069.jpg 贈(崔立之)序【甲寅】 天地之閒, 萬類之有聲者, 孰使之然乎? 草木之叢林也不動, 則其體無聲者也, 有風動之則有聲, 然則聲於草木者, 風也; 金石之堅頑也不擊, 則其體亦無聲者也, 有物擊之則...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送(崔立之)以質正官, 隨(重晦)之行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送(崔立之)以質正官, 隨(重晦)之行 02_085_054.jpg 送(崔立之)以質正官, 隨(重晦)之行 幽意忽惆悵, 秋風生遠林。 那堪抱歸興, 更値別知音。 路敻川原闊, 天高雨露深。 回程報殊渥, 邦慶動宸心。 送崔立之以質正官, 隨重晦之...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李伯生)【(純仁)】、(趙公保)、(尹仲說)【(箕)】、(崔立之)【(岦)】、(崔嘉運)【(慶昌)】及(趙兄)【(大男)】、(季獻), 與余共泛舟(于楊花)渡傍(仙遊島)。余將有西行, 故諸君出餞也。 (嘉運)出城時有詩, 因次韻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一 詩 上 120 (李伯生)【(純仁)】、(趙公保)、(尹仲說)【(箕)】、(崔立之)【(岦)】、(崔嘉運)【(慶昌)】及(趙兄)【(大男)】、(季獻), 與余共泛舟(于楊花)渡傍(仙遊島)。余將有西行, 故諸君出餞也。 (嘉運)出城時有詩, 因次韻 01_090_064.j...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기초학문(2)
- [학위논문] 簡易 崔岦 散文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우정, 게재일 : 200407380 김우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학위논문] 簡易 崔岦 散文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4
- 簡易 崔岦 散文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0002899&local_id=10005566 간이(簡易) 최립(崔립) 산문(散文) 연구(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bGubun=SD&m201_id=10002899유형논문
기타자료(1)
- 최입기;崔立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055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62면 최입기;崔立淇 제16회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1)
-
최립 / 崔岦 [종교·철학/유학]
1539년(중종 34)∼1612년(광해군 4).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자양이다. 1559년(명종 14)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했다. 주청사, 재령군수, 판결사, 강릉부사, 형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문집으로는 『간이집』이 있다. 시학서로는『십가근체시』와『한
-
의고문 / 擬古文 [문학/한문학]
한문 문체의 하나. 당송고문에 반대하여 진한(秦漢) 이전의 문체로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에 의하여 지어진 글의 종류이다. 우리 나라에서 의고문이 성행한 시기는 조선시대 선조 때부터 영·정조까지 약 200년 안팎의 세월이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는 최립(崔笠)과 신유한(申
-
삼월삼일등망경루 / 三月三日登望京樓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최립(崔岦)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로 그의 『간이집(簡易集)』 권6 정축행록(丁丑行錄)에 실려 있다. 이 시에서 저자는 먼저 만경루의 아름다운 경치를 말하고, 이어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함께 그 시름을 잊기 위해서 석양에 술을 든다고 읊었는데, 일찍이
-
송갑조 / 宋甲祚 [역사/조선시대사]
1574년(선조 7)∼1628년(인조 6).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원유(元裕), 호는 수옹(睡翁), 본관은 은진(恩津), 시호는 경헌(景獻)이다. 최립(崔岦)의 문인으로 1617년(광해군 9)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였으나 서궁(西宮)에 유폐되어 있는 인목대
-
주역본의구결부설 / 周易本義口訣附說 [언어/언어/문자]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최립(崔岦)이 『주역』에 한글로 구결을 단 책. 책머리에 범례와 소가 있어서 편찬의도를 알 수 있다. 저자가 사신으로 명나라에 가서 『주역』 1부를 사가지고 와서 탐독하였는데 의문이 생기면 스스로 설명을 덧붙였다고 한다. 한편, 우리나라에 행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