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두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
신문·잡지(1)
- 농민신문_1947_0720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이다. 성명 년령 성분 김을용 34 반농 이원호 34 〃 □병성 41 〃 강종현 25 〃 최두필 45 〃 김득수 25 〃 안길현 30 〃 최종흡 52 〃 김인종 44 중농 김창인 31 반 안경용 34 중 이선□ 34 중 안병환 34 〃 유경을 27 〃 김정용 21...대표표제어농민신문_1947_0720_01 | 날짜1947년 7월 20일 | 책임주필최영래
주제어사전(4)
-
최두필 / 崔斗弼 [역사/근대사]
1891-1930.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거주지는 함경남도 단천군(端川郡) 하다면(何多面)이다. 함경남도 단천군 하다면·복귀면·수하면·이중면 지역 주민들은 평소 땔나무를 팔고 숯을 만들어 팔아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일본 치하의 정부에서 산림보호를 명목으
-
이원호 / 李元鎬 [종교·철학/유학]
1897년(광무 1)∼1930년 7월 21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단천군수와 면담하면서 구속자 석방을 요구하였으나 일본 경찰에 의해 쫓겨나고 말았다. 이 일로 김계환·김득수·김을룡·김응철·김창언·심정붕·안경룡·안길현·안병환·유경을·이선식·장종형·최두필·최종협
-
최종협 / 崔宗協 [역사/근대사]
張宗亨)·최두필(崔斗弼)·허병률(許丙律) 등과 함께 순국하였다. 당시에 중상자도 20여 명 발생하였다. 2002년 정부로부터 공훈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
허병률 / 許丙律 [역사/근대사]
이 군중을 향해 쏜 총에 맞아서 김계환(金啓煥)·김득수(金得洙)·김을룡(金乙龍)·김응철(金應喆)·김창언(金昌彦)·심정붕(沈正鵬)·안경룡(安京龍)·안길현(安吉炫)·안병환(安丙煥)·유경을(劉京乙)·이선식(李善植)·이원호(李元鎬)·장종형(張宗亨)·최두필(崔斗弼)·최종협(崔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