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동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1)
- 누선(樓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정조실록』 15년 신해(1791, 건륭 56) 11월 21일 기사에 의하면, 경상좌도 수군절도사 최동악(崔東岳)은, 누선은 거북선처럼 민첩하지 못한데 본영에는 누선만 많고 거북선은 적다고 하면서 누선 6척을 거북선으로 고칠 것을 치계(馳啓)하였고, 이에 비변사는 누선...유형분류제도
고서·고문서(36)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475 B038475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15年 10月 8日_022 ○以慶尙左水使崔東岳狀啓, 多大浦戰船燒燼, 不能檢飭, 惶恐待罪事。 傳曰, 勿待罪事, 回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482 B038482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15年 10月 8日_022 ○以慶尙左水使崔東岳狀啓, 多大浦戰船燒燼, 不能檢飭, 惶恐待罪事。 傳曰, 勿待罪事, 回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구선(龜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9822 B029822 구선 龜船 군사교통 正祖實錄 十五年(1791) 十一月 정조실록_11511021_002 ○慶尙左道水軍節度使崔東岳馳啓, 以樓船不如龜船之捷疾, 而本營樓船多而龜船少, 請以樓船六隻改作龜船。 備邊司啓言: “ 樓船十隻內, 三隻改作龜船, 則似適中。” 從之...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구선(龜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9823 B029823 구선 龜船 군사교통 正祖實錄 十五年(1791) 十一月 정조실록_11511021_002 ○慶尙左道水軍節度使崔東岳馳啓, 以樓船不如龜船之捷疾, 而本營樓船多而龜船少, 請以樓船六隻改作龜船。 備邊司啓言: “ 樓船十隻內, 三隻改作龜船, 則似適中。” 從之。...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구선(龜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9824 B029824 구선 龜船 군사교통 正祖實錄 十五年(1791) 十一月 정조실록_11511021_002 ○慶尙左道水軍節度使崔東岳馳啓, 以樓船不如龜船之捷疾, 而本營樓船多而龜船少, 請以樓船六隻改作龜船。 備邊司啓言: “ 樓船十隻內, 三隻改作龜船, 則似適中。” 從之。...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최동악 / 崔東岳 [종교·철학/유학]
1745년(영조 21)∼미상. 조선 후기 무신. 부친은 최진해이다. 1771년에 경상 수군절도사, 1774년(영조 50) 등준시에서 병과로 무과 급제하였다. 1776년 평안도 병마절도사로 재직 중에 성격이 난폭하고 민정을 잘 살피지 못했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