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기남” 에 대한 검색결과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

사전(32)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노파의 남편이다. 이름 있는 가문의 집사를 지냈으며, 김유성의 아버지 역시 사또로 있을 때 모셨으나, 나이가 늙어 퇴사하여 나온다. 김유성이 주고간 은자로 능라도에 집을 짓고 물고기를 잡으며 세월을 보낸다. 저녁 무렵 이파와 함께 배를 타고 낚시를 하던 중 뱃머리에 사...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9-1619) 1559(명종 14)∼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문신. ≪명가필보≫ 중 의 글씨.
    이칭별칭 여숙(與叔)| 만곡(晩谷), 만옹(晩翁), 양암(養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86년(선조 19)∼? 조선 중기의 시인. [개설] 본관은 천녕(川寧). 자는 영숙(英叔), 호는 구곡(龜谷)‧묵헌(默軒). 정확한 몰년은 알 수 없다. 의 시 가운데에 1668년(현종 9) 83세에 쓴 시가 있어서 그의 몰년은...
    이칭별칭 영숙(英叔)| 구곡(龜谷), 묵헌(默軒)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선조~광해군 최양규 이범직 2010 흥숙(興叔) 만곡(晩谷), 만옹(晩翁), 양암(養庵) ...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442 인물 () 1586 ? 조선 중기의 무관(武官). 본관은 천녕(川寧). 자는 영숙(英叔), 호는 구곡(龜谷) ‧ 묵헌(默軒). 동양위(東陽尉) 신익성(申翊聖)의 궁노(宮奴)였는데,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20)

  • 刑務所(형무소)서 病死(병사) 間諜(간첩)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刑務所(형무소)서 病死(병사) 間諜(간첩)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대표표제어刑務所(형무소)서 病死(병사) 間諜崔奇男(간첩최기남)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해군, 침투, 괴뢰
  • 傀儡大尉(괴뢰대위) ()에無期(무기)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傀儡大尉(괴뢰대위) ()에無期(무기)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간...
    대표표제어傀儡大尉(괴뢰대위) 崔奇男(최기남)에無期(무기)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해군, 침투, 괴뢰군
  • 9 第九統統首禁衛保{}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7년_청양면(靑良面) 1687년 청양면(靑良面) 기타 9 第九統統首禁衛保{} 統第一戶 府案付禁衛保年---辛丑本------------------義汗外祖正兵朴大信本金海 率母安守代年陸拾肆甲----女分今年---------{戶口准} 第二陞戶...
    연도_면이름1687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기타
  • 死刑言渡(사형언도) 無期求刑(무기구형)받았던 間諜(간첩)『()』에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死刑言渡(사형언도) 無期求刑(무기구형)받았던 間諜(간첩)『()』에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
    대표표제어死刑言渡(사형언도) 無期求刑(무기구형)받았던 間諜(간첩)『崔奇男(최기남)』에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해군, 침투, 괴뢰군
  • 69053 B069053 동래 東萊 정치행정 宣祖實錄 四十年(1607) 六月 선조실록_14006022_003 ○以爲世子侍講院文學, 金聲發爲藝文館檢閱, 李守一爲水原府使, 李景湖爲金海府使, 李信元爲東萊府使, 成以敏爲韓山郡守, 權成己爲沃川郡守。
    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6)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郡守 任蔚珍郡守 六品李△△ 寧邊觀察道警務官李大珪 九品김海龍 前主事 任內部書記官 軍務局砲工兵課員砲兵叅領李圭植 硏成學校附步兵叅領尹泳成 硏成學校附步兵正尉高靑龍憲兵隊區隊長憲兵正尉李完儀 免本職 任步兵叅領 砲兵叅領李圭植 任砲兵叅領 步兵叅領尹泳成 任步兵正尉憲兵正尉李完儀 任憲兵...
    게재일1907년 7월 30일 | 기사분류관보
  • 만송, 전준●, 한준석, 김광연, 오희●, 안용술, 유태선, 최동수, 원대섭, 원영섭, 원준섭, , 최재한 77 토지개량사업실시의성적 총독부토지개량과 8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8
  • 춘월유감, 유곡춘회, 춘월유흥, 화화전청, 모춘즉경, 탄춘몽, 전춘, 신● 김재운, 김식, 최병교, 최재호, 강●선, 김재훈, 권인변, 백면기, 김연석, 채●●, 임달선, 이상태, 성낙현, 한정술, , 문기복, 안만술, 원의섭, 원영섭, 원준●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8
  • 여성, 신춘잡영, 신년서회, 봉영산리총독, 고별제등총독, 세모회인, 매화 김식, 강기선, 김재훈, 채규벽, 이상태, 함낙현, 최익해, 원대섭, 홍국선, 원의섭, 홍택선, 이광훈, 홍순●, 이인영, 주범열, 곽창현, , 한준석, 심택규, 원영섭, 김종혁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8
  • 이성환, 권인채, 김연석, 김식, 백면기, 김재운, 강기선, 채규벽, 임달선, 성낙현, 채규호, 이상태, 최병교, 강완영, 한정술, 변석효, 이진●, 원의섭, , 한봉재, 배상철 48 소비조합운동의근본상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8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보통과를 거쳐 졸업한 자 ; (현주소)경기 龍山普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8109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교우회보 창간호 1927―04―10 131면 ;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문신. 명손 증손, 할아버지는 업, 아버지는 수준, 어머니는 남상질의 딸이다. 성혼의 문인이다. 1602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전적·병조좌랑·예조·병조의 정랑과 세자시강원시강·영흥대도호부사를 역임

  • 해동유주 / 海東遺珠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홍세태가 위항시를 편집하여 1712년에 간행한 시집. 1책(45장). 한구자본(韓構字本). 『해동유주』에는 중종 때의 박계강(朴繼姜)·정치(鄭致)·유희경(劉希慶)·백대붕(白大鵬)·()·임준원(林俊元)·유찬홍(庾纘洪)·윤홍찬(尹弘璨) 등 총 4

  • 무예제보번역속집 / 武藝諸譜飜譯續集 [언어/언어/문자]

    임진왜란 직후 ()이 편찬한 군사 병법서. 보물 제1321호. 임진왜란 직후 조정에서는 군사병법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교(韓嶠)가 선조(宣祖)의 명을 받고 1598년에 『무예제보』를 편찬한 바 있는데, 훈련도감의 도청(都廳)인 이 이 책에서 빠진 것을

  • 육가잡영 / 六家雜詠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위항시인 정남수· 등 6인의 시 210수를 수록하여 1660년에 간행한 시집. 1권 1책. 운각필서체자(芸閣筆書體字). 정남수(鄭柟壽)·()·남응침(南應琛)·정예남(鄭禮男)·김효일(金孝一)·최대립(崔大立) 등 6인의 시를 모은 것으로 절구(絶

  • 최석항 / 崔錫恒 [종교·철학/유학]

    1654(효종 5)∼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증손, 할아버지는 최명길, 아버지는 최후량, 어머니는 안헌징의 딸이다. 최후원에게 입양되었다. 최석정의 아우이다. 16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경상도관찰사, 이조판서, 좌의정을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