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광벽” 에 대한 검색결과 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8(영조 4)∼1791(정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공헌(公獻). 호는 이우정(二友亭). 선산 출신. 체곤(體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두추(斗樞)이고, 아버지는 수인(壽仁)이다. [...
    이칭별칭 공헌(公獻)| 이우정(二友亭)
  • 운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09년 증손 헌식(憲植)‧준식(駿植), 현손 병준(炳俊) 등이 간행하였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226수, 권2에 소(疏) 5편, 사장(辭...
  • 구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12수, 소 2편, 차 1편, 계 8편, 서(書) 5편, 기 1편, 설 1편, 발 2편, 잡저 4편, 논 3편, 책 1편, 묘갈(墓碣) 1편, 행장 1편, 권3‧4는 묘지 5편, 부록으로 묘지...
  • 인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최현(崔晛)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778년(정조 2) 최현의 후손 ()이 15권 8책으로 편집ㆍ간행하였다. 1960년대에 보충하여 중간하였다. 권두에 정범조(丁範祖)ㆍ채제공(蔡濟恭)의 서문이 있고,...

고서·고문서(29)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8∼1791). 세자시강원 설서가 되어 왕세자를 가르쳤다. 나경언이 왕세자의 비행을 상소하여, 영조가 왕세자를 죽게 한 사건이 일어나자 은 관직을 떠나 향리로 돌아갔다. 복직되었다가 이후 향리로 돌아가 후학을 양성했다.

  • 구암집 / 久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김취문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791년(정조 15) 현손 김몽의·김몽화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범조·김종수의 서와 권말에 오재순·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12수, 소 2편, 차 1편, 계 8편, 서 5편

  • 인재집 / 訒齋集 [종교·철학/유학]

    최현의 시문집. 20권 10책. 석인본. 권두에 정범조·채제공 서문, 권말에 권두경과 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280수, 교서 4편, 권2∼5에 소 16편, 차 6편, 계 10편, 장 4편, 권6∼10에 강의 3편, 서 28편, 잡저 18편, 서 4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