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강” 에 대한 검색결과 7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9)

사전(272)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동오왕의 수군 부도독. 수전에 조예가 깊어 배를 지키고 부리는데 빈틈이없다. 주빈을 죽이고 도독이 되려 한다는 모함을 받고 빈에게 맞고 쫓겨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고성에서 진주성을 도우러 들어가 김시민과 함께 성을 지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견(汝堅). 호는 소계(蘇溪). 아버지는 운철(云哲)이다. [내용] 1585년(선조 18) 무과에 급제한 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칭별칭 여견(汝堅)| 소계(蘇溪)| 의숙(義肅)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435 인물 () ? ? 조선 중기의 무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견(汝堅), 호는 소계(蘇溪). 1585년 무과에 급제한 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형 균...
    유형분류인물
  • 홍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기생. [내용] 홍원 출생. 1573년(선조 6) 가을에 당시 삼당시인(三唐詩人) 또는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던 최경창(昌)이 북도평사(北道評事)로 경성에 갔을 때, 그녀도 따라가 그 막중(幕...

고서·고문서(307)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35년_농소면(農所面) 1735년 농소면(農所面) 第二藥水里 1 第一統統首箕 第一戶 幼學箕年陸拾捌戊申本永川父學生周南祖通德郞典涓司直長尙好曾祖奉職郞守軍 資監僉正胤卓外祖學生柳昌辰本瑞山妻全氏年肆拾捌戊辰籍慶州父通德郞武良祖通政大夫 洪敏曾祖老職通政興鷲...
    연도_면이름1735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二藥水里
  • 5 第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35년_농소면(農所面) 1735년 농소면(農所面) 第十六坊泉谷 5 第五統統首興 第一戶 府水軍兵營二道軍官興年肆拾貳甲戌本慶州父業武爾昌祖學生宗汗曾 祖學生善立外祖出身朴廷雲本密陽妻金召史年肆拾肆壬申本金海父業武應俊祖允 弘曾祖混汴外祖朴貴祥本密陽率母朴召史...
    연도_면이름1735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六坊泉谷
  • 9 第九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10년_청양면(靑良面) 1810년 청양면(靑良面) 第二十下倉里 9 第九統統首雲 第一戶 忠義雲年肆拾伍丙戌本慶州父忠義斗海祖忠義永建曾祖忠義貴 善外祖業武金宗太本金海妻朴姓年肆拾參戊子本蔚山父業武瞻魯祖業武楹曾 祖業武天晋外祖業武張翼軫本仁同婢今春年肆拾壹庚...
    연도_면이름181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二十下倉里
  • 8 第八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59년_범서면(凡西面) 1759년 범서면(凡西面) 第八舊營里 8 第八統統首岱 第八統一戶 幼學岱年貳拾玖辛亥本慶州父學生振基祖學生國龍曾祖學生東奭外祖學 生安世卿本忠州妻李氏年貳拾玖辛亥籍鐵城父學生希春祖學生光翼曾祖學生潭外祖學 生金禹重本慶州侍母安氏年陸拾...
    연도_면이름1759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八舊營里
  • 8 第八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범서면(凡西面) 1765년 범서면(凡西面) 第八舊營里 8 第八統統首嶨 第八統一戶 幼學嶨年肆拾陸庚子本慶州父學生錫基祖學生國龍曾祖學生東奭外祖學生李命祉本全義率子 宗立改名宗業年貳拾貳甲子率奴今石年柒拾貳癸酉奴一所生奴江床年貳拾伍辛酉婢戒今二所生婢貴...
    연도_면이름1765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八舊營里

구술자료(2)

  • 최경회(會)공의 철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50뒤에 진양군 명석면 ‘운돌(鳴石)전설’을 이야기하였는데 조사자가 현지에 가서 그 전설은 직접 채록하였으므로 정리하지 아니했다. 그 뒤에 이 전설을 구술했는데, 임란 때에 진주 대첩 삼장사의 한 분인 최경회 공을 칭송하기 위한 전설로 제보자는 전설이면서 사...
    조사일시1980-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 제보자박세제
  • 06_351 경남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함안군_1. 상사 2. 마을길소리 1. 상사 2. 마을길소리 1. 사항사, 디여 2. 쾌기나 칭칭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덕남리 남양 마을 1987.3.19. 素 87-3-19①A 하 등 하(1928년생.남.
    녹음지역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덕남리 남양 마을 | 녹음날짜1987.3.19. | 가창방식1,2. 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9)

  • 전후소설에 나타난 절망과 궁핍의 서울 풍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강민, 게재일 : 2007
    41063 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7 전후소설에 나타난 절망과 궁핍의 서울 풍경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1920∼30년대 재난소설에 나타난 급진적 이데올로기와 트라우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강민, 게재일 : 2013
    53224 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어문학회 2013 1920∼30년대 재난소설에 나타난 급진적 이데올로기와 트라우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한국의 학력간 임금격차 추세 및 요인분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강식, 게재일 : 2003
    30548 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경제학회 2003 한국의 학력간 임금격차 추세 및 요인분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920년대 한일소설에 나타난 조선인의 민족성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강민, 게재일 : 2011
    44807 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1920년대 한일소설에 나타난 조선인의 민족성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1.5世代 韓國系 美國 作家의 小說에 나타난 母國과 美國의 이미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강민, 게재일 : 2007
    11969 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1.5世代 韓國系 美國 作家의 小說에 나타난 母國과 美國의 이미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70)

  • 본샤샤쟝 씨 갈니고 젼의관 리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샤샤쟝 씨 갈니고 젼의관 리죵일李鍾一노 샤쟝을 츄뎡고 젼의흥군슈 김두현金斗鉉으로 춍무를 인뎡얏오니 쳠군 죠량시오 뎨국신문샤 고
    게재일1903년 6월 17일 | 기사분류사고
  • 본샤샤쟝 씨 갈니고 젼의관 리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샤샤쟝 씨 갈니고 젼의관 리죵일李鍾一노 샤쟝을 츄뎡고 젼 의흥군슈 김두현金斗鉉으로 춍무를 인뎡얏오니 쳠군 죠량시오 뎨국신문샤 고
    게재일1903년 6월 18일 | 기사분류사고
  • 崔氏免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군부에셔 쥬본야참셔관 씨가 군함건에 텽문이 괴다야 면본관이 되엿더라
    게재일1903년 6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請而不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군부참셔관 씨가 군함건을 타판다고 그 일인을 오라고 얏다더니 쳥약불문고 오지 안엇다더라
    게재일1903년 5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宋氏再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리원에 슈 씨 건에 야 졍만교씨의 종젹을 안다고 송진옥씨를 경무쳥에 구라얏다가 방송이되얏더니 일젼에송씨를다시 평리원으로 착슈고 최씨와 졍씨가셔로 친다증거를 삼다 송씨 최졍 량씨를다면목부지라다라
    게재일1903년 6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59)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4026 남한 경성 경성실업전수학교 1-10 京實제5호 1934―04 119면 1. 졸업생명부;6) 제6회(순서부동) ; (원적및주소또는근무처)고양군 용강면 아현리 264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실업전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78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2면 순;淳 제10회 1940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516 일본 東京 東洋大學 東洋大學一覽 1925년도 1925―12―25 165면 윤;潤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면 함평리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경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5085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7年 1932―09―25 357면 최경진;進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경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5111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8年 1933―09―30 357면 최경진;進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0)

  • / [종교·철학/유학]

    1559∼1614.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운철이다. 1585년(선조 18) 무과에 급제,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균과 함께 고성에서 의병을 일으켜 김시민과 합세하여 진주성싸움에서 공을 세웠고, 1593년 김해로부터 웅천에 침입하려는 적을 격퇴하였으며

  • 최경창 /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고죽유고』를 저술한 시인. 최충(崔冲)의 18대손이며 최자(崔滋)의 13대손이다. 아버지는 최수인(崔守仁)이다. 박순(朴淳)의 문인이다. 최경창은 백광훈(白光勳)·이후백(李後白)과 함께 양응정(梁應鼎)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1555년(명종 10) 17세 때에

  • 최경회 / [종교·철학/유학]

    1532(중종 27)∼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의병장. 충 후손, 혼 증손, 할아버지는 윤범, 아버지는 천부이다. 경장의 형이다. 양응정·기대승에게 수학하였으며,1567년(선조 즉위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영해군수, 경상우병사 등을 역임하였다. 화

  • 남은 / 南誾 [종교·철학/유학]

    1354(공민왕 3)∼1398(태조 7).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천로, 아버지는 을번, 어머니는 의 딸이다. 형은 영의정 재, 아우는 우상절도사 지. 삼척지군사, 밀직부사, 지문하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심효

  • 남재 / 南在 [종교·철학/유학]

    1351(충정왕 3)∼1419(세종 1).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지영광군사 천로, 아버지는 검교시중 을번, 어머니는 의 딸이다. 아우 은과 함께 이성계의 세력에 가담해 고려 조정의 신진 사류로서 구 세력과 대립했다. 대사헌, 판중추원사, 도병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