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총통위”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면적으로 개주(改鑄)하게 되면서 이를 운용할 화기방사군을 대량 확보하는 데 있었다. 는 설치 초기에는 병조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1451년(문종 1) 5월 문종의 군제개혁안에 의해 5사(司) 25령(領)에 분속되었으며, 1457년(세조 3) 3월에 5사가...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별군(別軍), 총통군(銃筒軍) 정치군사·국방/편제 직역 대한민국 조선전기 조선전기 허태구 1445년(세종 27) 1457년(세조 3) 병조 [정의] 조선초기...
    관련어별군(別軍), 총통군(銃筒軍)
  • 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官)하고서 별군이 된 자는 20∼40세까지 화포를 연습하게 하였으나, 처음부터 별군이었던 자는 비록 60∼70세가 되어도 그대로 머물게 하였다. 1445년(세종 27) 별군을 대신하여 화포를 다루는 ()가 신설됨으로써 별군은 잡역에 동원되...
  • 장용대(壯勇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용대 장용대 壯勇隊 병종(兵種), (), 파적위(破敵衛), 만강대(彎强隊)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노영구 [정의] 조선초기 공사천(公私賤...
    관련어병종(兵種), 총통위(銃筒衛), 파적위(破敵衛), 만강대(彎强隊)
  • 파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해왔던 데서 연유된 것이라 한다. 1471년(성종 2) 화약장의 대우 개선책으로 성립되었으며,종전의 화포군 또는 ()의 후신으로 파악된다. 신분상 천인의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총원은 180인으로 6교대에 의하여 30인씩 복무하였고, 잡직체아직(雜職遞...

고서·고문서(1)

  • 婢十二口以下, 給二人, 所耕十結以下、奴婢十五口以下, 給一人。○一, 曾罷, 許令從自願入仕, 然其中多有閑役者, 請令推刷定役。○一。 慶尙道則軍額本多, 閑役者少, 民力不裕。 加以去乙亥年蔚山鎭柳浦石堡、東萊熊川鎭石堡等諸處, 增置軍人四千三百九十五名, 因此諸邑不得充額, 人吏日守...
    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국방]

    1445년(세종 27) 7월 총통을 방사하는 임무를 목적으로 설치된 특수 병제. 1451년(문종 1) 5월 문종의 군제개혁안에 의해 5사 25령에 분속되었으며, 1457년(세조 3) 3월에 5사가 5위로 개편되면서 충좌위에 속했던 기간 병종이었으나 같은 해 7월,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