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융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1)
사전(192)
- 총융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大典通編 萬機要覽-軍政篇- 大典會通 韓國軍制史-近世朝鮮後期篇-(陸軍本部, 韓國軍事硏究室, 1968) 朝鮮後期中央軍制의 再編(車文燮, 韓國史論 9, 1981) 총융청 내영외영 체제도...이칭별칭총위영
- 총융청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624년(인조 2) 서울의 외곽인 경기(京畿) 일대의 경비를 목적으로, 서울 사직동 북쪽에 설치하였던 군영정의1624년(인조 2) 서울의 외곽인 경기(京畿) 일대의 경비를 목적으로, 서울 사직동 북쪽에 설치하였던 군영 | 문광부표기Chongyungcheong | MR표기Ch’ongyungch’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총융청(總戎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총융청 총융청 總戎廳 기보총융사(畿輔摠戎使), 오영군문(五營軍門), 중앙군영(中央軍營)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인조~고종 윤훈표 인조 고종 [정의] 조선후기에...관련어기보총융사(畿輔摠戎使), 오영군문(五營軍門), 중앙군영(中央軍營)
- 총융청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5군영의 하나인 총융청의 일지. [내용] 3권 3책. 필사본. 총융청에서 편찬하였다. 수록내용은 주로 상번(上番) 시위, 조련(操鍊), 군정(軍丁)의 도피, 각종 징포(徵布)의 수납과 관련된 실태와 대책에 대한 논의가 실려 있...
- 총융청사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총융청에서의 소요경비를 물목(物目)ㆍ수량ㆍ가격 등의 내역과 함께 기록한 책. [개설] 1책. 사본. 총융청에서 편찬하였다. 기록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북한산성의 방어와 관리를 담당한 관성소(管城所)가 총융청에 소속되어 있는 점으...
고서·고문서(219)
- [內需司]庄土文績_제17책 : 圖書文績類 1. 摠戎廳屯黃州葛隅坪畓指定租捧上冊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8520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17책 : 圖書文績類 17-001 1. 摠戎廳屯黃州葛隅坪畓指定租捧上冊 도조기류 81 23.5x34.4 한지, 관인 무, 朝鮮總督府 문서 1장 붙어 있음 81장, 23.5x34.4c...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8739 B00873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3年 10月 13日_016 ... 軍, 則移給摠戎廳, 爲當云, 此言似然矣。 武將, 今方入侍, 亦爲下詢, 何如? 上曰, 有摠戎廳之名, 而無軍兵, 事體果爲未安矣。 入侍大將, 各陳所見, 可也。 訓鍊大將申汝哲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35 B006835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3年 10月 13日_016 ... 軍, 則移給摠戎廳, 爲當云, 此言似然矣。 武將, 今方入侍, 亦爲下詢, 何如? 上曰, 有摠戎廳之名, 而無軍兵, 事體果爲未安矣。 入侍大將, 各陳所見, 可也。 訓鍊大將申汝哲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8723 B008723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3年 10月 13日_016 罷摠戎廳, 則已, 不然, 則三營之制, 不可不備, 且廣州, 則一邑人丁, 使之專屬, 亦無守城人不足之患, 南漢之憂, 惟在糧食之乏, 不在軍兵之少, 楊州軍, 則移給摠戎廳, 爲當云, 此言似然...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16 B00681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3年 10月 13日_016 罷摠戎廳, 則已, 不然, 則三營之制, 不可不備, 且廣州, 則一邑人丁, 使之專屬, 亦無守城人不足之患, 南漢之憂, 惟在糧食之乏, 不在軍兵之少, 楊州軍, 則移給摠戎廳, 爲當云, 此言似然...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7)
-
총융청 / 摠戎廳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에 설치된 중앙 군영. 1623년(인조 1) 이괄의 난에서, 그 반군이 수도 외곽인 경기도의 방어망을 쉽게 뚫고 서울을 점령하게 되는 취약성이 드러난 것을 계기로 설치되었다. 1750년(영조 26) 총융사를 경기병사가 겸하도록 하여 본청을 북한산성에 출진 형
-
세검정 / 洗劍亭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영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자.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호. 정자가 있는 이 지역은 한성의 북방 인후가 되기 때문에 조선 영조 때 총융청을 이곳에 옮겨 서울의 방비를 엄히 하는 한편, 북한산성의 수비까지 담당하게 하던 곳이다. 총융청을 이곳으로 옮기
-
기패관 / 旗牌官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여러 군영에 두었던 군관직. ≪대전회통≫에 의하면 훈련도감에 20인, 금위영에 10인, 어영청에 11인, 총융청에 2인, 수어청에 19인, 그리고 강화도의 진무영(鎭武營)에 71인을 두었으나 시기에 따라 증감이 있었다.
-
오군영 / 五軍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수도 및 그 외곽을 방어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다섯 군영. 임진왜란 이후 설치된 군영들로서 훈련도감·어영청·금위영은 수도를 직접 방어하는 중앙군영이며, 총융청·수어청은 남한산성과 북한산성 등 수도 외곽의 방어를 담당하는 군영이었다.
-
북한관성장 / 北漢管城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이라 하였고, 뒤에는 도별장이라 하였다가 1722년(경종 2) 관성장이라 개칭하였다. 1747년(영조 23) 경리청을 폐지하고 나서 총융청에 합속한 뒤에는 중군이 정례로 겸임하였다. 1792년 군제를 고치어 총융청을 3개 영으로 만들 때에는 아병천총 겸 관성장으로 명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