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총융사” 에 대한 검색결과 4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0)

사전(17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5군영의 하나인 총융청(摠戎廳)의 주장(主將). [내용] 종2품직이다. 1624년(인조 2) 총융청이 설치되고 이서(李曙)가 초대 가 되었다. 정례로 비변사 당상을 겸임하였다. 1750년(영조 26) 경기병사를 겸하였다가...
  • 두최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백화국 두춘화의 아들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두춘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두견화’를 의인화한 것이다. 백화국의 이나, 병을 얻어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윤안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곤지’를 의인화한 것이다. 여용국의 192). 도적들을 평정한공으로 이경후193)에 오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신관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로제가 이끄는 프랑스함대가 내침하자 대원군의 명을 받아로서 양화진에 진을 치고 지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71)

  • 《寶鑑》曰:“仁祖九年,李曙爲使,築南漢山城,募民屯田,穀至累萬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120 經世遺表 卷七 ITKC_MP_0597A_1120_020_0130 《寶鑑》曰:“仁祖九年,李曙爲使,築南漢山城,募民屯田,穀至累萬石。”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
    권차명經世遺表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京畿道庄土文績_제52책 : 京畿道安山郡草山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1. 乾隆二十二年-丁丑-十一月日李使宅千儀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5489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52책 : 京畿道安山郡草山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52-001 1. 乾隆二十二年-丁丑-十一月日李使宅千儀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1-7 60.6x53cm 한지, 관인 무, 좌촌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41책 : 京畿道安山郡草山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26. 乾隆二十一年-丙子-十月初十日李使宅奴千義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4368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41책 : 京畿道安山郡草山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41-026 26. 乾隆二十一年-丙子-十月初十日李使宅奴千義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25-30 64.1x49.7cm 한지, 관인, 수...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4446 B00444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24年 4月 2日_006 ○備邊司啓, 傳曰, 使處所送軍糧, 牙山倉所儲米, 從近取用, 江都米勿爲輸送, 傳敎矣。 問于牙山倉所捧穀, 旣已畢運, 更無餘儲云。 不得已依前定奪, 江都米前後竝五百石, 太七十石等, 及時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449 B00444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24年 4月 2日_006 ○備邊司啓, 傳曰, 使處所送軍糧, 牙山倉所儲米, 從近取用, 江都米勿爲輸送, 傳敎矣。 問于牙山倉所捧穀, 旣已畢運, 更無餘儲云。 不得已依前定奪, 江都米前後竝五百石, 太七十石等, 及時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4)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5군영의 하나인 총융청의 주장. 1624년(인조 2) 총융청이 설치돠었다. 1750년(영조 26) 경기병사를 겸하였다가 1760년 폐지되었고, 1764년 조지서제조를 정례로 겸하였다. 병조 일군색 시취를 관장, 수원·광주·양주·장단·남양의 5개 영에 대한

  • 박찬신 / 朴纘新 [역사/조선시대사]

    1679년(숙종 5)~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 무신. 부친은 박종발이다. 동생은 박재신‧박태신이다. 1702년(숙종 28) 알성시에서 병과 6위로 무과 급제하였다. 충청수사, 경상우병사, 배왕대장, 어영대장, , 평안병사, 포도대장 등을 역임하였다.1

  • 신광하 / 申光夏 [종교·철학/유학]

    1688(숙종 14)∼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여철, 아버지는 환.1712년(숙종 38)에 정시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주부에 임명되었다. , 도총부총관, 포대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1736년 공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곧 죽었다. 평소에

  • 신여철 / 申汝哲 [역사/조선시대사]

    ) 병조참판을 거쳐 , 공조판서, 형조판서, 훈련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 이현직 / 李顯稷 [종교·철학/유학]

    1797년(정조 21)∼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이격 아들, 이학영의 아버지이다. 1846년(헌종 12) 경상좌도수군절도사·전라도병마절도사, 1854년(철종 5) 삼도수군통제사·함경북도병마절도사, 1865년(고종 2) , 이듬해 어영대장과 공조판서를 역임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