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37)
사전(1,018)
- 총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관직 혹은 군지휘관. [내용] 『삼국사기(三國史記)』직관지에 의하면, 신라는 처음 주(州)의 장관을 군주(軍主)라고 부르다가 661년(문무왕 1) 이를 총관으로 고쳤고, 785년(원성왕 1) 다시 도독(都督)으로 개칭하였다고
- 총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관직. [내용] 고려 후기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동녕부(東寧府) 등이 설치되면서 그 장(長)으로 두어졌다. 그 밖에 심주(瀋州 : 瀋陽) 등지의 지역에도 두어졌던 기록이 확인된다. 1290년(충렬...
- 총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도총관(都摠管)과 부총관(副摠管)의 통칭. [내용] 직품은 정2품과 종2품이다. 병조 일군색(一軍色)의 빈청강(賓廳講) 및 무경강(武經講)의 고시를 관장하는 데 참여하며 오위도총부의 사무를 주관하였다.
- 총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897년 신설된 국왕의 수레와 가마를 운반하는 군을 관장하는 호위대의 책임자로서 총관직이 설치되었다. 갑오개혁 당시 궁궐 호위를 경무청(警務廳)의 경무관(警務官)이 맡게 하고 궁내서장(宮內署長)이라고 불렀으나, 1901년 황궁 내외를 경비, 규찰하는 일을 담당하...
- 총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수(隋)‧당(唐)시대에 설치된 관직 또는 군지휘관.정의중국 수(隋)‧당(唐)시대에 설치된 관직 또는 군지휘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chonggwan | MR표기ch’ong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480)
- 금사_金史57 志38 百官3 諸路總管府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045 중국 정사 금사 지 016 기타 金史57 志38 百官3 諸路總管府 都總管一員 正三品 掌統諸城隍兵馬甲仗 總判府事 同知都總管一員 從四品 掌通判府事 惟婆速路同知都總管兼來遠軍事兵馬 副都總管一員 正五品 所掌與同知同 總管判官一員 從六品 掌...국가중국 | 서명금사 | 왕대기타
- 목암집_牧庵集28 南京路總管張公墓誌銘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358 중국 문집 목암집 008 기타 牧庵集28 南京路總管張公墓誌銘 公諱庭珍字國寳 曾大考淵大考字明以武力再世爲金千夫長家臨潢之全州考楫北京都轉運使故又家北京公于次爲中子沉静易直通毅辨彊綜經緯史尤長左氏春秋筮仕已存愛天利物志事先帝以典内帑受知 先是髙句驪不請 徙...국가중국 | 서명목암집 | 왕대기타
- 한원진 이조판서겸지의금부사성균관제주오위도총부도총관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1799년(가경4) 10월 15일에 通訓大夫行司憲府執義 韓元震을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成均館祭酒五衛都摠府都摠管韓元震 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成均館祭酒五衛都摠府都摠管에 임명하는 고신이다. 본 고신은 4품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官敎에 해당하며, 국왕 명의로 발급되었으...분야문학 | 유형문헌
- 자계문고_滋溪文稿17 元故亞中大夫河南府路總管韓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563 중국 문집 자계문고 001 기타 滋溪文稿17 元故亞中大夫河南府路總管韓公神道碑銘[并序] 復號至元之二年三月壬申 亞中大夫河南府路總管兼本路諸軍奥魯總管管内勸農事知河防事韓公以疾終於洛陽官舍 享年五十有二 是嵗五月戊申 載其喪歸 七月己酉葬宛平縣髙麗莊之原...국가중국 | 서명자계문고 | 왕대기타
- 전원문_全元文1206 張亮 奧魯總管王公之碑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765 중국 총서 전원문 040 기타 全元文1206 張亮 奧魯總管王公之碑 龔知曾祖鈞 祖居實 皆潛光未出 顯考諱統 資剛毅 有材力 金末 從鎭國上將軍完顔公領兵出鎭高麗東方 得安統之功居多 太夫人趙氏 生三子 長曰仲祿 課稅所副使 今更爲永平路 次卽公也 季曰...국가중국 | 서명전원문 | 왕대기타
신문·잡지(88)
- 摠管任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호위춍관 민영휘씨는 당고지라 경무 리봉의씨가 춍관을 겸임엿다더라게재일1902년 10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摠管任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 리봉의씨는 호위춍관 셔리무를 임고 표훈원춍 민영환씨가 춍관셔리무를 피임엿더라게재일1902년 11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副摠管解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승녕부 부춍관 박졔빈씨 춍관셔리무 임되얏더라게재일1907년 10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大塚關太郞(大塚質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大塚關太郞(大塚質店) 서울 大塚關太郞 大塚質店 安國町 168 금융 - 전당포(質) - 208.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大塚關太郞(大塚質店)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전당포(質)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中央縱貫鐵道 速成期成會組織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中央縱貫鐵道 速成期成會組織 1926년 3월5일 대구 대구 대구상업회의소가 평의원의 협의회를 열고 대구, 안동 및 충주...대표표제어中央縱貫鐵道 速成期成會組織 | 연월일1926년 3월5일 | 지역대구
기타자료(51)
- 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중국-일본에서 신라로 보낸 외교문서 중국 외교문서 당→신라 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개요】 문무왕 11년(671) 7월 2...대표표제어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이종관;李縱觀;목하영태랑;木下榮太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783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45면 이종관;李縱觀;목하영태랑;木下榮太郞 제12회 1937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당이 태종무열왕에게 칙서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신라 【번역】 3월에 당 고종(高宗)이 명령하여 좌무위대장군 소정방을 신구도행군대총관으로, 김인문(金仁問)을 부대총관(副大總管)으로 삼아 좌효위장군 유백영 등 수륙 13만을 이끌고 △△ 백제를 정벌하게 하였다. 왕에게 칙서를 내려 우이도행군총관으로 삼아 병사를 거느...대표표제어당이 태종무열왕에게 칙서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0년(庚申/신라 태종무열왕 7/고구려 보장왕 19/백제 義慈王20/唐 顯慶 5/倭 齊明 6)
- 당에서 유인궤가 황제의 칙지를 가지고 김삼광과 함께 오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신라 당→신라 【번역】 6월 12일에 요동도안무부대사(遼東道安撫副大使) 요동행군부대총관(遼東行軍副大摠管) 겸(兼) 웅진도안무대사(熊津道安撫大使) 행군총관(行軍摠管) 우상(右相) 검교(檢校) 태자좌중호(太子左中護) 상주국(上柱國) 낙성현개국남(樂城縣開國男) 유인궤...대표표제어당에서 유인궤가 황제의 칙지를 가지고 김삼광과 함께 오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8년(戊辰/신라 문무왕 8/고구려 보장왕 27/唐 乾封 3, 總章1/倭 天智 7)
- 고구려 부흥군이 이근행에게 패하자 신라로 귀부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함형) 4년 계유년 여름 윤5월에 연산도 총관 대장군 이근행이 호로하에서 우리 백성을 쳐부수고 수천인을 포로로 잡으니 나머지 무리가 모두 신라로 달아났다. (三國史記 22 高句麗本紀 10 寶藏王 下) 【번역】 (함형 4년) 윤5월에 연산도총관 우령군대장군...대표표제어고구려 부흥군이 이근행에게 패하자 신라로 귀부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3년(癸酉/신라 문무왕 13/唐 咸亨 4/倭 天武 2)
주제어사전(73)
-
총관 / 摠管 [역사/근대사]
구한말 궁내부 소속 경호원의 무관직. 갑오개혁 당시 궁궐 호위를 경무청의 경무관이 맡게 하고 궁내서장(宮內署長)이라고 불렀으나, 1901년 황궁 내외를 경비, 규찰하는 일을 담당하는 경호원을 설치하면서 칙임장령관의 총관이 이를 지휘하도록 하였다.
-
도총관 / 都摠管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오위도총부의 정2품 무관직. 1409년(태종 9) 삼군진무소가 설치되고 1457년(세조 3) 오위진무소로 개칭되었다. 이 책임자를 도진무라 하였다. 오위진무소는 1466년(세조 12) 오위도총부로 바뀌면서 도진무가 도총관으로 바뀌었다. 도총관의 수는 5인
-
부총관 / 副摠管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도총부의 종2품관직. 1457년(세조 3)에 삼군진무소가 오위진무소로 개칭되었다. 1466년(세조 12) 이 진무소가 오위도총부로 바뀌면서 도진무가 도총관·부총관으로 바뀌었다. 부총관의 수는 5인으로 문·음·무의 고급관리가 겸하였으니 대개 종실 등이 겸
-
쌍성총관부 / 雙城摠管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몽고가 고려의 화주 이북을 직접 통치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부. 화주에 치소가 있었으며, 등주·정주·장주·예주·고주·문주·의주와 선덕진·원흥진·영인진·요덕진·정변진 등을 관할하였다.
-
답당설총관인귀서 / 答唐薛摠管仁貴書 [문학/한문학]
671년(문무왕 11)에 지은 당나라의 행군총관(行軍摠管) 설인귀(薛仁貴)의 서신에 대한 작자 미상의 답서(答書).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7 문무왕조와 『동문선』 권 57에 실려 있다. 「답당설총관인귀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는 당나라의 은의를 입고 여